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대'…경제규모·인구·취업자 수 전국 1위

'경기도가 전국 광역시·도 가운데 경제규모·인구수·취업자 수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경기도와 15개 광역시·도의 주요 경제지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지역 내 총생산(GRDP)가 351조원으로 나머지 전국 15개 광역자치단체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는 지역별 생산액, 물가 등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 해당 지역의 총생산액을 추계하는 종합경제지표다. 2위 서울(345조원)과는 6조원 차이가 났지만, 3위 충남(111조원·세종시 포함), 4위 경남(104조원), 5위 경북(95조원)과는 240조∼256조원이라는 압도적인 경제규모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반도체·휴대폰·자동차·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주축산업의 상당수가 경기도에 있는데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그러나 2011∼2015년 연평균 GRDP 성장세는 제주(5.0%), 충남(4.7%), 충북(4.6%)에 이어 4위(4.1%)에 그쳤다. 또 지난해 경기도 1인당 GRDP는 전년(2천680만원)보다 150만원 상승한 2천830만원으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중간수준(8위)을 나타냈다. 이는 전국 평균(3천100만원)을 하회하는 것으로, 서울에 근무지를 둔 경기도 거주 직장인이 많기 때문이라고 한은 경기본부는 분석했다. 인구와 취업자 수에서도 경기도가 전국 1위였다.2016년 말 경기도 인구수는 전년(1천252만명) 대비 19만4천명이 증가한 1천272만명으로 광역지자체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서울(993만명)보다 279만명이 더 많았다. 2016년 중 경기도 취업자 수도 652만명으로 전국 1위로 나타났다.경기에 이어 서울(512만명), 경남(168만명), 부산(166만명), 인천(152만명) 등 순이었다. 2016년 경기도의 재정규모는 13조4천억원으로 서울(18조원)에 이어 2위였고, 재정자립도는 서울(83.0%), 울산(63.8%), 인천(63.1%), 부산(55.4%)에 이어 5번째로 쳐졌다. 경기도의 재정자립도 악화는 지방세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고보조금 등의 의존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이유 때문이다. 지난해 경기도 수출은 전년 대비 77억8천만달러가 감소한 981억 달러를 기록했음에도 광역지자체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연합뉴스

[베스트&워스트] 코스닥,대선테마주 부각…‘코디엠’·‘이에스에이’ 급등

코스닥 지수는 전주 대비 8.12포인트(1.33%) 오른 618.70으로 마감했다. 코스닥은 외국인 순매수에 힘입어 2주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은 534억 원, 개인은 120억 원 어치를 각각 사들였다. 기관은 551억 원 순매도했다. ◇‘벚꽃대선’ 가시권…정치테마주 급등 = 지난주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코디엠이다. 코디엠은 지난 10일 1130원이던 주가가 17일 2170원에 마감해 63.16% 뛰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바이오 플랫폼 사업 진출을 선언한 이후 처음으로 15억6000만 원 규모의 관련 공급계약을 맺었다. 이밖에 아세안 5개국의 독점 사업권을 추가 확보해 국내 100억 원, 아세안 1조 원 규모의 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한편, 코디엠은 본사가 충남 천안에 있다는 이유로 안희정 충남지사 관련 테마주로 분류되기도 한다. 환경생태복원 전문업체 자연과환경은 32.6% 상승했다. 이 회사는 충남 공주시 우성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최근 안 지사가 녹색성장을 강조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이 지난 14~16일 전국 성인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신뢰도 95%,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안 지사의 지지율은 22%를 기록해 최근 2주 사이 12%p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게임 소프트웨어 업체 이에스에이(35.16%)는 14일 가격제한폭까지 뛰었다. 이에스에이는 지난해 11월 선임된 최정환 감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이 사법연수원 동기란 점에서 ‘이재명 테마주’로 꼽힌다. 실적 기대감이 상승세를 이끌어 낸 종목도 있다. KB오토시스(32.66%)는 지난해 영업이익 18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3% 증가했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같은기간 각각 1662억 원, 15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각각 28.3%, 193.5% 늘어난 수준이다. 삼현철강(23.73%)은 올해 철강 업황이 개선될 것이란 증시 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오면서 상승했다. 중국의 철강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국내에 유입되는 중국산 물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이는 곧 국내 업체들의 출하량 증가와 철강 가격 상승이라는 효과를 낳는다. 지난해 영업손실을 기록한 필링크(24.93%)는 올해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강세를 보였다. 회사 측은 올해 실적이 전년대비 200% 신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DSC인베스트먼트(31.93%)도 올랐다.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세계적인 스타 벤처기업 100개를 육성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16일에는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창업 초기인 지난해 말 코스닥 시장에 입성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주저앉은 썬코어·넥스트바이오홀딩스 =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제조업체 썬코어(-24.64%)는 4년 연속 영업손실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우려 속에 급락했다. 썬코어는 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손실이 74억 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적자폭이 확대됐다고 15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대출원리금 연체사실 발생 지연공시 사유로 한국거래소로부터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돼 13일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되기도 했다. 넥스트바이오홀딩스(-21.13%) 역시 최근 4개 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이 발생하면서 관리종목 지정 위기에 놓였다. 이 회사는 13일 장중 1325원까지 떨어져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이밖에 아이티센(-21.63%), 청보산업(-18.10%), 레이젠(-16.60%), 에임하이(-15.51%), 한일사료(-15.33%), 맥스로텍(-14.73%), 정다운(-14.24%), 디오(-13.12%) 등이 주가 하락률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이투데이 제공

