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명소를 소개합니다] 김포 대명항 함상공원 퇴역 상륙함 ‘운봉함

이색적인 체험거리를 찾는 주말족이 늘고 있다. 이런 관람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만한 명소가 있다. 김포 대명항에 위치한 함상공원 중 핵심 시설물로 일찌감치 명소로 자리 잡은 퇴역한 상륙함(LST) 운봉함이다. 김포시 함상공원은 52년 바다를 지켜오다 2006년 12월 퇴역한 상륙함을 활용해 조성한 수도권 유일의 함상공원으로, 함상 체험을 비롯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전문 해설사를 배치, 해설사의 안내와 함께 운봉함의 임무를 비롯해 해군, 해병의 함상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안보교육의 장이다. 길이 99.6m, 높이 23m, 중량 4천80t에 달하는 운봉함은 상륙작전 뿐 아니라 물자보급까지 겸할 수 있는 함선으로 세계 2차대전, 월남전에 참전, 활약했다. 1950년대에는 구호식량을 지원하는 등 다방면의 임무를 수행했다. 공원 관계자는 최근 남북관계가 긴장되면서 관람객도 크게 늘었다며 주말이면 1천~1천500여명의 관람객들이 운봉함을 찾는다고 말했다. 본격적으로 구경을 떠나보자. 운봉함 전시실로 들어서 운봉함 소개 코너를 지나면 할아버지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운봉함에 설치된 영상관에서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전쟁이야기로, 실제 전장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전쟁 장면이 나올 때 발밑의 발판이 움직여 생생함을 더해준다. 영상 속 할아버지는 참전(오케이 상륙작전) 당시를 떠올리며 손자에게 전쟁의 참혹함을 일깨워 준다. 잊지 못할 천안함 피격사건도 전시돼있다. 2010년 3월26일 발생한 천안함 피격사건으로 대한민국 해군 장병 46명이 순직했다. 당시 탐색구조 작업 중 순직한 수중폭파대(UDT) 소속의 한주호 준위의 활약상도 잘 설명돼 있다. 그때를 기억하고 안보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천안함, 연평도 북괴도발 홍보관이 마련돼 있으며, 한주호 준위의 잠수복과 그의 활약상을 보여부는 영상도 마련돼 있다. 최신식 해군, 해병의 군복과 장비들도 볼만하다. 디지털 무늬로 바뀐 신형 전투복은 육군과 다르게 바다, 갯벌, 바위 등에 적합한 픽셀로 구성돼있다. 뿐만 아니라 군에서만 볼 수 있는 방탄 헬밋, 개인천막, 반합, 개인용품, 전투식량은 물론, 역대 해병대사령관, 해군참모총장, 운봉함 함장의 연혁도 전시돼있다. 함선 안의 생활을 보았다면 이제 직접 해군, 해병이 되어 보자. 체험관 안에는 관람객들이 직접 수신호기 체험, 서치라이트, 가상 군복착용, 레펠 오르기, 군장체험 등 다양한 체험을 해볼 수 있다. 체험이 끝났다면 직접 항공기를 저격하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어린이들은 게임 그 자체로 즐거운 시간이, 어른들은 어린 시절의 옛 추억을 되살리는 시간이 될 것이다. 운봉함 밖에서는 상쾌한 바다 바람을 쐬며 해상 초계기, 단정, 수륙양용차를 둘러 볼 수 있다. 이밖에도 공원 내에는 가족 단위 관광객을 위한 전통놀이(윷놀이, 굴렁쇠, 제기차기, 투호 등) 체험, 어린이 놀이기구(멜로디 팻) 등도 갖춰 가족단위 나들이객에게 제격이다. 김포=양형찬기자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국제기능올림픽 입상자 만난 남 지사

산란계농가 AI 방역

경기도 국감장

어르신 독감 예방접종

경기도농업기술원 ‘제5회 장미ㆍ국화 생생전시회’ 개최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오는 6일까지 서울 코엑스 1층 로비에서 제5회 장미ㆍ국화 생생전시회를 한다고 1일 밝혔다. 도심의 가든파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경기도에서 개발한 장미, 국화 신품종 23품종이 전시되며, 화훼 소비촉진을 위한 꽃꽂이 시연과 꽃다발 포장하기 등 체험행사도 진행된다. 전시회에 선보이는 장미 품종은 해외에 240만주 이상 판매돼 로열티를 받은 가시 없는 장미 딥퍼플, 수확량이 많고 가시가 적어 농가 선호도가 높은 피치밸리, 생육이 빠르고 파스텔톤 고급 꽃으로 시장성이 입증된 핑크하트 등 10품종이다. 이와 함께 절화용 국화 8품종, 분화용 국화 5품종이 선보여진다. 도농기원은 그동안 장미 50품종, 국화 32품종의 신품종을 개발해 국내에 장미 200만주, 국화 1천460만주를 보급했다. 특히 장미는 딥퍼플 등 289만주를 해외에 판매하는 실적을 거뒀다. 임재욱 원장은 이번 생생전시회를 통해 경기도에서 육성한 장미와 국화 신품종이 농가에 확대 보급되고,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인기 품종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면서 화훼 소비 확대를 위한 홍보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무역협회 "수출부진 타개 위한 유망 지역은 미국, 품목은 중간재"

위안화ㆍ엔화 약세 등으로 인한 수출 부진의 늪이 깊어지는 가운데 이를 타개하기 위한 수출 유망지역은 미국, 유망 품목은 중간재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일 발표한 글로벌 교역 부진기의 수출 유망품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세계 수입수요가 급격히 둔화(-12.7%)됐음에도 국내 주요 수출 유망품목은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유망품목은 무역협회가 미국, 중국, 일본, EU 등 주요 4개 지역 수입시장의 규모와 성장성 등을 분석해 선정한 325개 품목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최근 경기회복세가 뚜렷한 대 미국 수출 유망품목이 186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중국(78개), 일본(34개), EU(27개)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중간재가 165개로 전체 수출 유망품목의 50%를 차지했고, 자본재(82개)와 소비재(68개) 등 순이었다. 미국의 경우 건강보험개혁법(오바마 케어) 시행, 셰일오일 호황 등으로 면역 관련 물품, 고정식 축전기, 화물 수송용 트레일러, 자동차용 차체 부품ㆍ엔진 등의 수출이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시행과 식품 안전사고에 따른 한국식품 인기 등으로 페로니켈, 규소, 석유수지, 설탕ㆍ무알콜 음료, 오븐 등의 수출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교역 부진기에도 지역별 유망시장 또는 유망산업 관련 품목의 수입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수출 활력을 되찾기 위해 맞춤형 제품 개발과 마케팅이 추진돼야 한다면서 특히 2011년 유럽 재정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소비재 수입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소비재 수출상품의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