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가족공원 3-1단계 사업추진, 추모와 휴식의 新 장사문화

인천시가 인천가족공원을 장사시설과 환경 친화적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3-1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인천가족공원 3-1단계 사업은 총 사업비 496억4천600만원(국비 91억9천900만원, 시비 404억4천700만원)을 들여18만6천㎡에 분묘보상 4천754기, 봉안당 4만기, 테마형 자연장지 1만4천기, 산책로 등을 추가 건설한다. 사업기간은 2015년10월~ 2020년12월까지이며, 현재 실시계획 인가 고시중에 있다. 시는 오는 9월 봉안당 부지 보상을 완료하고, 10월에는 공사 착공, 12월에는 자연장 부지 보상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2018년 1월에는 자연장 공사 착공, 2020년12월 공사 준공(봉안당 2019년 완료)을 통해 새로운 장사문화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가족공원의 지난해 화장건수는 1일 평균 54.7건으로 총 2만18건(인천시민 1만3천591건, 타 시민 6천427건)이며, 방문자는 300만명에 달한다. 이 같이 방문자수 많은 이유는 현대식 장사시설과 환경 친화적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어, 추모객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인천가족공원에는 1.2km의 생태하천과 주변에는 유채꽃밭 4천㎡가 조성되어있고, 바람개비와 장승 등의 포토존 9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분수 1개소와 실외운동시설물 17개, 파고라(정자) 26개소, 실버카페 1개소 등이 갖춰져있다. 이 때문에 장례를 치른 뒤 조문을 위해 인천가족공원 재방문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 주민 이모씨는 “10년전만해도 님비시설인 화장장이 우리 지역에 들어서있어 주민들의 불만이 적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인천가족공원으로 주민들이 산책을 가는 등 인식이 많이 바뀐것 같다”고 말했다. 시관계자는 “인천가족공원이 도심속에 있는 만큼 기피시설이 아닌 친환경시설로 탈바꿈 시켜 시민들이 자주 찾는 공간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현범기자

대선 후보와 지지자들 각양각색 SNS 선거운동

5월9일 대통령선거일을 하루 앞두고 각 정당과 후보 지지자들이 유권자들의 마지막 표심을 잡기위해 각양각색 SNS 선거운동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문재인 1번가’ 사이트에 지역별, 세대간 공약 소개는 물론 구매자가 폭주하고 있다는 등 후보의 정책 뿐 아니라 자신에게 투표해 줄 것을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선거 마지막 기자회견을 당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생중계로 진행하며, 가난이 되물림되지 않는 서민대통령을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도보와 대중교통을 이용해 시민들과 직접 소통에 나서는 새로운 방식의 선거 운동에 그치지 않고 매일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을 통한 가상현실을 통해서 유권자들을 만나고 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유세일정을 공개하며, 선거 마지막날 유세현장에 함께 동참해 줄 것을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도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을 통해 선거 마지막날 12시간 필리버스킹 세부일정을 게재했으며, 페이스북을 통해 11시30분~23시까지 라이브방송을 진행했다. 선거마지막날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를 홍보하기 위한 유권자들의 이색 SNS 홍보전도 눈낄을 끌었다. 김모(67세)씨는 자녀들에게 문자를 보내 “어버이날선물 대신 이번에는 oo에게 투표해 달라”이라는 내용을 아들 내외에게 보냈다고 했다. 이모(43세)씨는 주변 지인들에게 투표를 망설이지말고 “소신투표하라”는 메세지를 보냈다고 했다. 홍모(31세)씨는 자신의 카카오톡에 “노동이 당당한 나라에 살고 싶다”는 문구로 변경했다. 이밖에도 유권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투표해줄 것을 홍보하기 위해 자신의 카카오톡 등에 후보들의 슬로건을 내걸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허현범기자

경기도, 학생승마강습 지원

경기도가 공부에 지친 학생의 새로운 여가 선용 및 최근 침체된 말 산업 활성화를 위한 승마인구 저변확대를 위해 학생승마강습을 지원한다. 도는 올해 초중고 학생 1만 3천700여 명을 대상으로 학생승마 체험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일반 초중고생은 10회 강습비의 70%를 지원받으며, 장애학생 재활승마 및 저소득층 학생은 전액이 지원된다. 도는 2015년 2천200여 명이던 학생승마 국비사업량을 중앙부처 건의 및 협의를 통해 2016년 1만 1천878명, 2017년엔 1만 3천700여 명으로 확대하는 등 승마 대중화를 통한 승마인구 저변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2016년 경기도말산업육성 및 지원조례에 유소년 전문승마장 인증 조항을 추가해 안전 및 환경 분야에 일정 점수 이상을 취득한 승마장에 한해 학생승마체험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올해에도 6개 승마장을 유소년 전문 우수승마장으로 선정했다. 정상현 도 축산진흥센터장은 “승마는 기초체력 향상, 체형교정, 자신감 및 정서함양 등 심신 양면에 많은 도움이 되는 운동”이라며 “많은 학생의 참여로 말이 주는 기쁨을 알아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은 해당 시군 축산 부서나 학교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정일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