[베스트&워스트] 코스피, 호재 만난 ‘신풍제지’·‘잇츠스킨’ 방긋

2월 셋째 주(2월 13~17일)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5.5포인트(0.26%) 상승한 2080.58로 마감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형주가 제자리걸음을 보이면서 전체 지수 상승을 제한했다.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53억 원, 30억 원 순매수했다. 코스피는 최근 한 달째 2060~2080선을 오르내리며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주식분할’ 신풍제지·‘인수합병’ 잇츠스킨 껑충 =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 시장에서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은 신풍제지다. 신풍제지는 지난 17일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해 10일 9210원에서 30.84% 뛴 1만2050원 마감했다. 이 회사는 앞서 16일 유통주식수 확대를 위해 1주당 가액을 5000원에서 500원으로 하는 주식분할을 결정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발행주식수는 349만5870주에서 3495만8700주로 늘어나게 된다. 주식분할에 따라 유통주식수가 10배 늘어나면서 주식거래가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잇츠스킨(25.73%)은 한불화장품을 흡수합병한다는 소식에 급등했다. 잇츠스킨과 한불화장품의 합병비율은 1 대 8.1186341이며, 합병기일은 오는 5월 1일이다. 합병 후 존속회사의 상호는 잇츠한불이다. 회사 측은 경영효율성 증대와 화장품 제조업과 판매업 통합에 의한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이번 합병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막바지 실적발표 기간에 들어선 가운데 화장품 관련주가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관련 우려에도 지난해 호실적을 거뒀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한국콜마홀딩스(21.12%)는 연결기준 잠정 영업이익이 6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4% 증가했다. 매출액은 3304억 원, 당기순이익은 517억 원으로 각각 10.31%, 4851.54% 늘었다. 에이블씨엔씨(16.98%)의 2016년 영업이익은 243억 원을 기록해 전년 보다 37% 확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5% 늘어난 4346억 원, 당기순이익은 15.6% 증가한 180억 원으로 집계됐다. 마스크팩 전문기업 제이준(26.78%)은 최근 주가 급등에도 실적 대비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증권가 분석에 오름세를 유지했다. 이정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제이준은 올해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3000억 원, 863억 원으로 제시했다”며 “올해부터 중국 내 오프라인 매출이 발생하는 점과 지난해 7월에 체결한 2억 달러 규모의 공급계약 이월분을 고려했을 때 달성 가능한 수치”라고 밝혔다. 한편,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테마주로 꼽혔던 성문전자는 지난 13일부터 3거래일 연속 강세를 기록했다. 성문전자는 회사 임원이 반 전 총장의 지인이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반기문 테마주로 분류됐지만, 반 전 총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최근 여러 차례 가격제한폭까지 하락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인 바 있다. ◇‘실적 부진’ 삼성화재·두산중공업, 주가도 뒷걸음질 = 삼성화재(-6.85%)는 지난해 4분기(10~12월) 부진한 실적에 약세를 보였다. 이 회사는 개별기준 4분기 순이익이 853억 원에 그쳐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30% 이상 하회했다. 김도하 KB증권 연구원은 “이미 예상됐던 삼성물산 지분 손상차손 외에도 210억 원 규모 일반보험 내 고액사고와 130억 원대 명예퇴직비용 등 비경상적 비용이 발생했다”면서 목표주가를 37만 원에서 35만5000원으로 낮춰 잡았다. 이밖에 신한금융투자, 삼성증권, IBK투자증권 등도 삼성화재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두산중공업(-5.88%)은 연결기준 4분기 매출액 4조611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54억 원으로 흑자전환했지만, 컨센서스를 한참 밑돈 ‘어닝 쇼크’ 수준이었다. 이에 더해 시가 배당률이 2015년 4%(850원)에서 지난해 2%(550원)으로 하락하면서 투자심리 위축을 불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