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북부지역은 인천의 대표적인 원도심으로 꼽힌다. 인천시는 루원시티 조성 등을 통해 도시개발을 추진 중이지만 앵커시설 역할을 할 공공시설 유치 방안은 아직도 확정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 당선인이 루원시티 앵커시설로 거론 중인 경인지방국세청 유치 확정, 루원복합청사의 중앙투자심사 통과 등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 인천시교육청 서구 이전을 위해 시교육청과 시 협상의 가교역할을 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21일 시와 지역 정가에 따르면 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김교흥 당선인(서갑)은 루원복합청사 조기 착공을, 신동근 당선인(서을)은 시교육청 서구 이전을 공약화했다. 그러나 루원복합청사 추진을 위해서는 행정안전부의 중앙투자심사 통과가 관건이다. 시는 4월 말 행정안전부에 인천시설공단, 서부수도사업소, 인재개발원, 인천연구원, 인천복지재단, 도시철도건설본부, 미추홀콜센터, 인천관광공사 등을 이전, 루원복합청사를 조성하는 계획을 올릴 방침이다. 루원복합청사 건립비는 인재개발원, 인천연구원, 서부수도사업소 부지 매각금 등을 이용한다는 입장이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10월까지 자체 타당성 검토를 거쳐 오는 12월 중앙투자심사에서 계획 승인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루원복합청사는 루원시티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앵커시설 중 1개다. 루원시티에는 3개 공공용지가 있으며 시는 이 지역에 루원복합청사, 경인지방국세청, 소상공인 클러스터를조성할 방침이다. 경인지방국세청 유치는 이달 말 행정안전부의 승인 여부를 앞두고 있다. 앞서 국세청은 지난 2월 경인지방국세청을 루원시티로 옮긴다는 청사건립계획을 행안부에 제시했다. 루원복합청사와 별도로 추진 중인 인재개발원, 인천연구원 부지 활용 방안은 시교육청과의 협의가 관건이다. 시교육청 이전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 규모를 놓고 시교육청은 1천억원, 시는 500억원의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들 지역 당선인이 루원복합청사의 중투심 통과에 정치력을 쏟고, 시교육청과 시의 협의 중재 등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지적이다. 유권홍 원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루원복합청사의 전제조건은 행안부의 중투심 통과이기 때문에 루원복합청사 조성 공약을 달성하려면 김교흥 당선인은 이 부분에 정치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신동근 당선인은 시교육청과 시를 중재해 시교육청의 서구 이전 공약을 완성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인천뉴스
이승욱 기자
2020-04-21 1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