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13일 ‘BMW 화재사고’와 관련, 징벌적 손해배상 강화와 과징금 부과 근거 마련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민주당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위원단(간사 윤관석)은 이날 원내대표회의실에서 BMW 화재와 관련, 국회-정부-사측이 함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긴급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는 홍영표 원내대표(인천 부평을)와 윤관석(인천 남동을)·김영진(수원병)·김철민(안산 상록을)·신창현(의왕·과천)·임종성 의원(광주을) 등 민주당 국회 국토위 소속 의원과 국토교통부 김정렬 제2차관, BMW코리아 김효준 대표가 참석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BMW코리아 김 대표가 차량 화재 원인과 리콜현황,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으며, 국토교통부 김 차관이 향후 제도 개선에 대해 발표했다. 의원들은 ‘화재 원인이 모호한 상황에서 대책이 충분한가’, ‘한국에서만 유독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6년 말 EGR 결함을 알고도 소비자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은 것은 은폐 아닌가’ 등 화재발생 및 리콜 결정 과정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BMW 사고발생의 패턴과 프로세스를 확인 한 뒤 리콜 결정이 난 것”이라며 “리콜 결정 기간이 통상소요되는 기간인지, 한국에서 잦은 화재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본사에 요청해뒀으며, 본사에서도 진지하게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의원들은 국토부의 ‘뒷북 대응’은 물론, 기본적인 통계의 오류 등 기초적 문제점에 대해서 지적했으며,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철저하고 확실한 결함 조사, 실질적 차량 운행정지명령 방안 모색, 리콜 개선을 밝혔다. 윤관석 국토위 간사는 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의원들은 징벌적 손해배상 강화와 대규모 과징금 부과 근거 신설, 리콜 제도 개선과 자동차 제작결함을 확인하는 분석 체제 개선에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정치일반
김재민 기자
2018-08-13 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