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경기도민은 교통, 취업, 조세, 부동산 등 공공민간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경기도는 18일 경기도청에서 임문영 미래성장정책관, 용역수행사, 감리업체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완료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경기도가 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빅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통해 도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개발을 추진해온 사업이다. 유동인구, 매출, 수자원, 기상 등 3천여 건의 공공민간 데이터를 수집해 통합저장소에 저장, 가족복지보건, 관광문화체육, 교육취업, 교통건설환경, 농림축산해양, 도시주택, 산업경제, 소방재난안전, 조세법무행정 9개 분류로 나눠 체계적으로 분석관리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데이터분석포털을 구축해 도민이나 공무원들이 언제든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검색해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업정보, 기상정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농업가뭄 분석, CCTV 우선설치지역 분석, 119 골든타임 분석, 내외국인 관광객 방문소비성향 분석 정보를 지도나 그래프 등 다양한 시각화 콘텐츠로 제공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 구현을 돕는다. 뿐만 아니라 도민 누구나 분야별 데이터를 검색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도 서부그랜드 관광지 정보, 농지 가뭄정보를 등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판교에 데이터 분석센터를 마련, 도민 누구나 이곳을 방문해 다양한 데이터 분석도구(R, R-Studio, 파이썬, 태블로, Auto ML 등)를 활용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이달 시범운영한 뒤 오는 4월 정식 오픈할 예정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건설업 페이퍼컴퍼니 의심 추정 업체 도출, 지역화폐 이용률 분석 등의 내용을 추가해 교통경제건설 분야 정책수립을 지원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은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 체계를 확립해 경험과 직관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빅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데이터 분석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도·의정
김창학 기자
2020-03-18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