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입주율 작년 10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 이달 입주 전망도 먹구름

수도권 입주율이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여기에 이달 입주 전망도 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입주율은 82.7%를 기록하며 지난해 10월 84.7% 이후 다섯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이 38.9%로 가장 많았고, 세입자 미확보 33.3%, 잔금대출 미확보 20.8% 등의 순이다. 올 들어 이달 도내 입주 전망도 곤두박질을 쳤다. 3월 경기도 입주경기실사지수(HOSI)는 65.0으로, 1월 72.2, 2월 76.2에 이어 60선으로 내려앉았다. HOSI는 공급자 입장에서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입주 중인 단지의 입주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치로 그 이상이면 입주 여건이 양호하다는 것을, 그 미만이면 입주 여건이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달 전국 HOSI도 62.7로 전월보다 8.6포인트 하락했다. 기업 규모별 전망치는 대형업체가 전월보다 14.3포인트 떨어진 57.2, 중견업체가 0.5포인트 하락한 70.4로 집계됐다. 이달 입주 예정 아파트는 전국 65개 단지 총 4만 969가구다. 이중 경기도에서는 38.1%인 1만 5천620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연구원은 입주 물량이 집중된 수원과 용인, 화성 등 경기도 지역의 대규모 민간분양 단지 사업자는 시장모니터링과 입주 지원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의료법인 효자병원, 용인시 처인구보건소와 치매검진(감별검사)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의료법인 효자병원이 용인시 처인구보건소와 치매검진(감별검사)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용인시민들의 치매 예방 관리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라 유기적인 치매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처인구 지역주민의 치매예방관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지난 12일 진행됐다. 협약으로 처인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는 지역내 치매환자 조기발견등록 및 관리 연계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지역사회 어르신의 치매예방을 위한 교육 및 치매가족서비스 등 치매환자를 비롯한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는데 앞장설 계획이다. 아울러 의료법인 효자병원은 처인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의 치매진단검사 결과 원인에 대한 감별검사가 필요한 이를 대상으로 감별검사를 진행하고, 지역주민에 대한 치매진단검사 및 교육상담자문, 그 밖의 치매예방 및 검진에 필요한 사항을 상호협력할 예정이다. 효자병원 관계자는 처인구보건소와의 협약으로 노인의료복지의 연계체계를 조성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용인시민들이 치매 걱정 없이, 건강한 노년을 맞이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의료법인 효자병원은 치매전문치료병동 및 보건복지부지정 치매임상연구센터를 갖춘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요양병원이다. 지난해 4월 용인시 기흥구보건소와 치매예방관리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맺은 이후 치매 진단검사 및 예방교육을 위한 전문협력의사를 파견하는 등의 연계업무를 진행 중에 있다. 송시연기자

코스피, 외인 대량 매수에 하루 만에 상승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로 네 마녀의 날로 불리는 14일 코스피는 외국인의 대규모 매수에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은 4일 연속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7.27(0.34%)P 오른 2,155.68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는 해외증시 강세 및 노딜 브렉시트 우려 완화로 상승 출발했다. 중국 경제지표 부진 등에 따른 기관외국인 동반 매도세로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장후반 외국인의 매수세 전환으로 상승폭 확대되며 장을 마쳤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천55억 원, 1천413억 원어치를 사들였다. 기관은 4천538억 원어치를 팔았다. 거래금액은 5조 8천억 원가량이었다. 시가총액 상위주 중 SK하이닉스[000660](0.75%), LG화학[051910](1.93%), 한국전력[015760](1.00%), NAVER[035420](0.38%) 등이 상승했고 셀트리온[068270](-0.72%), 현대차[005380](-2.8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3.00%) 등은 하락했다. 업종 전반이 상승했으며, 이 가운데 화학(+1.3%), 건설(+1.2%), 금융업(+0.9%), 서비스업(+0.8%)이 올랐다. 이날, 코스닥은 0.53(0.07%)P 오른 755.42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 Biotech지수 급등(+1.4%) 등 영향으로 외국인 매수세 유입되며 반도체IT주 강세로 4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외국인이 514억 원을 매수했고, 기관과 개인이 각각 6억 원, 262억 원어치를 매도했다. 거래금액은 4조 3천억 원가량이었다. 시총 상위주 가운데 포스코켐텍[003670](0.46%), 코오롱티슈진[950160](0.38%) 등이 상승했고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2.53%) , CJ ENM(-2.44%), 바이로메드[084990](-1.73%), 에이치엘비[028300](-4.08%), 메디톡스[086900](-2.93%), 스튜디오드래곤[253450](-1.97%)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일반전기전자(+1.8%), 반도체(+1.6%), 금속(+1.6%), 비금속(+1.5%)이 상승했다. 코넥스 시장에서는 123 종목이 거래됐고, 거래대금 41억 원이었다. 기관이 3억7천만 원을 매도했고, 개인은 3억3천만 원을 매수했다. 이날, 원화는 +2.2원, +0.2% 오른 1,134.8원으로 장을 마쳤다. 서울=민현배기자

