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 부재’ 벤투호, ‘플랜B 실험’ 아쉬운 공격력

2019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개막을 앞두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치른 평가전을 통해 실전 점검에 나선 한국 축구대표팀 벤투호가 아쉬운 경기력으로 우려를 낳았다. 파울루 벤투 감독은 1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최종 모의고사를 손흥민 부재에 따른 대안 전술과 대체 선수 역할찾기로 규정했다. 소속팀 일정으로 인해 아시안컵 조별리그 2차전 이후에 합류하는 손흥민의 공백을 메울 대안을 찾는 실전 점검으로 삼은 것이다. 아울러 대표팀 주전 왼쪽 풀백 홍철(수원)과 새롭게 승선한 김진수(전북)가 각각 발목과 무릎 상태가 좋지 않아 출전하지 못한 가운데 벤투 감독은 변형 스리백도 함께 실험했다. 이에 따라 앞선 A매치 6경기에서 써왔던 포백 수비 대신 권경원(톈진)-김영권(광저우)-김민재(전북)를 배치한 스리백으로 경기에 나섰다. 또한 손흥민이 빠진 왼쪽 측면 미드필더 자리에 설 것으로 예상된 황희찬(함부르크)이 왼쪽 윙백, 중원에서 공간을 창출했던 황인범(대전)에 측면 돌파 임무를 맡긴 점이 색다른 장면이었다. 하지만 벤투 감독의 플랜 B는 훈련을 재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선수들의 몸 컨디션 저하로 인해 아직 익숙하지 않은 변형 스리백 전술에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중앙 미드필더로 나선 기성용(뉴캐슬)과 정우영(알사드)이 공격 전개를 매끄럽게 풀어나가지 못한 데다 선수들 간 호흡이 잘 맞지 않아 기대했던 유기적인 협력 플레이는 이뤄지지 않았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경기 초반부터 강한 전방 압박으로 주도권을 잡았다. 이에 한국은 전반 중반까지 기세에서 밀리며 후방 수비에 치중할 뿐 빌드업을 통한 공격 전개를 쉽사리 풀어가지 못해 애초 벤투호의 강점인 높은 볼 점유율을 바탕으로한 활발한 공격 창출이 실종됐다. 다행히 대표팀은 전반 중반 이후 새 전술에 적응하며 황희찬과 황의조(감바 오사카)가 몇 차례 위협적인 슈팅을 기록하며 공격 주도권을 되찾았다. 이후 벤투 감독은 후반 들어 선수 구성과 전술에 변화를 줬다. 황인범 대신 이재성(홀슈타인 킬), 이청용(보훔) 대신 구자철(아우크스부르크)을 투입해 손흥민과 왼쪽 풀백이 빠진 점을 제외하고 플랜 A에 가까운 구성으로 수정했다. 이에 공격 활로가 뚫렸고 승부의 흐름을 가져왔다. 그러나, 고질적인 골 결정력 미숙이 문제였다. 대표팀은 몇 차례 찬스를 득점으로 마무리 짓지 못했고, 후반 36분에는 기성용이 천금 같은 페널티킥 기회를 놓치며 결국 0대0 무승부를 기록했다. 지난 8월 벤투 감독 부임 후 A매치 7경기 연속 무패(3승 4무) 행진은 이어갔지만, 59년 만의 정상탈환을 노리는 대표팀으로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였다.이광희기자

염태영 수원시장 “기해년, 수원 미래 100년 도약의 원년으로 삼아야”

3ㆍ1운동 100주년인 기해년(己亥年)이 새로운 수원의 100년을 열어가는 더 큰 수원을 완성의 원년이 되길 희망합니다 1일 기해년(己亥年) 새해 첫날 팔달산 서장대와 3ㆍ1 독립운동기념탑에서 열린 수원시민 해맞이 행사에 참석한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에서 전개된 3ㆍ1운동을 소개하며 수원의 3ㆍ1운동은 특별한 사람이 아닌, 평범한 민중에 의한 시민혁명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100년 전 위대한 수원의 정신을 계승해 수원의 미래 100년을 이어갈 함성을 어린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모든 시민이 참여해 만들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약 3천여 명의 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이 날 행사는 ▲소원지 쓰기 ▲길놀이비나리 공연 ▲3ㆍ1 독립운동 기념탑 참배 ▲해맞이 함성과 만세삼창 퍼포먼스 등으로 진행됐다. 시민들은 서장대에서 새해 염원을 종이에 적어 행복을 기원하고, 풍물패의 신명 나는 길놀이비나리 공연을 관람했다. 또 기해년 첫 일출을 감상한 뒤 다 함께 함성을 외치며 황금돼지해를 맞았다. 이후 시민과 수원시 3ㆍ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위원들은 3ㆍ1 독립운동 기념탑으로 이동해 기념탑에 헌화하고, 만세삼창을 하며 3ㆍ 1독립운동의 정신을 되새겼다. 염 수원시장은 동장군의 기세가 매서운 새해 첫날, 함께 해주신 시민들께 감사드린다며 황금돼지의 해를 맞아 모든 시민이 행복하고 희망 가득한 한 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