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비트코인’ 등 5천만원 포함 재산 16억…윤상현 63억 감소해 117억 신고

유정복 인천시장의 재산이 지난 2024년 3월보다 1억3천64만8천원이 늘어난 16억9천831만원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광역 지방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국회의원, 광역의원 등 공개대상자 2천47명의 재산공개 내역을 공직윤리시스템과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유 시장은 배우자의 차량 구입 및 주식 매수 등으로 재산이 늘어나고 대출금을 갚아 예금이 줄었다. 특히 유 시장은 배우자와 장남이 각각 비트코인과 이더리움클래식 등 5천867만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다.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지난해 3억4천951만원보다 소폭 오른 3억7천만원을 신고했다. 하병필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배우자의 경기 양평군 땅과 예금, 증권 등 82억1천50만9천원을 신고해 인천지역 광역,기초단체장과 시의원, 시 고위공직자 가운데 가장 많은 재산을 등록했다. 황효진 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2억541만2천원,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29억8천208만9천원을 각각 신고했다. 한진호 인천시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은 배우자 명의로 서울 서초구 아파트와 은평구 근린생활시설, 예금 등 55억6천631만6천원을 등록했다. 인천지역 국회의원 중에서는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동·미추홀을)이 지난 2024년보다 무려 63억원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재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지난해 신고 재산 240억5천523만원에서 배우자의 비상장 주식 금액 감소 등으로 63억3천418만원이 줄어 177억2천105만원을 신고했다. 같은 당 배준영 의원(중·강화·옹진)은 지난해 52억6천145만원에서 2억여원이 늘어난 54억6천577만원을 신고해 뒤를 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계양을)은 31억1천527만원에서 소폭 감소한 30억8천914만원을 신고했다. 민주당에서는 유동수 의원(계양갑)이 39억606만원에서 후원금 증가 등으로 41억3천962만원을 신고했다. 박찬대 의원(연수갑)은 27억6천549만원에 예금과 정치후원금 등이 늘어 29억6천574만원을, 맹성규 의원(남동갑)은 18억3천546만원에서 예금 및 후원금 증가로 19억1천461만원을 신고했다. 김교흥 의원(서구갑)은 8억9천162만원에서 예금 증가 등으로 10억5천158만원이다. 허종식 의원(동·미추홀갑)은 8억1천283만원에서 예금 등이 늘어 9억1천502만원을, 정일영 의원(연수을)은 24억8천992만원에서 배우자의 아파트 취득 등으로 인해 26억6천767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모경종 의원(서구병)은 지난해 부채로 1천61만원의 빚만 있다가, 올해는 소득 및 예적금 때문에 1천952만원을 신고했다. 이훈기 의원(남동을)은 5억8천839만원 예금 증가 및 채무 감소로 1억9천261만원 감소 등 9억758만원을, 노종면 의원(부평갑)은 21억5천510만원 배우자의 아파트 구입 및 예금 증가 등으로 23억4천408만원 신고했다. 박선원 의원(부평을)은 6억7천537만원 예금 및 후원금 증가로 8억3천384만원 신고했고, 이용우 의원(서구을)은 17억5천549만3천원에서 배우자의 신규 채무로 1억9천여만원이 줄어든 15억6천288만9천원을 신고했다 이와 함께 정해권 인천시의회 의장(국민의힘·연수1)은 금 및 백금과 보석류, 동양회 예술품 등을 포함해 7억8천4만3천원을 등록했다. 시의원 가운데는 신동섭 시의원(국민의힘·남동4)이 본인과 배우자의 아파트와 복합건물, 예금 등으로 36억8천228만원을 등록해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이어 이강구 시의원(국민의힘·연수5)이 25억7천35만6천원, 신영희 시의원(국민의힘·옹진)이 24억2천703만9천원을 각각 등록했다. 재산등록의무자는 ‘공직자윤리법’ 6조에 따라 매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이듬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이에 따라 모든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같은 법 제10조에 따라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의 신고 내역을 신고 기간 만료 뒤 1개월 안에 공개해야 한다. 천지윤 공직지윤리위 윤리복무국장은 “국민 상식에 부합하고 신뢰받는 공직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공직자의 성실한 재산등록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등록한 재산 사항에 대해 엄정하게 심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내 단체장 평균 재산 ‘14억7천만원’…경기도의원은 ‘11억900만원’

