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분기 결산] 상장사 3분기 영업익ㆍ순이익 작년보다 늘었다

코스피시장 상장사의 3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전체 717개사 가운데 100개사를 제외한 617개사의 올해 3분기 개별 기준 누적 실적을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은 46조67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42조2096억원으로 18.15% 늘었다. 다만 매출액은 776조4776억원으로 4.49% 감소했다. 코스피시장에서 매출액 비중 12.95%를 차지하는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매출액 감소폭은 지난해와 유사한 반면 영업이익 등 수익성은 뚜렷하게 개선됐다. 실제로 올해 3분기 코스피 상장사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93%로 지난해 같은기간 5.38%보다 0.56%포인트 늘었다. 1000원어치의 제품을 팔아 59원의 영업이익을 냈다는 뜻이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KT&G가 45.00%로 1위를 기록했고, 엔씨소프트(41.67%), 강원랜드(39.33%), NAVER(38.44%), SK하이닉스(30.0%) 등이 뒤를 이었다. 코스피 상장사의 3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은 76.83%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14%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 상위사는 동부제철(1만3792%), 남광토건(3136%), 대우조선해양(1971%), 대한항공(1147%), 한화화인케미칼(1123)% 등이 이름을 올렸다. 한편 업종별로는 건설, 종이목재가 흑자전환한 가운데 의약품, 전기가스, 철강금속, 통신, 화학 11개 업종의 순이익이 증가했다. 반면 기계, 비금속광물, 서비스업, 운수장비, 전기전자 등 5개 업종은 순이익이 감소했다. 운수창고는 적자전환했다. 또한 분석대상기업 617사 가운데 486개사(78.77%)가 순이익 흑자전환했고, 131개사(21.23%)는 적자를 기록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코스닥 3분기 결산] 재무건전성 회복 중… 부채비율 줄었다

코스닥 상장사의 올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지난해 말과 비교해 줄어들었다. 재무건전성이 회복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17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스닥시장 12월결산법인 2015 사업연도 3분기 결산실적 분석’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법인의 개별기준 9월 말 부채비율은 63.36%로, 지난해 말보다 3.09% 포인트 하락했다. 6월 말 부채비율(63.93%)보다도 0.57% 포인트 감소했다. 연결기준으로도 3분기 말 부채비율은 96.59%로 작년 말 대비 0.42%p 줄었다. 부채비율은 자본총계에서 부채총계를 나눈 값으로, 통상 수치가 낮을수록 기업의 재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개별기준으로 재무건전성이 가장 우수한 업체는 솔본으로 나타났다. 솔본의 9월 말 부채비율은 1.12%로 지난해 말보다 0.10% 포인트 감소했다. 데브시스터즈(1.45%)와 알테오젠(1.74%)이 우수한 재무건전성을 보였다. 반면 삼보산업(1407.63%), 플레이위드(1379.98%), 이그잭스(852.54%)가 부채비율 상위 1~3위를 차지했다. 삼보산업은 9월 말 부채비율이 지난해 말보다 110.81%p 늘어났고, 이그잭스 역시 182.65%p 증가했다. 부채 비율 2위인 플레이위드는 380.80%p 줄었다는 데 위안으로 삼았다. 연결기준으로 재무건전성이 우수한 기업은 데브시스터즈(1.47%)와 알테오젠(1.75%), 위즈코프(3.75%) 등으로 집계됐다. 태양기전은 1405.58%로 유일하게 네자릿수 부채비율을 기록하며 불명예 1위에 올랐다. 플렉스컴(969.19%)과 이그잭스(923.32%)가 높은 부채비율로 뒤를 이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페라리, ‘488 스파이더’ 국내 공식 출시… 강력한 V8 오픈톱 모델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가 페라리 역사상 가장 강력한 미드리어 8기통 엔진을 장착한 ‘488 스파이더(488 Spider)’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 지난 9월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된 이후 국내에서는 이번 출시 행사를 통해 최초로 모습을 드러냈다. 페라리는 1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인터와이어드 스튜디오’에서 488 스파이더 공식 출시행사를 열었다.이날 행사에 참석한 페라리 한국/일본 총괄 디렉터 레노 데 파올리(Reno de Paoli)는 “488 스파이더는 강력한 성능과 편안한 드라이빙으로 오픈 에어링의 즐거움을 극대화 시키는 모델” 이라며, “페라리의 독보적인 디자인과 기술력으로 한국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주행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488 스파이더는 페라리 최초로 8기통 미드리어 엔진을 탑재한 308 GTB의 타르가톱 버전 308 GTS의 계보를 잇는 모델로, 페라리 8기통 오픈톱 모델 역사의 최신작이다. 페라리의 전매특허인 접이식 하드톱(RHT: Retractable Hard Top)에 최고의 기술혁신과 최첨단 디자인이 결합되어 고성능 스포츠카에서의 오픈에어링을 최적으로 즐길 수 있는 모델이다. 488 스파이더에 탑재된 3902cc V8 터보 엔진은 8,000 rpm에서 최고출력670마력을 낸다. 토크를 최적으로 분산시키는 가변 부스트 매니지먼트(Variable Boost Management)를 적용해 3000 rpm에서 최대토크 77.5 kg∙m를 기록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는 3초, 시속 200km까지는 8.7초만에 도달한다. 뿐만 아니라 스로틀 반응 속도는 0.8초에 불과해 터보 래그(Turbo Lag) 현상을 느낄 수 없다. 페라리의 우수한 알루미늄 세공 기술로 11개의 6000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과 마그네슘 등의 금속이 결합된 스페이스 프레임 섀시를 완벽히 구현해낸 것도 특징이다. 페라리는 세계 최초로 미드리어 엔진 차량에 접이식 하드톱을 도입한 458 스파이더를 선보인 바 있으며 이번 488 스파이더에도 이와 동일한 접이식 하드톱이 장착됐다. 기존 패브릭 소재의 소프트톱보다 25kg가량 가볍고, 세 가지 위치로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유리 윈드 디플렉터를 내렸을 때에도 소음이나 기타 외부의 방해 요소들을 완벽히 차단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도 하드톱이 완전히 닫히거나 열리는 데 드는 시간은 단 14초에 불과하다. 차량의 기계 설비와 자세 제어장치(Dynamic Vehicle Control)는 마네티노 세팅과 함께 488 스파이더의 강력한 주행성능을 실현시켰다. 자기유동식 댐퍼(magnetorheological dampers)를 통해 스포티한 주행 중에도 안락함과 안정적인 승차감을 선사한다. SSC2(Side Slip Angle Control) 시스템은 전문 드라이버가 아니더라도 극한의 질주성능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488 스파이더는 458 스파이더에 비해 9% 이상 향상된 0.06초의 빠른 변속타이밍으로 도로상황에 관계없이 짜릿한 드라이빙 쾌감을 제공한다.488 스파이더의 사운드트랙은 페라리 전통에 따라 확실히 구별되는 배기음을 선보인다. 이를 위해 길어진 배기 헤더와 동일한 길이의 배기 파이프, 플랫 플레인 크랭크샤프트 등의 솔루션이 적용되었다. 매력적인 배기음은 하드톱을 연 상태에서도 실내로 과하게 들어오지 않는다.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선명한 사운드도 함께 증가하면서 488 스파이더의 강력한 성능이 온몸으로 전해진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4대 은행, 대손충당금 6조…추가 압력에 하반기 실적 비상

