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강화군 대한민국 대표 평화안보관광지로 거듭날까

인천시 중구 월미도 인천상륙작전 일대와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가 대한민국 대표 안보관광지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5일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대상지역 1차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인천은 경기도 파주, 수원, 화성과 함께 평화안보 코스로 선정됐다. 문체부는 서울과 제주를 제외한 지역별 특색있는 관광코스를 선정해 이를 집중적으로 발전하겠다는 취지로 테마여행 10선을 선정하고 있다. 3~4곳의 지방자치단체로 이뤄진 코스를 테마로 묶어 중앙-지방정부 간 협력을 통해 관광코스를 개선하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중구 월미도와 월미공원 일대 등 인천상륙작전 지역과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 등 2곳을 각각 1박2일의 안보관광지로 추천했다. 특히 월미공원은 지난 8월 박근혜 대통령이 안보관광지의 하나로 방문한데다 최근 개봉한 영화 ‘인천상륙작전’의 배경무대로도 새롭게 주목받은 곳이다. 월미도 일대에는 1950년 인천상륙작전 당시 피폭에도 살아남은 ‘평화의 나무’와 해군첩보부대의 영령을 기리는 충혼탑, 팔미도 등대 등의 역사유적지가 있다. 강화평화전망대는 2006년 말부터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었던 양사면 철산리 민통선 북방지역 임야에 2008년께 지하1층 지상4층 규모로 조성된 곳이다. 다른 곳에서는 보기 어려운 북한 전경을 고성능 망원경으로 조망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문체부는 이달 중으로 전문가 현장 답사를 통해 1차 선정지역에 대한 심층적인 평가에 돌입한다. 아울러 각 지자체의 자구 노력과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계획을 점검해 최종적인 사업대상지역을 확정할 계획이다. 관광수요자 관점에 맞춘 모니터링단도 운영한다. 대학생과 주부, 외국인 등 120명으로 구성되는 모니터링단은 선정된 관광지를 실제로 여행해보고, 관광객이 겪을 불편사항 등을 미리 점검한다. 또 빅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관광객의 연령, 성별, 소비·숙박유형 분석을 활용해 구체적인 개선목표도 세운다. 이와 관련 시의 한 관계자는 “경기도 3개 지자체와 충분한 협의과정을 거쳐 안보분야 관광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심폐소생술 교육 홍보 위해 ‘심(心)사랑 서포터즈’ 모집

경기도가 심폐소생술 교육과 홍보 강화를 위해 ‘심(心)사랑 서포터즈’ 를 모집한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30일까지 심폐소생술 홍보와 교육을 지원하는 ‘심사랑 서포터즈’ 600명을 모집한다. 유형으로는 보건교사, 산업체 안전관리요원 등 보조강사로서 활동 가능한 ‘심사랑 서포터즈 I(Instructor)’ 200명과 심폐소생술 관련 홍보를 담당할 ‘심사랑 서포터즈 P(Provider)’ 400명을 선발한다. 심사랑 서포터즈 I는 4시간 가량의 심화교육을 받은 뒤 지역과 직장 내에서 실시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의 보조강사로 활동하게 된다. 심사랑 서포터즈 P는 심폐소생술 일반인과정 150분을 수료하고나서 SNS를 통해 심폐소생술 소식지 전달, 심폐소생술 카페활동 등을 할 계획이다. 배수용 도 보건복지국장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 홍보와 관련 교육이 제일 중요하다”면서 “심사랑 서포터즈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꾸준히 알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심사랑 서포터즈 지원을 원하는 도민은 네이버 카페(http://cafe.naver.com/ggheart12)나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031-8086-2611)으로 문의하면 된다.