경기도의원과 경기도내 일선 시장·군수 중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공직자는 김성수 도의원(국민의힘·하남3, 250억836만원)으로 나타났다. 도내 기초자치단체장 중에서는 최대호 안양시장(50억6천735만원)이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도 정기재산변동 공개목록(2024년 12월31일 기준)’에 따르면 도내 기초자치단체장 31명의 평균 재산은 14억7천749만원으로 2023년 말 기준 신고액보다 5.7%(8천943만원) 줄어들었다. 이들 중 최고 재산가는 50억6천735만원을 신고한 최대호 안양시장으로 전년도 신고액(51억6천323만원)보다 9천588만원 줄어들었다. 이어 ▲이상일 용인특례시장(49억1천790만원) ▲이권재 오산시장(27억7천529만원) ▲백영현 포천시장(27억765만원) ▲백경현 구리시장(24억7천762만원) ▲주광덕 남양주시장(24억5천301만원) 순으로 신고액이 많았다. 가장 적은 신고액을 기록한 시장·군수는 박형덕 동두천시장(5천22만원)이다. 박 시장은 지난해(2천627만원)보다 2천395만원 늘어났다. 이와 함께 경기도의원은 154명 중 96명의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재산은 11억900만원으로 종전(11억2천300만원)보다 1천400만원 줄었다. 경기도의원 중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의원은 김성수 의원으로 신고액은 250억836만원이다. 이어 조희선 의원(국민의힘·비례)이 79억4천683만원, 강웅철 의원(국민의힘·용인8) 58억7천658만원, 김종배 의원(더불어민주당·시흥4) 53억8천674만원, 이애형 의원(국민의힘·수원10) 51억8천903만원, 오준환 의원(국민의힘·고양9) 49억6천475만원 순으로 신고됐다. 김진경 의장(민주당‧시흥3)은 전년 대비 4천600만원이 늘어난 5억6천925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 마이너스(-) 3억2천591만원을 신고했던 김정호 국민의힘 대표의원(광명1)은 5억6천936만원이 늘어 2억3천344만원을 신고했다. 또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수원7, 15억8천878만원)은 지난해(15억3천782만원)보다 5천96만원 늘었다. ● 관련기사 : 김동연 지사 1.6억원 증가…경기 국회의원 최대 자산가 안철수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26580422

김동연 지사 1.6억원 증가…경기 국회의원 최대 자산가 안철수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재산이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17명 중 다섯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성남 분당갑)이, 인천 의원은 같은 당 윤상현 의원(인천 동·미추홀을)이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도 정기재산변동 공개목록(2024년 12월 31일 기준)에 따르면 김 지사가 신고한 재산은 건물(전세임차권 포함) 23억6천300만원, 예금 13억4천894만원, 채무 2억1천만원으로 총 35억506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33억3천674만원보다 1억6천832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김 지사 측은 급여와 임대소득 등으로 인한 재산 증가라고 설명했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3억8천908만원 감소한 43억348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임 교육감 측은 지난해 7월 모친 사망 등으로 인한 감소라고 밝혔다. 경기·인천 국회의원의 절반 이상이 지난해 경기침체 속에서도 1억원 이상의 재산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국회의원 재산변동 신고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 의원 60명 중 44명(73.3%), 인천 의원 14명 중 11명(78.5%)의 재산이 증가했다. 특히 경기지역에서 46.6%인 28명, 인천은 57.1%인 8명의 재산이 1억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경기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을)으로 전년도 340억5천35만원에서 지난해 360억3천571만원으로 19억8천535만원이 증가했다. 건물가액은 줄었지만 예금 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어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성남 분당을)이 5억769만원 증가해 뒤를 이었고, 민주당 윤후덕 의원(파주갑) 4억3천130만원, 같은당 박상혁 의원(김포을) 2억7천446만원, 김남희 의원(광명을) 2억4천389만원 순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내 의원 중 최대 자산가는 1천367억8천982만원을 보유한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성남 분당갑)이 차지했으며, 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을)이 360억3천571만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가장 재산이 적은 의원은 민주당 이병진 의원(평택을)으로 -9억45만원이었으며, 민주당 차지호 의원(오산)이 3천817만원, 민주당 이재강 의원(의정부을)이 3억1천483만원으로 3명이 5억원 이하를 기록했다. 인천지역은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 177억2천105만원, 같은당 배준영 의원(인천 중·강화·옹진)이 54억6천577만원으로 인천 의원 자산가 1·2위를 차지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혐의 수사에 따른 구금으로 재산 신고가 유예됐다. 지난 8일 구속이 취소된 윤 대통령은 두 달 안으로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해야 한다. 정기 공직자 재산공개에서 현직 대통령이 빠진 것은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가 도입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 관련기사 : 경기도내 단체장 평균 재산 ‘14억7천만원’…경기도의원은 ‘11억900만원’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26580411

