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벨벳 컴백, 이전 곡들과의 차이점? “레드의 색이 더 진해졌다”

걸그룹 레드벨벳이 이번 앨범의 타이틀곡 Dumb Dumb과 이전 곡들의 차이점을 언급했다. 레드벨벳은 8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뮤즈 라이브홀에서 첫 정규앨범 The Red의 발매기념 쇼케이스를 열었다. 멤버 조이는 행복, 아이스크림 케이크와 이번 타이틀곡의 차이점에 대해 레드벨벳이라는 팀명은 강렬하고 매혹적인 레드와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벨벳에서 연상되는 세련된 퍼포먼스를 보여주겠다는 뜻이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조이는 이전 행복, 아이스크림 케이크는 레드에 가까운 노래였다며 이번 Dumb Dumb은 첫 정규앨범의 이름처럼 레드를 더 확실히 보여주기 위한 곡이자 이전 곡들보다 레드의 색이 더 진해졌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9일 공개되는 레드벨벳의 정규1집 The Red는 레드벨벳이 Ice Cream Cake 이후 새롭게 선보이는 첫 앨범으로 팀명의 일부인 Red에서 연상되는 이미지의 음악 색깔을 담은 총 10곡이 수록됐다. 타이틀곡 Dumb Dumb은 영국 작곡가팀 런던 노이즈가 작업한 업템포의 댄스곡으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바보처럼 모든 것이 어색하게 변해버리는 소녀의 귀여운 마음을 담은 내용이 담겨있다. 레드벨벳은 10일 엠넷 음악프로그램 엠카운트다운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인하대 융합기술경영학 남기욱씨, 대한민국 명장 선정

산업 현장에 평생을 몸담은 중소기업인이 뒤늦게 들어선 배움의 길에서 숙련기술인 최고 영예인 대한민국 명장에 올라 눈길을 끌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인하대 공과대학 융합기술경영학부 3학년생 남기욱(50신진산업 대표)씨. 남씨는 진주기계공업고 배관용접과에 진학하고서 지난 1982년 경남기능경기대회에서 배관 부문 은상을 받는 등 기술인으로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국내 미개척 분야인 사료 제조 분야에서 플랜트 배관 기술을 체계적으로 개발해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에 이바지했고, 그 공로로 지난 2011년 우수숙련기술자로 선정된 데 이어 이듬해에는 국토해양부 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특히 남씨는 지난 2013년 특성화고교 졸업 후 산업체에서 3년 이상 재직 중인 근로자를 입학 대상으로 하는 인하대 융합기술경영학부의 첫해 입학생으로 늦깎이 대학생이 됐다. 남씨는 융합기술경영학부에서 실무 능력에 체계적인 이론을 접목하는 식으로 기계IT경영을 복합적으로 배웠다. 이러한 노력 끝에 그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15년 이상 산업현장에 종사한 최고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대한민국 명장에 뽑혔다. 대한민국 명장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15년 이상 산업 현장에 종사한 최고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사람이며, 올해는 60개 직종 198명 신청자 중 18개 직종 18명만이 명장으로 최종 선정됐다. 남씨는 그동안 쌓은 기술과 경험을 토대로 배관 관련 응용기술을 개발해 후학들을 위한 교보재와 공구 개발을 돕고 싶다면서 현장 경험을 기초로 전문지식을 겸비하려는 재직자들이 적합한 대학 과정에 과감히 도전하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한편, 남씨는 현재 인천해양과학고와 도화기계공업고에서 학생들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있으며,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기업전담교수로도 활약하고 있다. 김미경기자

화이자, 호스피라 통합 완료…셀트리온,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세계 2위 제약회사인 미국 화이자(Pfizer)가 최근 바이오시밀러 주사약품 전문업체인 미국 호스피라(Hospira)와의 인수통합 과정을 완료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셀트리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 화이자로 인수된 호스피라가 셀트리온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미국 및 유럽 마케팅 파트너이기 때문이다. 8일 한국화이자제약에 따르면 화이자는 지난 3일(현지시간) 호스피라와의 인수통합 과정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안 리드(Ian Read) 화이자 회장은 업계 최고 수준의 주사제 제품 포트폴리오와 주입 기술을 보유한 세계적인 제약사이자, 바이오시밀러의 선도 기업인 호스피라가 화이자의 일원이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화이자의 글로벌 이스태블리쉬트 사업부문은 제네릭 및 특허 의약품 두 부문에서 견고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게 됐다. 또 광범위한 규모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무균 주사제 부문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확보하게 됐다. 특히 호스피라가 현재 시판 중인 제품 및 출시 예정 제품군으로 구성된 강력한 바이오시밀러 제품 포트폴리오는 화이자의 세계적인 단일클론 항체 개발 및 생산역량과 결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화이자는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도 큰 약진을 이루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화이자 관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회사는 탄탄한 파이프라인업계 최고 수준의 개발역량광범위한 실제 상용화 경험을 보유한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했다고 말했다. 이번 화이자의 호스피라 인수로 셀트리온은 화이자의 영업망을 통해 안정적인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매채널이 확대되면서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화이자가 제품 판매를 담당하게 됐다는 점에서 셀트리온의 경쟁력도 한 단계 높아졌다고 업계에선 분석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8월 미국에서 최초로 식품의약국(FDA)에 관절염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의 판매허가를 신청한 상태로, 올 하반기 최종 허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현재 알려져 있다. 만약 램시마가 미국에서 허가를 받게 되면,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작시오(Zarxio)에 이어 미국에서 2번째로 판매허가를 받은 바이오시밀러가 된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타이밍과 마케팅이라며 이번 화의자의 호스피라 인수로 화이자가 제품 판매를 담당하게 됐다는 점에서 셀트리온의 경쟁력은 상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가별 화이자와 호스피라의 통합시점은 해당 국가의 법규와 관련 규제사항 등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