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방송된 KBS2 일일드라마 ‘이름 없는 여자’ 96부에서 갑작스런 화재로 공장에 갇힌 여리(오지은)는 의식을 잃고 쓰러진다.
4년째 공개열애 중인 배우 장신영·강경준 커플이 SBS ‘동상이몽 시즌2 - 너는 내 운명’에 합류한다.
『VIP』, 『살인자의 기억법』 총 2편의 영화가 한글자막 화면해설 영화(배리어프리버전)로 12일부터 28일까지 서울·경기를 비롯 전국 69개 극장에서 선보인다.
KBS가 2017년 새롭게 선보이는 4부작 UHD 다큐멘터리 ‘순례’가 오늘(7일) 첫 방송된다.
닉쿤(2PM)이 ‘마술학교’를 통해 첫 한국어 연기에 도전, “한국에서 하는 첫 드라마, 많은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소감을 전했다.
TNMS (전국 3200가구에 거주하는 약 9천명 대상) 시청률 조사 결과에 따르면 KBS와 MBC 파업으로 정규 프로그램 파행이 이어지면서 연일 북핵 이슈로 중요 뉴스가 터지는데도 불구하고 KBS와 MBC 메인뉴스 시청률이 동시에 하락했다.
6일 방송된 SBS ‘싱글와이프’에서 가수 황혜영의 남편 김경록이 “육아는 도와주는 게 아니라 남자가 하는 것”이라며 육아 철학에 대해 소신발언으로 관심을 끌었다.
지난 5일 별세한 마광수 전 연세대교수의 빈소에서 배우 김수미가 음주 자해소동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우즈베키스탄전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왼발의 달인’ 염기훈(34ㆍ수원 삼성)이 K리그서 3개 대기록 작성에 도전한다. 염기훈은 지난 6일 우즈베키스탄과의 최종예선 마지막 경기에 후반 19분 교체투입 돼 특유의 날카로운 스루패스와 크로스로 한국 대표팀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전성기 못지않은 기량을 과시했다. 비록 30분의 짧은 출전 시간이었지만 그의 활약은 축구팬들에게 ‘역시 염기훈!’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후배들과 함께 한국 축구의 9회 연속 본선 진출을 이루고 7일 귀국한 염기훈이 9월에 도전하는 기록은 3가지로, ‘60(골)-60(도움) 클럽 가입’을 비롯, K리그 최초 100도움 달성과 개인 통산 5차례 한 시즌 두 자릿수 도움 등 K리그 역사에 길이 남을 의미있는 기록들이다.7일 현재 K리그서 통산 59골, 97도움을 기록중인 염기훈이 한 골만 더 넣으면 신태용, 이동국, 에닝요, 몰리나에 이어 K리그 역대 5번째로 ‘60-60 클럽’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특히, 신태용 감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선수 최단기간(342경기) 기록도 경신할 전망이다. 또한 K리그 최초 100도움 달성까지는 3개를 남겨두고 있는 염기훈은 A매치 휴식기 이전인 지난달 19일 강원전에서 2개의 도움을 몰아치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어 9월 중 기록 달성이 유력하다. 여기에 올시즌 9개의 도움을 기록하고 있어 1도움을 추가할 경우 몰리나가 기록한 통산 4회 두 자릿 수 도움을 뛰어넘어 리그 최초로 통산 5회 한 시즌 두 자릿수 도움을 기록하는 선수가 된다. K리그서 한 시즌 두 자릿수 도움을 두 번 이상 기록한 선수가 역대 6명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이 기록은 존귀한 기록이다. K리그 통산 최다 도움기록과 원클럽 최다 도움기록 작성에 이어 통산 5회 한 시즌 두 자릿수 도움까지 K리그 도움 역사를 새로 써가고 있는 염기훈은 대표팀에서 복귀, 오는 10일 오후 3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전남과의 ‘KEB하나은행 K리그 클래식 2017’ 홈 경기에 출전 대기록 작성에 도전한다.황선학기자
최근 발생한 부산 여중생 집단폭행사건에 이어 공분을 사고 있는 강릉 집단폭행사건의 피ㆍ가해자 대부분이 학교 밖 청소년인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학교 관리 밖의 청소년에 의한 학교폭력이 급격하게 증가,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행안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의원(인천 남동갑)이 7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학교폭력 검거자는 2012년 2만3천877명에서 2016년 1만 2천805명으로 4년 만에 절반 가까이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학교 밖 청소년인 학교폭력 검거자는 2012년 2천55명에서 2016년 5천125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에 의한 학교폭력이 증가하면서 작년 기준 학교폭력 검거자 중 학교 밖 청소년 비중이 40%를 차지했다. 학폭 가해자 10명 중 4명이 학교 밖 청소년인 것이다. 2012년 8.6%에서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전체 소년범(만 14세~만 18세) 중 학교 밖 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소년범 중 학교밖 청소년 비중은 2012년 35%에서 2016년 42%로 4년 만에 7% 증가했다. 학교 밖 청소년에 의한 학교폭력 증가는 이들이 관리의 사각지대에서 적절한 교육이나 제어 없이 무방비로 범죄를 저지르고, 이에 대한 대처도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청소년 시절의 범죄로 인하여 학교에서 멀어진 아이들이 사회에서 더 큰 폭력에 노출되고 재범의 위험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박 의원은 “학교밖 청소년에 의한 학교폭력 범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이들에 대한 관리나 통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학교에서 퇴출된 청소년이 더 큰 범죄에 노출되어 사회로부터 단절되지 않도록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