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위치정보 사각지대를 해소해 재난ㆍ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사물 주소부여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사물주소란 건물이 아닌 각종 시설물의 위치를 도로명주소를 활용해 표시한 것으로, 국민이 지도와 내비게이션 등으로 시설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앞서 도는 지난해까지 도민 실생활에 밀접한 다중이용시설에 지진옥외대피소 1천378개소, 육교 승강기 434개소, 택시 승강장 1천97개소, 둔치주차장 45개소 등 총 3천854곳에 사물주소 부여를 완료했다. 특히 수원시 영통구 광교호수공원 내에 위치정보가 없어 미아ㆍ범죄ㆍ재난 등 안전사고 발생 시 신고자가 위치 설명 곤란 등으로 긴급한 대처가 어려웠던 점을 고려, 지난해 광교호수공원 내 주요시설물 315개소에 사물주소를 부여했다. 이 사업은 지난해 3월 공원 등 대규모 지역에 대한 주소체계 도입 방안에 따라 추진된 것으로, 행정안전부 선도 공모사업으로 선정돼 연구용역을 거쳐 수원시 광교호수공원 내 사물주소 안내시설물 설치를 우선 시범사업으로 추진했다. 도는 올해에도 버스정류장, 야외공연장, 옥외공중전화기, 졸음쉼터, 지진해일대피소 등 국민 안전에 우선한 사물에 주소 부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긴급구조를 위한 긴급출동 시 정확한 위치 정보 제공으로 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소체계 구축에 따른 시설물 관리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권경현 도 토지정보과장은 그동안 주소체계가 없는 지역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 재난ㆍ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다며 앞으로도 위치정보 사각지대에 사물 주소 부여를 확대해 도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도·의정
이호준 기자
2020-01-06 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