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정보산업진흥원, 제2회 대한민국 SW융합 해카톤 대회 대상·우수상 수상

인천정보산업진흥원은 최근 부산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SW융합 해카톤 대회에 참가, 대상과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진흥원은 지역내 8개 팀을 참가시켜 제품 솔루션과 시제품을 개발하는 도전 트랙부문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대상)과 부산광역시장상(우수상)을 수상했다. 대상을 수상한 파노라마랩 팀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해 실시간 파노라마 동영상 생성 시스템 다나와캠을 개발, 대상을 수상해 상금 1천만 원과 해외연수 기회를 얻었다. 또 우수상을 수상한 패피(Passional People)팀은 사진을 통한 유사의류 검색 시스템 찾아옷을 개발, 부산광역시장상과 상금 300만 원을 수상했다. 진흥원은 인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선후배들로 구성된 파노라마랩과 패피팀에 대해 개발 아이템에 대한 피드백과 최종발표 PT 작성요령 조언 등 대회 진출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을 벌였다. 진흥원 한 관계자는 대회에서 발굴된 아이디어와 제품, 솔루션 등은 저작권 등록 지원을 통해 지적재산권 보호를 실시했다며 앞으로도 지역내 소프트웨어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사람책을 빌려드립니다” 수원평학, 독서의 달 맞아 ‘휴먼라이브러리수원 주간week’ 진행

수원시평생학습관과 휴먼라이브러리수원 네트워크준비모임이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2015 휴먼라이브러리수원 주간WEEKS를 화성행궁 광장과 화령전 앞, 매탄동과 고색동에서 19일까지 개최한다. 휴먼라이브러리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듯 이미 준비된 사람책을 빌려 읽으며 우리들이 가진 다양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다시 생각해보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대화의 장이다. 사람책 목록을 보고 대출하고 싶은 사람책을 고르면 서너 명의 독자가 사람책 주변으로 둘러앉아 질문과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다. 휴먼라이브러리는 평소 서로 얘기를 나눌 기회가 거의 없는 사람들, 타인에 대해 아는 것이라고는 단편적인 이미지나 정보 밖에 없는 사람들, 타인을 판단할 때 편견, 고정관념 등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인간관계에 대한 성찰과 자기 계발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2015 휴먼라이브러리수원 주간week에는 이주노동자, 경찰관, 도시농부,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양식적 병역거부자, 오타쿠 대학생, 바리톤 등 16명의 사람책이 독자들과 만날 채비를 마쳤다. 자세한 사항은 수원 매탄동(010-3173-3479), 고색동(031-291-6942~3)으로 문의하면 된다. 박광수기자

성남 분당갑 이종훈의원,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 매각 방침 전면 백지화돼야”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성남시 분당스포츠센터의 민간 매각 방침은 철회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종훈 의원(새누리, 분당갑)은 지난 11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기재부의 올림픽스포츠센터 매각 방침을 강력하게 질타했다. 분당스포츠센터와 일산스포츠센터는 지난 5월 27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기능조정 대상에 포함돼 내년 1월 민간 매각이 추진된다. 이 의원은 현 정부는 100세 시대 견인을 국정과제로 삼고, 지난 5년간 공공체육시설 건립지원비로 5천813억원을 지출해 스포츠시설 확충과 생활체육 저변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데 기재부의 올림픽스포츠센터 매각 방침은 이러한 정부의 국정과제와 정면 배치된다며 문체부는 짓고 기재부는 팔고, 이런 행태가 과연 선진화라 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둔촌스포츠센터의 경우, 매각 당시 105억이었던 건물이 현재 700억을 호가하며 민간업자는 수백억의 이득을 보게 돼 그야말로 국민은 손해보고 업자만 이득을 보는 전형적 사례라고 지적하며 현재 두 올림픽스포츠센터는 민간시설보다 80% 수준의 저렴한 이용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분당의 경우 월 회원 5천129명 월 평균 일일 입장 이용객 8천200명이 이용하는 서민형 공공체육시설로서 자리매김한 올림픽스포츠센터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기재부의 매각 계획은 전면 백지화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분당올림픽스포츠센터의 매각 백지화를 위해 올림픽스포츠센터 매각 철회 촉구 결의서 채택을 상임위에서 요청했고, 여야 간사 협의를 통해 채택될 예정이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