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운세] 8월 9일 일요일 (음력 6월 25일 /丁巳) 띠별 / 생년월일 운세

[오늘의 운세] 8월 9일 일요일 (음력 6월 25일 /丁巳) 띠별 / 생년월일 운세 쥐띠 36년생친척친구문제로 손해 투자금전문제 불리 48년생문서계약성사 뜻을성취 능력인정 친족모임 60년생인기는 좋으나 실속 없고 소득 없어 실망 72년생재물이득 인기있고 사업왕성 연인데이트 소띠 37년생친척친구의 도움 모임성사 뜻을 성취할 때 49년생문서서류계약 문제성공 시험합격 만사 吉 61년생감정이격하고 심신피로하니 휴식 필요할 때 73년생재물이득 구직성사 인기있고 데이트운 吉 호랑이 38년생문서가택 서류문제해결 귀인도움 무난해 50년생헛된명예생겨 실속없고 분주다사하고 62년생부부 및 연인문제로 재물지출 사업불리 74년생직장문제갈등 남의일로 구설 명예실추 토끼띠 39년생자손근심 있으나 계약차량 이사문제는 吉 51년생만사불리 투자도박 손해 사업불길하고 63년생과욕은금물 50%에서 만족해야 무난하고 75년생직장원만 음식대접 산부인과출입 바쁜날 용띠 40년생자손경사 인기상승 친척단합 실속은 없고 52년생술 및 여자로 재물지출 가정에서 서비스나 64년생자손질병 가정불화 바람기발동 감정억제 76년생친구동료문제로 시비손해 도박 탈선주의 뱀띠 41년생만사불길 건강불리 금전복잡 가정불화 53년생출행 투자사업불리 일찍 귀가나해야 모면 65년생직장문제 변화 자손고민 부부언쟁주의 77년생경쟁문제발생 합심해야 만사무난하고 말띠 42년생투자증권이득 가정화합 외식하고 단합 吉 54년생직장에서 구설 망신조심 말을삼가해야 66년생재물지출 투자도박손해 연인불화조심 78년생시험원만 문서변화 吉 모임성사 만사해결 양띠 43년생수입도 많고 지출도 많을 때 술 오락조심 55년생술 음식생기고 자손과 외식 과음실수조심 67년생친구도움 능력발휘 중심인물 되나 술 조심 79년생기분 나쁘고 소외당할 때 음식주의 말조심 원숭이 44년생자손문제로 재물지출 직장에서 스트레스 56년생투자도박불리 모임 갖고 처세 잘해야 吉 68년생시험합격 문서해결 능력발휘 부모님도움 吉 80년생인기상승 이성화합 술 생기고 여행할 수 吉 닭띠 45년생자손경사 모임초대 직장회식 술음식생겨 57년생친구의조언 전문가와 상담하면 만사해결 69년생부모님 및 문서로 고민생기나 무난히 해결 81년생일진불리 쟁투구설 탈선실수 정신불안 개띠 46년생투자사업 불리 보증서면 손해 가정불화 58년생능력인정 문서해결 고민해결 질투의 대상 70년생인기생기나 실속 없고 연인만나 재물지출 82년생재수원만 바람기발동 술 여자조심 해야 吉 돼지띠 47년생친척동료만나고 의견을 존중해야 모임성사 59년생문서가택 차량문제변동 음식주위 실속 없고 71년생만사불리 혈기부리면 사고구설 망신실수 凶 83년생여행 출행 재물지출 분주다사 탈선주위 사진= 오늘의 운세, 오늘의 띠별 운세, 생년월일 운세 /경기일보 /서일관 원장 청년철학관 작명연구소

‘더지니어스’ 최정문, 이중 스파이로 최종 탈락…진정성 있는 연기들이 시청률 상승에 한몫?

더지니어스 최정문. 더지니어스4(이하 더지니어스)가 시즌 최고 평균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시청자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가수 최정문이 김경훈의 지목으로 최종에서 떨어졌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8일 방송된 더지니어스 제7회는 케이블, 위성, IPTV 통합에서 가구 평균시청률 2.4%로 전 시즌을 통틀어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8일 방송분에선 메인매치로 시드포커 게임이 진행됐다. 이날 시드포커 우승자는 개그맨 장동민에게 돌아갔고, 탈락자는 배우 김경훈으로 선정됐다. 김경훈은 두 개의 연맹에 양다리를 걸치며 이중 스파이 노릇은 한 최정문을 데스매치 상대로 가리켰다. 데스매치는 같은 그림 찾기로 진행됐다. 알파벳과 그림을 연결시킨 연상 기억법을 동원한 김경훈이 최종 승리했다. 결국, 최정문이 최종 탈락자로 선정됐다. 최정문은 탈락한 후 저 때문에 힘든 플레이어분들이 많아서 죄송하다라며 그 결과를 지금 내가 받는다는 생각이 든다고 울먹거렸다. 이에 장동민은 매너손이라며 휴지를 꺼내 건넸고, 최정문은 아직 안울었어요. 안울거에요라며 이를 꽉 물었다. 이어 최정문은 제가 가진 가넷에 대해 이야기해봐야 할 것 같다. 일단 내 가넷은 가장 죄송한 분한테 드리겠다. 유독 가넷이 적은 이준석 오빠한테 주겠다며 가넷을 이준석에게 건넸다. 가넷을 넘긴 최정문은 앞으로 살아남은 여섯 분들 응원하겠다고 말하며 스튜디오를 떠났다. 온라인뉴스팀

