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앞두고 부담 커지는 장바구니 물가

김장철을 앞두고 채솟값이 여전히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 식탁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여름 불볕더위로 치솟았던 배추와 파 등 김장 관련 농산물 물가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어 김장비용은 전년보다 많이 들 전망이다. 25일 농협수원유통센터에 따르면, 이날 배추 1포기는 2천960원에 판매돼 전년(1천600원)보다 가격이 85%나 뛰어올랐다.폭염의 여파로 가격이 치솟았던 한 달 전(7천260원)과 비교하면 절반가량 떨어진 수준이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여전히 가격 부담이 크다. 김장 성수기인 11~12월 배추가격은 보통 포기당 1천500원대 전후, 극성수기 때는 포기당 1천700원이다.김장철 배추만큼 수요가 많은 무도 재배면적이 줄고 출하 시기까지 지연되면서 개당 3천200원으로 지난해 980원보다 226.5%나 가격이 급등했다. 전월(2천180원)보다도 가격이 46.8%나 올랐다. 김장 양념 관련 품목도 줄줄이 가격이 인상되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더하고 있다.양념 채소인 대파(1단)는 작황 부진으로 전년(2천300원)보다 10.9% 가격이 높게 형성돼 2천550원에 판매되고 있다. 수원지동시장에서는 이날 기준 파(상품, 1㎏)가 2천500원으로 평년(2천40원)보다 가격이 22.5% 올랐고, 새우젓(1㎏)은 1만3천500원에 판매돼 평년(1만 1천750원)보다 2천원가량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다.김장철 수요가 급증하는 굴은 올해 고수온으로 생산량이 감소해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이날 의정부 유통센터에서 굴(1㎏) 소매가는 2만1천390원으로 평년(1만4천402원)과 비교해 49%나 가격이 올랐다. 문제는 당분간 채소가격 등이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가을 무와 배추 등이 본격적으로 출하를 시작했지만, 여름철 불볕더위에 이어 태풍과 폭우 등으로 주산지의 작황이 좋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농협수원유통센터 관계자는 “폭염과 태풍에 이어 지난주부터 비가 많이 내려 당분간 배추와 무 등의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더 이상 큰 비가 오지 않는다면, 11월 둘째 주 이후에는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광동권 비즈니스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열려

인천상공회의소(회장 이강신)는 인천시, 인천지방중소기업청과 공동으로 인천 중소기업의 중국 시장 개척과 중국 전자상거래(역직구) 활성화를 위해 25일 17개 업체로 구성된 중국 광저우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수출상담회는 인천지역 72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전자상거래의 규모도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광저우 전자상거래협회의 주요 산업별 바이어 및 개별 전자상거래 업체를 초청하여 인천-광저우 비즈니스 발전을 위한 1:1 매칭으로 개최하게 되었다. 인천상공회의소는 광동권 전자상거래 협회와 지난해 9월 우호협약을 체결한 바 있어, 광동권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인천기업과의 교류를 지원하고 인천기업들의 대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돕고자 상담회를 마련했다. 인천상공회의소는 한-중 FTA에 대한 기업들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연초부터 적극적인 지원사업을 전개했다. 지난 6월 인천지역 화장품, 보건식품 제조기업들의 높은 관심 속에 ‘중국 위생허가 취득 설명회’를 개최하며 해당품목의 중국 진출 관련 최신정보 제공을 진행했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이번 상담회를 통해 관내 중소기업들이 구매의사가 있는 중국 바이어와 만나 내실 있는 거래 상담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담회 개최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계약까지 성사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화성지역 곳곳 상가밀집지역 불법주정차 몸살… 시 주차 정책 엉망

화성지역 곳곳의 상가밀집지역이 저녁마다 불법 주정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신규 택지지구들도 벌써부터 주차난이 심각, 시 주차 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25일 오후 6시께 화성시 남양읍 ‘남양뉴타운’ 내 상가밀집지역. 500여m 남짓한 왕복 2차선 도로 양옆에 빼곡하게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주정차 금지’ 표지판이 무색할 정도였다. 길가 양 옆에 주차장 차량 때문에 중앙성을 침범하지 않고는 통행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주류 배달 트럭과 한 승용차가 마주치자 도로는 주차장으로 돌변했다.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교행이 불가능하면서 차량들이 뒤엉킨 것. 해당 주류 트럭은 10여분 가까이 서 있다 가까스로 도로를 벗어났다. 상가마다 음식 테이블을 인도위로 내놓은 탓에 사람들이 도로로 보행, 차량들과 뒤엉켜 사고위험도 상존하고 있었다. 인근 주민 P씨(37)는 “기계식 주차장 설치로 허가를 받은 건물들이 주차장 사용을 하지 않으면서 벌써부터 주차 지옥이 됐다”며 “바로 옆에 시청이 있는데 주차단속도 한 적이 없다”고 불평했다. 동탄2신도시 상황도 비슷하다. 이날 오후 7시께 영천동 상가밀집지역 앞 왕복 2차선 도로 역시 250여m 구간에 양 옆으로 차량이 빼곡히 주차돼 있었다. 좁은 차로를 힘겹게 빠져나오던 승용차가 횡단하던 초등학생을 보지 못해 급정거하는 아찔한 상황도 연출됐다. 차량 교행도 불가능해 골목길을 빠져나가는 데만 20여분 이상씩 걸렸다. 간간히 운전자들 사이에 고성과 말싸움이 오가기도 했다. 화성시 진안동 상가밀집지역은 상황이 더욱 심각했다. 이곳은 주차난을 감당못한 시가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까지 주정차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주정차를 허용하면서 이 일대는 그야말로 주차지옥을 방불케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상인들의 상습 민원 등으로 인해 적극적인 주차단속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심각한 지역의 단속과 공영주차장 건설 등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