경기북부청, 국회에 현안 건의

경기도 북부청이 수도권 제2순환(김포~파주) 도로와 국도 39호선 원당~관산 간 도로 개설, 폴리텍대학교 경기북부 캠퍼스 건립,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둘레길 조성 등 담당 업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2천100억 원 규모의 국비 추가 확보에 나섰다. 15일 도 북부청은 양복완 행정2부지사를 중심으로 한 간부진이 국회를 방문, 내년에 추진해야 할 9개 사업 2천125억 2천만 원의 국비 증액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도 북부청은 우선 북부지역의 만성적인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수도권 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교통량 분산 등 광역교통수요의 시급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2017년부터 2012년까지 추진되는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사업비 1조 4천960억 원 중 내년 사업비 994억 원을 요청했다. 북부청은 애초 1천억 원의 사업비를 건의했으나 정부는 6억 원만을 반영했다. 도 북부청은 또 지난 2004년부터 추진된 국도 39호선 토당~원당, 원당~관산 구간 국도 대체우회도로 건설사업이 내년 완공 예정임에도 국비 지원 미흡으로 장기간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함에 따라 각각 447억 원과 217억 원을 추가 지원해 줄 것을 건의했다. 더불어 도 북부청은 지난 2015년 도입한 2층 버스의 만족도가 73%에 달하고 출퇴근 기여도도 79%에 이르는 만큼 증차 필요성이 대두함에 따라 차량 구입비 150억 원을 확보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도 북부청은 북부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 2019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추진 중인 폴리텍대 경기북부캠퍼스가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가 반영한 12억 원보다 126억 원을 추가로 확보해 줄 것을 국회에 건의했다. 이 밖에도 도 북부청은 경기국제보트쇼가 아시아 3대 보트쇼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비 지원이 1억 8천만 원에 그친 만큼 이를 28억 원으로 증액하고 사회적 갈등으로까지 비화하고 있는 반려동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주시 상거동에 추진 중인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 사업비 145억 원을 늘려 줄 것을 요청했다. 정부는 이 사업에 24억 원만을 반영한 상태다.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둘레길 조성사업도 광릉숲을 관통하는 자동차와 탐방로 부재로 말미암아 자연환경 훼손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정부의 신규사업 후순위 반영 기조에 밀려 본예산에 미반영됨에 따라 국회에서 32억 원의 국비를 확보해 줄 것을 건의했다. 조학수 도 기획예산담당관은 “이번에 건의한 9개 사업은 북부지역 발전은 물론이고 도 청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사업이다”며 “도 북부청은 해당 예산이 국회 예결위를 통과할 때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수원지역 팔달구 재건축 최대어 시공 누가 맏나? … 현대엔지니어링·현대산업개발 양강구도

수원 최대규모의 재건축 단지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수원 팔달구의 랜드마크 단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팔달1구역의 시공사 선정이 보름 앞으로 다가오면서, 재건축 최대어를 잡기 위한 대형 건설사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건설업계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산업개발의 양강구도로 좁혀지는 분위기다.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산업개발은 지난 4일 치러진 팔달1구역 시공자 선정 입찰에 참여했다. 입찰에는 이들 건설사 외에도 대방건설이 참여했지만, 도급순위에서 한참 뒤처지는 등 사실상 수주전은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산업개발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모양새다.이 사업은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129-7번지 일대 구역면적 5만8천536㎡에 지하3층~지상29층 아파트 총 1천320가구 및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프로젝트다. 공사비만 수천억 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되는 초대형 사업이다. 유력 후보로 꼽히고 있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산업개발은 다음 달 총회를 앞두고 팔달1구역 주변에서 평일은 물론 휴일까지 반납한 채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이들 회사가 제안한 주요 사업조건을 살펴보면 3.3㎡당 공사비는 현대산업개발 419만3천만 원, 현대엔지니어링 419만8천만 원으로 경미한 차이를 보인다. 이주비는 현대엔지니어링이 무상 1천만 원, 무이자대여 2천만 원을 포함해 총 3천만 원을 지급하고, 현대산업개발은 1천만 원을 지원한다. 공사비 선정 기준일은 현대엔지니어링이 2018년 10월, 현대산업개발이 2018년 7월이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산업개발은 특화설계계획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이 무상 제공 전략을 내세운 반면 현대엔지니어링은 무상 123억 원, 유상 67억원4천200만 원으로 제안한 상태다. 즉 명품 설계안 선택 시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조합과 협의해 공사비가 변동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시공사 선정총회는 다음 달 3일 열린다. 시공사 역시 이날 결정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산업개발이 막판까지 신경전을 벌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주요 사업조건이 엇비슷한 만큼 결국 특화설계에 따른 공사비 변동, 특화설계의 내용 등에서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