“尹 파면되면 흉기난동” 예고글 작성자 첫 ‘공중협박죄’ 구속영장 기각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 시 흉기 난동을 부리겠다’는 예고글을 작성한 30대를 검거, 공중협박죄를 적용한 첫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기각됐다. 26일 수원지법 이성율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A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열고 “구속의 상당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다”며 기각을 결정했다. 앞서 지난 22일 A씨는 자신의 SNS에 흉기 난동 글을 올린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네티즌의 신고를 받고 수사에 착수, 지난 25일 A씨를 검거했다. 그는 경찰 조사에서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인용하면 흉기와 인화물질을 가지고 가 불특정 다수에게 위해를 가하겠다고 마음을 먹고 SNS에 글을 썼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A씨의 자백 등을 토대로 볼 때 지난 18일 시행된 공중협박죄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 사상 처음으로 이른바 ‘살인예고글’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공중협박죄는 서현역 및 신림역 살인 사건 등 이상동기 범죄가 잇달아 발생하고, 인터넷 등을 통해 공중을 대상으로 한 협박이 지속되면서 대응을 위해 신설됐다. 공중협박죄는 불특정 또는 다수의 생명, 신체에 위해를 가할 것을 내용으로 공연히 공중을 협박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상습범은 형의 2분의 1까지 가중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이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기존 협박죄의 법정형보다 더 무거운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법원의 영장 기각 사유를 검토해서 영장 재신청 여부, 향후 수사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정부 KB손보, PO도 ‘경민 불패’ 과시…기선 제압

의정부 KB손해보험이 ‘도드람 2024-2025 V리그’에서 또다시 ‘경민 불패’를 과시하며 챔피언결정전 진출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 레오나르도 아폰소 감독이 이끄는 정규리그 2위 KB손해보험은 26일 의정부 경민대 체육관에서 벌어진 플레이오프(PO·3전 2선승제) 1차전서 비예나(23점), 나경복(15점), 야쿱(11점) 삼각편대의 활약을 앞세워 러셀이 31득점으로 분전한 3위 인천 대한항공을 3대1(25-20 25-23 18-25 29-27)로 제압했다. 이로써 기선을 제압한 KB손해보험은 1차전 승리팀의 챔피언전 진출 확률 89%를 선점했다. 반면 4년 연속 통합우승을 차지했던 대한항공은 1차전을 내줘 챔피언전 진출에 빨간 불이 켜졌다. 2차전은 오는 28일 오후 7시 인천 계양체육관에서 치러진다. 1세트 KB손해보험은 비예나, 나경복의 공격 득점과 상대의 잇따른 범실, 야쿱의 블로킹으로 9-4로 앞서갔다. 이후 비예나의 후위 공격과 야쿱의 서브 득점, 대한항공의 범실에 편승해 16-8로 크게 앞선 후 24-20서 박상하가 정지석의 공격을 가로막아 첫 세트를 가져갔다. KB손해보험은 2세트서도 비예나의 연속 후위 공격과 나경복의 오픈 공격으로 7-3으로 초반 리드를 잡은 뒤, 꾸준히 3~4점 차의 격차를 유지하며 16-11로 경기를 리드했다. 대한항공도 정한용의 공격을 앞세워 차근차근 따라붙어 20-20 동점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KB손해보험은 22-22 동점 상황서 박상하의 속공과 상대 정한용의 공격 범실로 세트포인트에 먼저 도달한 뒤 24-23서 비예나가 퀵오픈을 성공해 세트를 추가했다. KB손해보험의 완승으로 끝날듯 하던 분위기는 3세트 들어서 바뀌었다. 대한항공이 세터를 유광우로 바꾼 뒤 러셀, 정한용의 퀵오픈과 김민재의 속공 등으로 중반 이후 리드를 가져갔다. 14-15로 뒤진 상황서 연속 4득점으로 19-14로 앞서갔고, KB손해보험의 범실이 잇따르며 손쉽게 세트를 따냈다. 4세트 전열을 재정비한 KB손해보험은 비예나의 3연속 후위 공격과 나경복의 퀵오픈으로 4-0으로 초반 기선을 잡았다. 그러나 대한항공이 다시 힘을 내며 이후 역전을 주고받던 양팀은 듀스 접전 끝 KB손해보험이 경기를 끝냈다. 27-27 듀스서 KB손해보험은 세터 황택의의 패스페인트로 매치 포인트를 만들고, 대한항공 러셀의 오픈 공격이 라인을 벗어나 접전이 마무리 됐다.

