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으로 ‘뮤직런 평택’ 연 기획사 光州선 4억 받고 국제뮤직콘서트

메르스로 어려움을 겪었던 평택 시민을 위로하고자 경기도가 개최한 뮤직런 평택이 경기도 혁신위원의 잇속을 챙겨주기 위한 행사라는 지적(본보 9월23일자 1면)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해당 공연 기획사가 타 광역지자체와는 뮤직런 평택보다 훨씬 적은 예산으로 국제 뮤직 콘서트를 개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획사는 뮤직런 평택보다 더 적은 예산을 받았음에도 세계 유명 뮤지션을 대거 초청한 것은 물론 관람객도 뮤직런 평택보다 많이 유치해 뮤직런 평택의 예산이 적절하게 사용됐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1일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등에 따르면 도와 평택시, 경기문화재단은 총 4억8천만원을 들여 지난달 4일부터 6일까지 뮤직런 평택을 개최했다. 버스킹(거리공연)형태로 진행된 뮤직런 평택은 국내 86개 인디밴드를 초청해 평택역 앞 시가지, 송탄출장소 앞, 신장쇼핑몰 거리 등 총 16곳에서 100회 공연을 개최했다. 공연 개최 기획사가 추산한 공연 관람객은 모든 공연을 합해 1만5천여명이다. 그러나 뮤직런 평택을 총괄 운영한 A법인은 뮤직런 평택을 개최하기 일주일 전인 8월29일과 30일 광주광역시에서 월드뮤직페스티벌을 개최한 것으로 확인됐다. A법인은 이 행사에는 뮤직런 평택보다 8천만원 가량이 적은 4억원에 행사를 진행했음에도 불구, 이탈리아와 그리스, 중국, 일본 등 국내외 11개국 20개 공연단을 초청해 20회 공연을 펼쳤다. 광주시는 이 공연에 1만5천여명 이상의 관람객이 참여한 것으로 추산했다. 평택 뮤직런 보다 적은 예산으로 개최된 것은 물론 공연 횟수도 뮤직런 평택의 15 수준이지만 비슷한 관람객을 동원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A법인은 뮤직런 평택의 경우 관람객 산정 과정에서 공연을 보러온 인원 외에 단순 거리 유동인구까지 모두 포함해 관람객 수를 집계한 것으로 확인돼 실질적인 관람객은 광주광역시의 월드뮤직페스티벌보다 훨씬 적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A법인 대표이사이자 경기도 혁신위원인 B씨는 월드뮤직페스티벌의 경우 수년 전부터 콘서트를 개최해 상대적으로 많은 관람객을 모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작용했을 뿐이라며 뮤직런 평택은 길거리 공연 컨셉으로 진행된 것은 물론 여러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돼 대규모 관람객을 유치하기에는 사실상 무리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문화재단은 뮤직런 평택을 개최하면서 공모를 거치지 않은 채 경기도 혁신위원이 대표이사로 재직 중인 A법인을 내부 추천 형태로 선정, 평택시민을 위로하기 위한 공연이 아닌 혁신위원 잇속을 챙겨주기 위한 공연으로 변질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호준박준상기자

성남시 “청년에 年 100만원 주겠다”

성남시가 기본소득 개념의 청년배당 정책을 전국 최초로 추진, 전국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시의회 등 일각에서는 포퓰리즘 및 총선 대비용 정책이라는 곱지않은 시선도 제기되고 중앙정부의 수용여부도 미지수여서 적지않은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이재명 시장은 1일 오전 시청 한누리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부터 시행하려는 청년배당 정책을 소개했다. 청년배당은 3년 이상 시에서 거주해 온 19~24세 청년에게 재산, 소득, 취업 등에 관계없이 연 100만원(분기별 25만 원)씩 균등하게 지급하는 것이 주요 핵심이다. 단, 청년배당금은 현금 대신 유통기한이 설정된 지역상품권 또는 지역 내에서만 사용가능 한 전자화폐 등으로 지급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한다. 시는 재정여건 등을 감안해 첫 시행을 하는 내년에는 우선 24세 1만1천300명을 대상으로 삼을 계획이다. 이에 필요한 예산은 113억원 규모다. 이 시장은 현재 대한민국 청년들의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며 청년배당은 이러한 청년세대에게 작은 희망을 주기 위한 시도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시장은 삼포, 오포세대를 넘어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집, 꿈, 희망조차도 포기한 칠포세대라는 조어까지 유행하고 있고, 심지어 무한대의 포기라는 의미로 N포세대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는 청년배당 정책을 국가정책으로 채택해 정부의 역할을 다해달라고 제안했다. 앞서 시는 선거법 위반 논란 등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지난 9월24일 조례안을 입법예고를 한데 이어 같은 달 25일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보건복지부에 청년배당 정책 도입 협의를 요청했다. 복지부는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90일 이내에 수용, 변경보완 후 수용, 불수용 등의 결정을 내려야 한다. 또 시는 11월 20일12월 21일 열리는 시의회 정례회에 관련 조례안을 상정한다. 안건이 의회를 통과하면 내년 1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청년배당이 현실화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시의회 심의 및 조례 제정 여부가 걸림돌이다. 시의회 새누리당 이기인 의원(서현12, 수내12동)은 무상공공산후조리원, 무상교복 그리고 청년배당까지 이는 내년 총선을 겨냥한 정치적 사전작업이라 확신한다며 무엇보다 그 어디에도 근거가 없는 19~24세라는 특정 나이를 규정해서 100만원을 주겠다는 것 자체가 문제인 만큼 오는 11월 예정된 정례회에서 대상, 재원마련 등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의 수용 여부도 문제다. 시의 무상 공공산후조리원 지원조례는 지난 3월 제정됐지만 보건복지부가 받아들이지 않았고, 무상교복 지원조례도 최근 시의회를 통과했지만 복지부의 수용 여부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인 만큼 청년배당 역시 수용여부가 확실치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지방정부가 빚을 내는 것도 아니고 세금을 아끼고 나눠 시행하려는 복지정책에 대해 중앙정부가 반대하는 것은 지방자치를 근본적으로 훼손하고 복지정책을 후퇴시키는 명백한 월권행위라며 복지부의 조속한 청년배당 수용 결정을 촉구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성남=문민석강현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