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하수 유입량이 증가한 만수공촌 하수처리장 증설을 위한 1천3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당초 재정 사업으로 증설을 추진했지만, 1천억원 이상의 재정 부담과 낮은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 등으로 민자 사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29일 시에 따르면 2017년 하수 유입률이 평균 대비 각각 최고 68.6%, 32.8%를 초과한 만수공천 하수처리장의 증설이 시급하다. 만수공천 하수처리장은 지난 2005년과 1999년부터 각각 가동했다. 4~5년 전부터 만수에서 처리하는 논현서창지구, 공촌에서 처리하는 청라지구 등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하수처리시설 증설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만수공천 하수처리장은 2030 하수계획 인구가 당초 계획보다 각각 8만여명, 4만5천명씩 초과했다. 하수처리장 증설사업은 5년 단위로 사업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인구 증가에 대비해 2025년까지는 처리장 증설이 필요하다. 하지만, 특별회계로 운영하는 시의 하수도 예산으로는 재정사업 증설은 엄두도 못낸다. 하수 특별회계의 최근 4년간 적자는 총 529억원, 연간 133억원에 달하지만 시 일반회계에서 지원해준 예산은 지난해 7억원, 올해는 80억원에 그쳤다. 하수 특별회계 주요 세수인 하수도요금 현실화율도 85%에 그쳐, 시간이 지날수록 적자폭이 늘어나는 구조다. 이런 상황에서 2곳의 하수처리장 증설을 재정 사업으로 하려면 약 1천200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 하지만, 시가 현재 확보한 하수처리장 증설 예산은 20억원으로, 총 사업비의 1.6%에 불과해 재정 사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는 사업자 공모를 통해 민자 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5년 단위 사업계획 시기인 2025년 이전까지 하수처리장을 증설해야 하는 점과, 용역과 설계에 2년, 공사기간 최소 3년이 각각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민자 사업외에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민투 사업은 재정 사업비 1천200억원보다 8%정도가 증가한 1천30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한다. 주재홍기자
인천정치
주재홍 기자
2019-01-29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