민주 염태영,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에 “사필귀정(事必歸正)”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의원은(수원무) 26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자 “사필귀정”이라며 “길고도 고통스러웠던 시간, 진실을 위해 묵묵히 싸워온 이 대표께 깊은 위로의 말을 전한다”고 밝혔다. 염 의원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대표께서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며 “정의를 바로 세워준 재판부와 함께해준 국민께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애초부터 ‘이재명 죽이기’를 노린 정치적 기소였다. 정치 검찰은 이재명 한 명을 잡기 위해 증거와 사건을 조작하고, 죄를 뒤집어씌웠다”며 “그러나 수없이 반복된 표적 수사와 왜곡된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진실은 결코 무너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판결은 이재명 한 사람의 명예 회복을 넘어, 민주주의 회복의 출발이자, 부당한 정치 탄압에 앞장선 정치 검찰에게 보내는 단호한 경고”라며 “거짓은 늘 진실 앞에 힘을 잃고 무릎 꿇는다. 이제는 검찰이 정치를 논단하는 시대를 끝내야 한다”고 전했다. 염 의원은 “앞으로 가짜 보수 세력의 총공세는 더욱 거세질 것이다. 이성을 잃고, 더 노골적으로 이재명을 악마화할 것”이라며 “그들의 폭력과 준동을 방치한다면, 이미 윤석열에 의해 상처 입은 우리 민주주의는 또다시 훼손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더욱 단결해야 할 때다. 내란 세력에 맞서 더 굳건하게 똘똘 뭉쳐 ‘윤석열 파면’을 이루고, 사법 정의와 민주주의를 회복시켜야 한다”며 “오직 국민을 위한 나라,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해 나아가자. 이제 민주당이 국민의 부름에 답하겠다”고 덧붙였다.

배정훈·심예린, 회장배 전국종별볼링 고등부 개인전 패권

청소년 국가대표 배정훈(수원유스클럽)과 심예린(양주 백석고)이 제43회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종별볼링선수권대회에서 나란히 남녀 고등부 개인전 정상에 올랐다. 정묘법 감독의 지도를 받는 배정훈은 26일 용인시 엑스핀볼링라운지에서 벌어진 남고부 개인전서 6경기 합계 1천574점(평균 262.3점)의 높은 점수를 기록, 김윤수(남양주 퇴계원고·1천562점)와 최서진(성남 분당고·1천545점)을 각각 12핀, 29핀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초반 3경기에서 모두 260점대의 고른 점수를 기록한 김윤수가 3번째 경기까지 799점으로 선두를 지켰으나, 779점으로 2위를 달리던 배정훈이 4번째 경기서 280점을 치며 220점으로 주춤한 김윤수를 앞질러 선두로 나섰다. 역전에 성공한 배정훈은 5번째 경기서도 279점으로 호조를 보이며 합계 1천338점을 기록했지만, 퍼펙트에 1점 부족한 299점을 친 김윤수(1천318점)에 20핀 차로 쫓겼다. 이어 배정훈은 마지막 경기서도 233점에 그쳤으나, 244점을 친 김윤수를 힘겹게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화성시 동탄빅볼경기장에서 벌어진 여고부 개인전서 심예린은 6경기 합계 1천453점(평균 242.2점)을 마크, 노혜민(경북 선주고·1천405점)과 정윤희(광주 문정여고·1천337점)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심예린은 2번째 경기까지 484점으로 490점의 노혜민에게 뒤졌으나, 3번째 경기서 243점을 기록해 223점에 머문 노혜민에 14점 차로 앞선 선두로 올라섰다. 이어 4번째 경기서 226점으로 주춤해 237점을 기록한 노혜민에 3핀 차로 쫓기며 불안한 선두를 지켰다. 그러나 5번째 경기서 3핀 앞서며 중간 합계 격차를 6핀 차로 벌린 심예린은 마지막 6번째 경기서 268점의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대미를 장식, 226점에 그친 노혜민의 추격을 뿌리쳤다. 한편, 여고부 2인조전서는 신효인·심예린(백석고)이 합계 2천468점(평균 205.7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