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인천항 제1항로 남측구간 및 북항 내 수역 준설 설계용역 착수

인천항만공사(IPA)가 인천항 제1항로 남측구간과 북항 내 수역 준설 설계용역에 착수했다. IPA는 인천항 제1항로 남측구간(13.8㎞)과 북항 내 수역(4㎞)의 적정 수심 확보를 위한 유지준설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에 들어갔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12억4천700만원의 예산을 투입, 제1항로 남측 및 북항 준설을 위한 기초자료조사 및 현황분석, 수심측량, 적정수심 검토(1항로 남측구간), 기본 및 실시설계, 유지준설 관련 계획수립, 2020년 인천항 유지준설공사 실시설계 등을 12개월간에 걸쳐 한다. 현재 인천항 주항로인 제1항로 남측구간과 북항부두 내 수역은 장기간 퇴적으로 계획수심 보다 수심이 낮다. 1항로 남측구간과 북항 내 항로 수심은 각각 11.7m와 8~9.4m로, 계획 수심 14m, 11~14m 보다 낮아 선박 통항과 입출항에 불편을 겪어 왔다. 이에 IPA는 이번 용역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총 공사비 약 1천억원을 투입, 준설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북항 내 진입항로는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서 시행하는 제1항로 북측구간 준설 수심 12m에 맞춰 2024년까지 입구부를 준설한다. 다만, 운영부두 박지(배가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해안 지역) 수심은 계획수심(14m)대로 준설한다. IPA 관계자는 이번 준설공사는 그동안 IPA에서 해온 부두 박지준설 등 소규모 유지준설보다 규모가 큰 첫 대규모 준설사업이다며 항만이용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인천항을 이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중국 사드 규제 풀리나… 크루즈 활성화 기대감 ‘확산’

중국 정부의 사드 규제 해제 분위기가 감돌면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인천항 크루즈터미널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9일 인천시와 항만업계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있는 건강식품 판매기업 이융탕 임직원 5천명은 이날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경영전략신제품 발표회를 겸한 기업회의를 했다. 지난 2017년 중국 정부가 사드 갈등으로 인한 보복에 나선 이후 최대 규모다. 여기에 오는 3월 중국 시진핑 주석이 단독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시 주석의 방한 시점을 전후로 한한령(한류제한령)이 회복 국면에 들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2019년 11월 인천항만공사(IPA)의 대중국 포트세일즈를 시작으로, 최근 중국 여행사와 선사 등에서 비공식으로 인천항 크루즈 터미널의 선석 제공 가능 여부 문의가 느는 추세다.. 이처럼 중국발 크루즈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는 것은 인천이 부산이나 속초에 기항하는 크루즈선과는 달리 지리적으로 중국과 가깝다는 이점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2017년 당시 한한령을 내려 한국 여행 상품과 관련한 크루즈, 전세기, 인터넷 광고, 롯데면세점 등의 이용을 금지했다. 이는 인천 관광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크루즈 운항 횟수가 급감했고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많이 감소했다. 지난 2013년 95척(17만 2천400명), 2014년 92척(18만3천900명), 2015년 53척(8만8천명), 2016년 62척(16만명)의 크루즈가 인천에 기항했지만, 사드 보복 시점인 2017년 17척(3만명), 2018년 10척(2만2천명)으로 급감했다. 2019년에도 10척으로 부진했고, 2020년 기항 예정인 크루즈 역시 총 13척에 불과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항만업계에서는 이번 사드 규제 해제 움직임이 현실화해 인천항 크루즈 실적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항만업계 전체적으로 한한령 해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며 해제(한한령)로 그동안 일본으로만 다니던 노선에 단조로움을 느낀 중국 관광객들의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인천공항공사, 2020년 4단계 건설사업·입국장 면세점 서비스 확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2020년 공항 4단계 건설사업과 입국장 면세점 확대 사업을 본격화한다. 공사는 4조8천400억원을 투입해 제2여객터미널 확장 등 공항 인프라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공사는 오는 10월 제4활주로 공사를 마치고, 6개월간 시험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2024년 4월 제2여객터미널 확대 기본시설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입국장 면세점 서비스도 대폭 늘어난다. 공사는 정부 규제 완화에 따라 여객에게 담배 판매와 향수 시향 서비스를 시작한다. 정부는 오는 3월 입국장 면세점 담배 판매 허용을 위한 관세법 시행규칙을 개정할 방침이다. 담배 판매는 기내 면세점과의 형평성 문제 등을 고려해 1인당 1보루(면세 한도)로 제한한다. 공사는 자율주행 개인운송수단(Personal Mobility) 시범 사업을 통해 여객의 편의도 높인다. 공항을 이용하는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과 제2여객터미널 출국장 서편에 실내 자율주행 차량을 1대씩 도입해 운영한다. 또 로봇이 짐을 게이트까지 운반하는 카트로봇도 오는 10월 정식 운영한다. 공사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을 도입해 클린 에어포트를 만들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공사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수소차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수소충전소 2기를 설치하고, 업무용 차량과 수소셔틀버스를 도입한다. 수소충전소는 오는 6월 제1여객터미널과 2021년 3월 제2여객터미널에 각각 설치할 계획이다. 이밖에 공사는 업무용 차량을 수소차로 바꿔 2024년까지 노후 셔틀버스를 수소 버스로 단계적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공사 관계자는 4단계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스마트 공항을 만들겠다며 면세점 확대 사업과 함께 카트로봇, PM 사업을 등 통해 노인, 임산부 등 교통 약자의 편의를 높이겠다고 했다. 강정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