OECD “韓 국민 정부 신뢰도 인니·터키보다 낮아”…사법제도 신뢰도 27%로 콜롬비아 수준

OECD 인니 터키보다 낮아. 우리 나라 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지난 2007년 보다는 크게 개선됐지만, 여전히 인니(印尼:인도네시아)나 터키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법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역시 콜롬비아 수준으로 주요 국가들 가운데 바닥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눈에 보는 정부 2015(Government at a Glance 2015)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34%로 조사 대상 41개국 가운데 중하위권인 26위에 머물렀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기관인 갤럽이 국가별로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이뤄졌다. 갤럽은 응답자들에게 국가 정부에 대한 신뢰(Confidence)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하도록 했다. 우리 나라 정부에 대한 신뢰도 34%는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이 믿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는 OECD 평균 정부 신뢰도 41.8%보다 낮은 수치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인도네시아 5위(65%) 터키 10위(53%), 에스토니아 22위(41%), 브라질 24위(36%) 등으로 조사됐다. 이들 국가는 한국보다 국민의 정부 신뢰도가 높았다. 한국과 함께 공동 26위를 기록한 국가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체코 등이다. 한국보다 정부 신뢰도가 낮은 국가는 주로 PIGS(포르투갈이탈리아그리스스페인)로 불리는 재정위기 국가들이다. 이탈리아(31%)를 비롯해 포르투갈(23%), 스페인(21%), 그리스(19%) 등이 하위권이다. 지난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이들 재정위기국 이외에도 OECD 각국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회원국의 정부 신뢰도는 지난 2007년 평균 45.2%에서 지난해 41.8%로 3.3% 포인트 떨어졌다. 다만, 같은 기간에 한국 정부의 신뢰도는 10% 포인트 올랐다. 지난 2007년에는 한국에서 미국산 소고기 수입과 관련해 광우병 파동이 발생했었다. 한국의 정부 신뢰도는 또 다른 국가별 정부 신뢰도 조사에서도 중하위권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홍보기업 에델만의 2015 에델만 신뢰 바로미터에 따르면 중앙 정부에 대한 한국 국민의 신뢰도는 39%로 조사대상국 27개국 가운데 17위였다. 아랍에미리트(89%)와 중국(85%), 인도(85%), 인도네시아(73%), 싱가포르(68%), 네덜란드(67%) 등이 높은 정부 신뢰도를 보였다.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앙 정부를 신뢰하는 국가는 지난해 우산혁명으로 불린 도심 점거 시위로 홍역을 앓은 홍콩(39%)이었다. 한국 사법제도에 대한 국민 신뢰도는 OECD 조사 대상국 가운데 거의 밑바닥 수준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사법제도 신뢰도는 27%(2013년 기준)로 조사 대상국 42개국 가운데 뒤에서 4번째였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사법제도 신뢰도는 54%로 한국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한국에 뒤이어 사법제도 신뢰도가 낮은 국가는 콜롬비아(26%2014년), 칠레(19%2013년), 우크라이나(12%2014년) 등 3개국에 그쳤다. 온라인뉴스팀

3분기 기업실적 '우울' … IT·소비업종 전망치 하락율 두드러져

지난 2분기 실적 발표가 마무리 되고 있는 가운데 3분기 상장사들의 실적 개선에 먹구름이 꼈다. 9일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3곳 이상의 증권사가 실적 전망치를 낸 코스피 상장기업 178개사의 3분기 영업이익 평균 전망치(컨센서스)는 33조4914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개월 전과 1개월 전의 컨센서스와 비교할 때 각각 5.57%와 1.24% 감소한 수준이다.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2개월 전에는 35조4670억원으로, 1개월 전에는 33조9128억원으로 각각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IT 관련 업종과 경기 관련 소비재 업종의 하락률이 두드러졌다. IT가전은 2개월 전에 견줘 57.88% 줄었으며 IT디스플레이(-30.59%), IT하드웨어(-21.10%), 호텔레저(-19.98%), 운송(-17.48%), 미디어교육(-13.60%), 철강(-13.5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2분기 실적 발표 때 '어닝쇼크'(실적 충격)를 시장에 안긴 조선업은 3분기에도 520억원의 영업 적자를 낼 것으로 것으로 전망됐다. 조선업종은 2개월, 1개월 전에는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각각 2720억원과 3357억원의 흑자였다. 반면, 화학은 2개월 전보다 영업이익 전망치가 12.34% 늘어났고 통신서비스(9.55%), 유틸리티(8.87%), 증권(7.62%), 필수소비재(3.00%), 건설(2.55%), 은행(1.72%), 보험(1.25%) 등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2개월 전보다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대폭 개선된 기업은 신세계인터내셔날(66.10%), 현대산업(65.05%), 메리츠종금증권(59.90%), GS건설(51.99%), LF(46.59%) 등이었다. 조승빈 대신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 결과도 중요하지만 향후 실적 전망의 변화가 지수 흐름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향후 전망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