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서 “아군지뢰 탓, 자작극?” 등 해괴망측한 괴담 난무…軍 ”南南 갈등 우려 자제를“

아군지뢰 탓. 북한이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로 비무장지대(DMZ) 지뢰도발사건과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나선 가운데, SNS를 통해 이번 사건과 관련된 괴담들이 끊임없이 나돌고 있다. 이번 사건이 북한군 목함지뢰가 아니라 우리 군 지뢰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부터 우리 군의 자작극이라는 주장까지 난무하고 있다. 한 포털사이트 게시판에 16일 올라온 익명의 글은 북한의 주장이 국방부의 해명보다 몇배는 합리적으로 보인다며 국방부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 다른 글은 지뢰사건이 북한 소행이라는 증거가 있나라며 미국이 북한 소행으로 몰아가라고 하고 그에 충실히 따르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괴담들은 합동조사단이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 10일 직후만 해도 별로 없었지만, 북한이 15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로 남측 조사 결과를 반박한 이후 잇따라 올라왔다. 특히 북한이 담화에서 M-14 대인지뢰를 언급한 것을 계기로 이번 사건이 북한의 목함지뢰가 아니라 우리 군의 M-14 지뢰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도 나돌고 있다. 1980년대 최전방 수색대에서 복무했다는 익명의 누리꾼은 이번 사건이 여름철 폭우 때마다 발생하던 전방 지역의 지뢰 휩쓸림 현상에 의한 통상적인 사고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에서 이번 사건을 남측의 모략극으로 몰아붙인 것을 계기로 이번 사건이 자작극이라는 음모론까지 올라오고 있다. 익명의 누리꾼은 이번 사건으로 박근혜 정부가 국정원 해킹 의혹으로 인한 정치적 위기를 모면했다며 이번 사태로 누가 더 이득을 봤는지 생각하면 (누구의 소행인지) 답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북한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 발표 이후 이같은 주장들이 잇따라 나온 점을 감안하면 담화가 괴담을 부추기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괴담을 유포하는 누리꾼들은 북한의 주장에도 많은 허점이 있다는 점은 간과하고 있다.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는 합동조사단이 현장에서 수거한 구부러진 모양의 용수철과 공이의 사진을 공개했는데도, 폭발된 지뢰의 용수철이라면 적어도 부러졌거나 휘어들었어야 정상이라며 터진 용수철이 아무 일도 없은 듯이 생생하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사실관계와도 맞지 않는 일방적인 주장을 펼친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당국의 발표에 대해 이론이 제기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북한의 일방적인 입장 발표를 계기로 근거 없는 괴담이 나도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사실과 조리에 맞게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대한 의문 제기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근거 없는 음모론 유포는 북한이 의도하는 남남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만큼 자제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싱글족 500만 시대 ‘돌입’…나홀로족 위한 상품들 ‘불티’

싱글족 500만 시대. 싱글족(1인 가구) 500만 가구시대에 돌입하면서 1인 가구용 상품들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16일 현대경제연구원 김광석 산업연구실 선임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1인가구는 지난 2000년 226만 가구(전체가구 대비 15.6%)에서 올해 전체가구의 26.5%에 이르는 506만 가구로 급증했다. 이같은 추세로는 오는 2035년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34.3%인 763만 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인가구는 60대 이상의 고령층을 중심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인가구 가운데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현재 34%로 가장 높고 20대 16.9%, 30대 17.3%, 40대 14.5%, 50대 16.1% 등으로 조사됐다. 평균 결혼연령이 상승하면서 미혼 1인가구는 2000~2010년 연평균 6.8% 늘었고, 이혼 1인가구는 같은 기간 연평균 9.8%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나홀로족(族)들을 위한 상품들도 날개돋친 듯 팔리고 있다. 16일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에 따르면 최근 매출을 증가세가 가장 빠른 품목은 1인 가구를 위한 아이디어 가전. 특히 씻은 쌀을 용기에 담아 전자레인지에 돌리기만 하면 밥이 되는 1인용 밥메이커는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15일까지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4% 늘었다. 세 가지 요리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트리플 프라이팬도 같은 기간 판매가 75% 증가했으며, 30g을 1회분으로 포장한 세탁용 세제는 지난 1월 개당 100원에 출시한 직후 10일 만에 100만 개가 팔리는 기록을 세웠다. 1인 가구를 위한 식품 아이템들도 각광을 받고 있다. CJ푸드빌의 면 전문점 제일제면소가 1인 정찬 메뉴로 출시한 회전식 샤부샤부는 2012년 말 1곳을 선보인 후 인기를 끌며 현재 9곳으로 공급처가 늘었다. 뷔페식 샐러드바를 운영하는 애슐리는 1인 가구 성장세에 힘입어 애슐리의 메뉴를 포장용으로만 판매하는 애슐리 투고를 출범한 지 5년 만에 롯데, 현대, 갤러리아 등 주요 백화점에 입점했다. 매출은 매년 10%씩 느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 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초저금리의 지속과 1인 가구 성장세에 힘입어 10평 안팎의 소형 매물이 꾸준한 판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1인 거주자가 많았던 대학가뿐 아니라 강남의 고급 주택가로도 소형매물 시장이 확산하는 추세다. 가구 업계도 나홀로 족들을 위한 상품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광복 70주년 기념, ‘7,000인 시민대합창‘

광복70주년 평화통일기원 임진강 수영대회

‘광복,분단 70년 평화통일콘서트 2015‘

제5회 부천시장배 생활체육 전국 농구대회

대한독립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