이정재 측 "모친 빚으로 억대 소송 휘말려…유명인 흠집내기 강경 대응할 것”

유명인 흠집내기.배우 이정재가 어머니의 억대 빚을 대신 갚지 않았다는 이유로 민사소송에 휘말린 가운데, 그의 소속사 측은 “유명인을 이용, 흠집 내기로 무리한 이자를 취득하려는 것”이라며 공식적으로 반박했다. 이정재 소속사인 씨제스엔터테인먼트 측은 공식 입장으로 “이 건은 15년 전 이정재 어머니와 관련된 일이다. 배우의 어머니가 아들을 보호하겠다는 생각으로 본인이 해결하려다 벌어진 일”이라고 17일 밝혔다.이어 “배우 본인이 뒤늦게 채무 사실을 알고 해결하려고 했지만, 상대 측은 법적 채무에 대한 근거가 없는데도 유명인의 흠집 내기를 통해 무리하게 이자를 취득하고자 하고 있다. 배우 본인의 직접적인 관련보다 어머니의 건으로, 일반인인 어머니가 무고한 재판으로 정신적 충격에 시달리고 있는만큼 재판의 결과에 귀 기울여 달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배우의 변호사 측은 재판의 기각을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이 사안이 계속될 경우 무고죄 고소 등 강경한 법적대응으로 맞설 것이다. 향후 허위 혹은 추측성 기사를 자제해 줄 것을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A씨(68)는 “이정재씨가 어머니의 빚 2억490만원을 갚겠다고 약속한 뒤 6천100만원만 갚았다. 나머지 빚 1억4천여만원을 변제하라”며 서울중앙지법에 소송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이정재의 어머니(67)는 “아들 출연료로 돈을 갚을 수 있다”며 A씨에게 지난 1997년부터 2000년대 초까지 4차례에 걸쳐 모두 1억9천370만을 빌렸지만, 돈을 갚지 않고 미국으로 출국하자, A씨는 미국까지 쫓아가 이행각서를 받았고, 이정재는 이같은 사실을 알고 A씨에게 6천만원을 갚았다.그 뒤로도 돈을 갚지 않자 A씨는 지난 2005년 4월 이정재의 어머니를 사기죄로 고소했다.이에 이정재가 검찰에 어머니와 같이 출두, “대신 빚을 갚겠으니 고소를 취하해달라”고 요청, 일이 마무리된 듯 했지만, A씨는 이정재의 어머니가 100만원을 송금한 뒤 계속 연락이 없자 올해 4월 이정재와 어머니를 상대로 대여금 지급명령 신청을 서울지법에 냈다. 법원이 신청을 받아들이자 이정재 측이 이의를 제기, 소송으로 비화했고, 서울중앙지법 제208민사단독 심리로 현재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온라인뉴스팀

CJ, 잇단 M&A포기… 이재현 회장 판결 리스크에 흔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2011년 6월 28일 포스코-삼성SDS 컨소시엄을 제치고 국내 물류업계 1위 대한통운(현 CJ대한통운)의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포스코와 삼성그룹은 당시 본입찰 나흘을 앞두고 손을 잡았다. 인수ㆍ합병(M&A)업계 관계자들은 대세는 포스코-삼성 연합으로 기운 것으로 평가했다.그러나 이 회장은 경쟁자보다 본입찰가를 주당 20만원 비싸게 써내며 대한통운을 인수했다. 당시 그의 과감한 결단이 대형 M&A를 성공한 셈이다.최근에는 상황이 다르다. 이 회장의 경영 공백이 길어지면서 CJ그룹의 대형 M&A도 자취를 감췄다는 평가가 투자은행(IB)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CJ그룹은 올해만 해도 모두 4개의 매물을 강 건너에서 바라봤다.지난 2월 티몬을 시작으로 대우로지스틱스(9월), 동부익스프레스(10월), 동부팜한농(11월)의 예비입찰에는 참여했지만 본입찰에서는 발을 뺐다. 이어 MBK파트너스가 매각을 진행 중인 코웨이의 본입찰에도 CJ가 참여하지 않을 것이 유력하다.IB업계 관계자는 “CJ의 코웨이 인수 의지가 높다고 평가하기 어렵다”며 “CJ와 컨소시엄을 맺은 중국 하이얼도 최근 국내 기업을 들여다보기만 하는 다른 중국자본과 비슷한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CJ가 M&A에 소극적인 것은 그룹 총수의 부재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코웨이의 매각가격은 2조원 중후반에서 최대 3조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같은 대형 매물을 인수하려면 그룹 총수의 결정이 필수로 꼽힌다. 손경식 회장과 이채욱 부회장과 같은 주요 경영진의 결정만으로는 코웨이 인수를 단행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CJ그룹은 2011년 대한통운을 마지막으로 1조원이 넘는 대형 M&A를 하지 않고 있다. 올해 CJ대한통운이 중국 룽칭물류를 4550억원에 인수했지만 대기업 기준에서는 중소형 거래로 평가되고 있다.이 회장의 경영공백이 장기화하면 경쟁업체에 밀릴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롯데그룹은 지난 5년간 7조6000억원의 자금을 M&A에 쏟아부었다. 반면 CJ그룹은 2조8000억원에 그친다. 2013년 탈세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은 파기환송심 선고를 앞두고 있다.

[개장시황] 코스피, 파리 테러 충격 딛고 1%대 상승

코스피가 프랑스 파리 테러 충격에서 벗어나 장 초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17일 오전 9시 9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20.78포인트(1.07%) 상승한 1963.80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34포인트 오른 1967.36에 출발하며 전날 상승분을 일정부분 회복했다.지난밤 뉴욕증시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파리 테러 악재를 딛고 투자심리를 회복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7.77포인트(1.38%) 상승한 1만7483.01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30.15포인트(1.49%) 오른 2053.19를, 나스닥지수는 56.73포인트(1.15%) 뛴 4984.62를 각각 기록했다.마주옥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파리 연쇄 테러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진단하며 "국내 증시는 대형 수출주 위주의 반등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외국인이 278억원, 기관이 67억원 각각 순매도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195억원 사들이고 있다. 프로그램매매는 차익거래 20억원, 비차익거래 178억원 매도우위를 보여 198억원 순매도우위를 나타내고 있다.업종별로는 통신업과 전기가스업을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 중이다. 섬유의복(2.70%), 의료정밀(2.54%), 전기전자(1.76%)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대장주' 삼성전자가 1.98% 상승한 가운데 한국콜마(6.12%), 한세실업(5.88%) 등이 급등하고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8.06포인트(1.22%) 오른 667.26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0.23%)을 제외한 전 업종이 오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대부분 상승세다. 케어젠(6.70%), 콜마비앤에이치(5.14%) 등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6.1원 하락한 1168.0원에 출발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