이상원 전 서울경찰청장 "'경찰총장' 나 아니다"

이상원 전 서울경찰청장이 승리 카톡방의 경찰총장 의혹에 대해 강력 부인했다. 이 전 청장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서울경찰청장을 지냈다. 이에 2016년 승리의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언급된 경찰총장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이 전 청장은 14일 경찰청 출입기자단을 통해 강남 쪽에서는 근무 한 적도 없고 주로 본청에서 일했다. 그쪽(승리 등)하고는 연결될 가능성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앞서 민갑룡 경찰청장은 전날 긴급간담회를 열어 2016년 7월 대화방 내용 중 경찰총장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고 밝혔다. 한 유흥업소 관계자가 개업한 클럽이 불법 구조물 설치로 신고당한 일이 언급되자 대화방 참여자 중 한 명이 (유흥업소 관계자에게) 경찰총장이 걱정하지 말라고 보낸 문자를 봤다고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찰에는 경찰총장이라는 직함이 없어 해당 기간 경찰청장이었던 강신명 전 청장과 서울경찰청장이었던 이상원 전 청장이 동시에 언급되며 연루 의혹에 휩싸였다. 강 전 청장은 전날 간담회 직후 승리라는 가수와 일면식도 없다고 해명했으나 이 전 서울청장은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이 전 청장은 해명을 하기도 그래서 가만히 있으려고 했는데, 괜히 뭔가 숨기는 것처럼 보일 것같아 말하게 됐다고 밝혔다.

펜션 등 숙박시설에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 의무화 한다

앞으로 펜션 등 숙박시설에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가 의무화된다. 실내에 설치하는 가스보일러는 숙박시설뿐 아니라 신규 설치되는 모든 시설에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설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15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제34차 안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하고 일산화탄소 사고예방 안전기준 개선 및 화물자동차 과적 근절 대책 등에 대해 논의한다고 14일 밝혔다. 우선 펜션이나 농어촌민박, 외국인관광 도시민박, 한옥체험업 및 개별 난방식 일반 숙박업소 등 숙박시설에 개별 난방기기를 설치할 때는 반드시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달아야 한다. 제도 도입 초기 현장에서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산화탄소 경보기에 대한 제작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또 가스보일러 시공 이후 시공자 확인서류 제출을 의무화하고 일산화탄소 누출 여부도 정기적으로 점검토록 했다. 아울러 다른 숙박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재에 취약한 농어촌민박은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 외에도 피난 유도등, 휴대용 비상조명등, 자동확산소화기 등을 갖춰야 하고 3층 이상 건물은 간이완강기도 설치해야 한다. 이외에도 고질적 안전무시 관행 근절대책 일환으로 추진 중인 화물자동차 과적 근절을 위해 관계기관 합동단속 실시 및 과적차량에 대한 정보공유 등 제도 개선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김명연 국회의원, 시회보장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각종 수당과 지원 및 축하금 등 정부와 협의 없이 무분별하게 실시되는 복지정책을 막자는 법안이 발의됐다. 자유한국당 보건복지위 김명연 의원(안산단원갑)은 14일 정부와 지자체의 중복되는 복지사업을 엄격히 협의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사회보장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 법률안은 사회보장 정책에 대한 다양한 국민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사회보장위의 위원 절반(15명)을 국회에서 추천하도록 하고 사회보장위가 심의조정한 결과를 지자체가 사회보장제도 운영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골자다. 현행법에서도 정부부처나 지자체가 복지사업 등 사회보장제도를 신설 또는 변경할 때 보건복지부 장관과 협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타당성과 재정의 악영향 그리고 기존 제도와 중복 등을 따져보기 위해서다. 하지만 2018년부터 정부가 부동의 결정을 내릴 수 없도록 지침을 변경, 정부와 지자체가 내용이 중복되는 사회복지 제도를 운영하거나 지자체의 재정 형편에 걸맞지 않은 제도를 만드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됐다. 이에 김 의원은 정부가 지급하는 수당과는 별도로 지자체에서도 유사한 선심성 수당과 지원금, 축하금 등 지방재정을 악화시키는 선심성 예산이 살포되고 있다며 지자체의 무분별한 복지남발을 막고 적재적소에 복지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