주요 시중은행들이 현재까지 쌓은 대손충당금은 총 6조원에 이른다. 여기에 정부가 좀비기업(한계기업) 정리 작업을 본격화하면서 은행들의 충당금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은행은 순이자마진(NIM)의 지속적 하락과 함께 충당금까지 추가로 적립해야 해 하반기 실적에 적신호가 켜졌다.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한·국민·하나·우리은행 등 주요 4대 은행의 대손충당금은 총 6조300억원(6월말 기준)이다.우리은행이 대기업 1조3865억원, 중소기업 6394억원, 기타 1534억원 등 총 2조1794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국민은행 1조4737억원, 신한 1조3371억원, 하나은행 1조396억원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우리은행은 상반기 주요 은행 중 가장 많은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성동조선해양 893억원, 포스코플랜텍과 포스코하이알 등 포스코 계열사 두 곳에 총 611억원, 대우조선해양은 137억원의 채권이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충당금을 추가로 쌓을 가능성이 커졌다”며 “다만 현재까지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쌓아왔고, 출자전환 주식 등을 매각해 하반기 예산 순이익 달성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신한은행은 상반기에 경남기업 부실화로 384억원, 2분기 포스코플랜텍 756억원 등 대기업 부실을 떠안았다.국민은행은 상반기 충당금 중 대우조선해양 297억원이 가장 큰 금액으로 나머지는 소규모 부실 채권인 것으로 알려졌다.하나은행은 4대 은행 중 가장 적은 규모로 1조396억원이 쌓여 있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충당금 적립 권고에 따라 실적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하나은행 관계자는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최대한 보수적으로 쌓으려고 하고 있다”며 “그러나 하반기 실적에 영향을 피해 갈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은행의 전통적 수익원인 순이자마진의 지속적 하락과 정부 주도의 강력한 구조조정 압박으로 인해 은행산업 전체에 수익성 악화가 나타날 전망이다.금감원은 최근 중소기업 신용위험 평가를 발표하면서 175개의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이 총 2조2204억원이라고 밝혔다.특히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로 은행권이 현재까지 적립한 3020억원 외에도 약 4504억원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이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총 7524억원을 쌓게 되면 은행권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0.03%포인트(14.09%→14.06%)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은행권에서는 다음 달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발표에 따라 충당금 적립금액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하고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