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시황] 코스피, 강보합…외국인 ‘사자’에 1960선 턱밑

외국인의 ‘사자’로 코스피가 소폭 상승했다. 지난주 미국 고용 지표 개선과 유가 상승에 따른 미국 증시 상승세도 국내 투심을 크게 회복 시키지는 못했다.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장초반 1960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기관의 매도세가 강해지며 오후 들어 1960선 아래로 떨어졌다. 외국인은 7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다. 7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2.24포인트(0.11%) 오른 1957.87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는 상승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62.87포인트(0.4%) 오른 1만7006.77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전날보다 0.3% 오른 1999.81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지수는 9.598포인트(0.2%) 오른 4717.021를 기록했다. 유가도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35달러(3.91%) 오른 배럴당 35.9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 동향을 보면 개인과 기관의 매도세에도 외국인이 홀로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를 밀어올렸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533억원, 1989억원어치 물량을 팔아치웠지만 외국인은 홀로 2017억원어치 물량을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였다. 증권이 2.68%로 가장 크게 올랐고, 기계, 건설업도 1%대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전기가스업은 2.12%, 섬유의복은 2.11%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등락이 엇갈렸다. 현대모비스가 0.99%로 소폭 상승했고, 삼성전자도 0.66% 올랐다. 반면 한국전력은 2.74% 내렸고, 아모레퍼시픽도 1.96% 하락했다. 코스닥은 전일대비 1.63포인트(0.24%) 내린 672.21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동향으로 보면 개인의 사자에도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를 당해낼수 없었다. 개인은 1201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42억원, 571억원어치를 순매도 했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였다. 섬유/의류가 8.09%로 가장 크게 올랐고, 기타제조(3.31%), 금속(2.41%)도 상승했다. 반면, 제약과 의료/정밀기기, 반도체, 종이/목재 등은 1%대의 하락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등락이 엇갈렸다. 코데즈콤바인이 12.14% 올랐고, 카카오도 2.02% 상승했다. 반면 코미팜은 5.22%, 셀트리온은 4.80% 하락했다. 한편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일대비 2원 내린 1201.4원에 마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환율마감] 원/달러 2원 하락한 1201.4원, 6일째하락..장중 1200원 붕괴

원/달러 환율이 6거래일연속 하락했다. 한달만에 장중 1200원이 무너지기도 했다. 미국 경제지표 호조에 글로벌 금융시장의 리스크온(위험자산선호 심리) 분위기가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하단도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 1200원선을 지켰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1200원 하향 테스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당분간 현 수준에서 추가하락할지 단기반등할지를 지켜보는 관망장도 예상했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말대비 2원 떨어진 1201.4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달 5일 1197.4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원/달러 환율의 최근 6거래일간 낙폭은 37.4원에 달했다. 이날 원/달러환율은 떨어진 역외환율을 반영하며 1199.8원에서 출발했다. 장중저가는 1196.8원으로 지난달 11일 장중기록 1189.9원 이후 한달만에 가장 낮았다. 장중고가는 1203.7원이었다.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99.0원/1200.0원에 최종 호가되며 전장현물환 종가(1203.4원)대비 5.0원 하락한 바 있다. 미 노동부가 4일(현지시간) 발표한 2월 비농업부문 신규 취업자수는 24만2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예상치 19만명을 웃도는 것이다. 2월 실업률도 4.9%를 보이며 2008년 2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외국계은행의 한 외환딜러는 “최근 달러약세 분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원/달러 추가 하락 경계감도 상존한 시장이었다. 아침에는 하락 시도를 하면서 1197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지만 이후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반등 자체는 최근 리스크온 모드속 투자심리 호전으로 크지 못했다. 오후장 늦게는 일부 은행에서 주식관련 매수자금이 나오며 상단이 막혔고 하단 역시 단기 급락 경계감에 막히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수급상으로는 별게 없었다. 업체들은 원/달러가 오를때마다 조금씩 파는 모습 정도였다“며 ”추가 하락할지 단기반등할지 관망하는 상황이 이어질 듯 하다“고 덧붙였다. 시중은행의 한 외환딜러는 “1200원선이 무너지며 하방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봤는데 1200원선에서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는 분위기였다. 개장초 역외 매수 모습이 보였지만 곧바로 스탑물량이 나오며 빠지기 시작하기도 했다”며 “급락에 대한 경계감도 생각보다 두드러지지 않았다. 1200원 하방압력은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오후 3시16분 현재 달러/엔 환율은 0.07엔 떨어진 113.67엔을, 유로/달러는 0.0012달러 하락한 1.0993달러를 기록중이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도농기원, 생육 재생기 시작에 배수로 관리 등 철저한 준비 당부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보리와 사료작물 등의 생육재생기가 시작됨에 따라 배수로 관리, 비료 주기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7일 당부했다. 도농기원에 따르면 보리, 사료작물 등 동계작물의 생육재생기에는 땅이 녹는 즉시 땅을 눌러 토양 수분 이용을 최대화해야 한다. 자라기 시작할 때는 웃거름을 충분히 주고, 롤러가 부착된 트랙터로 땅을 눌러주는 진압 작업을 통해 봄철 건조 피해를 예방하고 뿌리 발육, 가치 치기를 촉진하는 게 좋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는 뿌리가 땅속 깊이 내려가지 않고 자라는 만큼 반드시 진압 작업이 필요하다. 보리와 호밀은 배수로 정비에 신경을 써야 한다. 거름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는 1㏊당 요소비료 220㎏, 청보리와 호밀은 1㏊당 요소비료 120㎏이 알맞다. 가을에 퇴비를 많이 줬거나 봄에 분뇨를 뿌릴 경우 그만큼 양을 줄여야 한다. 웃거름은 일반적으로 겨울이 지나고 나서 생육이 시작될 때 준다. 중북부 지방은 3월 상순이 알맞다. 제때 웃거름을 주면 초기부터 잘 자라 잡초 발생을 막을 수 있고, 생산량도 증가한다고 농기원 측은 설명한다. 임재욱 원장은 “동계작물은 생육재생기 이후의 관리가 품질과 수확량을 결정할 만큼 생육관리가 중요하다”며 “겨울나기 이후에 진압 관리만 잘해도 생산량을 15%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경기농협, 경기농산물 상생협력 판촉행사 1일 세일즈맨 활동

경기지역 농협계 수장들이 경기 농산물 판촉을 위해 1일 세일즈맨으로 나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7일 농협중앙회 경기지역본부(이하 경기농협)에 따르면, 지난 4일 한기열 경기농협 본부장과 신오성 NH 농협생명 경기총국장은 경기농산물 상생협력 판촉행사를 위해 농협 수원농산물유통센터에서 해솔촌 사과 판촉을 위한 1일 세일즈맨으로 활동했다.이 자리에는 안남근 영중조합장, 최성철 일동조합장, 이우복 수원유통센터 사장이 함께했다. 이들은 G 마크를 획득한 고품질 ‘해솔촌’ 사과를 봉지당 4천980원에서 1천원 할인한 3천980원에 특별 할인판매 하며 소비자들에게 경기농산물을 홍보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농협계 시너지 사업으로 진행돼 농업인은 제값을 받고, 소비자는 할인된 가격에 제품을 사는 상생협력 마케팅이 이뤄졌다. NH 농협생명은 경기농협에 홍보비를 지급하고, 경기농협은 해당 농산물에 NH농협생명 기업광고를 싣는 형식이다.이를 통해 얻은 홍보 수익을 농산물 가격 할인에 적용해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 상생하는 효과를 얻었다는 게 경기농협 측의 설명이다. 한기열 경기농협 본부장은 “앞으로도 계통 농협 간 사업연계를 통해 생산농가와 소비자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방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경비원 때려 '집행유예' 50대, 행패 부리다 교도소행

아파트 경비원을 폭행해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50대가 술을 마시고 보호관찰소에서 행패를 부려 교도소에 유치됐다. 의정부준법지원센터는 지난 4일 보호관찰소 내에서 만취한 상태로 욕설하며 소란을 피운 김모(59)씨를 긴급 구인해 의정부교도소에 유치하고 의정부지법에 김씨에 대한 집행유예 취소를 신청했다고 7일 밝혔다. 김씨는 2014년 4월 자신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경비원과 말다툼을 벌이다 경비원의 급소를 걷어차고 넘어진 경비원의 얼굴을 밟아 다치게 한 혐의(상해)로 기소돼 그해 9월 의정부지법에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 및 보호관찰 2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이후 집행유예 기간 음주운전, 상해, 재물손괴 등 죄를 저질러 엄중 서면경고조치를 받고 집중보호관찰 대상자로 지정됐다. 김씨는 보호관찰 상황을 점검받으려고 보호관찰소에 출석한 지난 4일 오전 8시 50분께도 술에 취한 상태였으며 보호관찰관에게 욕설하고 '교도소에 보내라'고 소리지르는 등 행패를 부려 긴급 구인됐다. 김씨는 폭력 등 전과가 12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이 의정부준법지원센터의 집행유예 취소 신청을 받아들이면, 김씨는 6개월을 복역해야 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