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화탐사대' 신동엽, 이틀 동안 혼수상태 빠졌던 사연은?

방송인 신동엽이 연예계 데뷔도 못하고 죽을 뻔 했던 사연을 전했다. 14일 방송되는 MBC '실화탐사대'에서는 신동엽이 20대 때 화재사고의 여파로 이틀 동안 혼수상태였던 일화를 공개했다.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려고 입구 쪽으로 나가는 순간 살이 다 녹아 내리는 열기에 움직일 수 없었던 신동엽은 같이 있던 친구의 이름을 부르다 유독가스를 마시고 기절해버린 것. 신동엽은 당시 소방관에게 구출되지 않았다면 목숨을 잃었을 거라며 소방대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했다. 또한, 존경하는 직업에 대한 단서가 나오자 김정근은 자신이 어렸을 때 되고 싶은 직업 1위에 '신동엽'이라고 적는 친구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신동엽은 "나도 초등학교 6학년 때 TV를 보면 사람들이 연예인한테 좋아한다고 소리 지르는 게 부러워서 장래희망란에 '조용필'을 쓴 적이 있다"고 밝혀 스튜디오에 웃음을 선사했다. 한편, 이날 방송에서는 최근 녹아 내린 헬멧 사진 한 장으로 감동을 선사한 홍천 화재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대원을 만나보고, 대한민국의 영웅인 소방대원의 현실을 파헤쳐본다. 최근 빈번한 화재사고의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기획한 소방대원들의 현실을 삶을 담은 이야기에 김정근과 강다솜이 눈시울을 촉촉히 적셨는데, 과연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 지 '실화탐사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화탐사대'는 오늘(14일) 오후 8시 55분에 방송된다. 장건 기자

새신부 헤이지니 '대한외국인' 출격…"우승까지 가겠다"

결혼 소식으로 화제를 모은 크리에이터 헤이지니가 '대한외국인'에서 퀴즈 우승을 향해 출격한다. 14일 방송되는 MBC에브리원 '대한외국인' 5회에서는 키즈 크리에이터 헤이지니가 출연해 1,2회 퀴즈 에이스로의 활약을 다시 한 번 펼칠 예정이다. 헤이지니는 지난 13일 자신의 SNS를 통해 결혼식을 올렸다는 소식을 알려 네티즌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그녀의 결혼 소식이 알려지자 주요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장악함을 물론 결혼 기사가 쏟아지며 세간의 이목이 집중됐다. 대한민국을 뜨겁게 한 새신부 헤이지니가 한국인 대표로서 다시 한 번 '대한외국인'들과 맞붙어 한국 퀴즈 대결을 선보인다. 지난 출연에서 거침없는 정답 행진을 보여주며 마지막 10단계까지 올라섰던 '에이스' 헤이지니이기에 그녀의 활약이 더욱 궁금해진다. 이번 방송에서는 세 명의 한국인을 무너뜨린 미국인 존&맥 형제와 토픽 최고등급 보유자 네팔의 수잔이 대한외국인 팀에 합류하여 한국인 팀과의 치열한 퀴즈 대결을 펼친다. 헤이지니는 존&맥 형제와 맞붙어 위기의 순간을 맞았다는 후문. 새신부 헤이지니의 퀴즈 활약은 방송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대한외국인'은 외국인 10인과 한국 스타 5인이 펼치는 신개념 퀴즈 쇼로 14일 오후 8시 30분에 방송된다. 장건 기자

누림센터, 제9회 경기도 장애인 문예미술사진 공모전 시상식 성료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가 14일 누림센터 대회의실에서 제9회 경기도 장애인 문예미술사진 공모전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공모전은 내가 걷는 길이라는 주제로 문예, 미술, 사진 352작품이 접수됐으며 전문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심사를 통해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가작, 입선, 특별상(경기도지사상, 경기도의회 의장상) 등 총 51명의 수상자를 선정했다. 영예의 대상은 장애를 극복하고 종이접기 강사로 재기한 이야기를 담은 어둠에서 빛이 되기까지의 오정환씨(문예부문), 디자이너를 꿈꾸며 그린 멋있는 패션 디자이너가 될래요의 이지태씨(미술부문), 지체장애인의 수공예 작업을 담은 수공예 작업의 임귀빈씨(사진부문)가 차지했다. 수상자에게는 표창과 부상이 주어지며 누림센터 가온갤러리에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중소벤처기업, 창업진흥원, 삼괴고등학교와 협업으로 에코백, 엽서 등 파생상품의 디자인에 공모전 수상작품을 적용하기로 해 의미를 더했다. 제작된 상품의 판매 수익금 전액은 장애인 예술사업 등에 기부될 예정이다. 누림센터 관계자는 장애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담은 작품들을 통해 예술활동에 대한 장애인들의 열정과 탄탄한 창작 역량을 엿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도내 장애인들의 문화여가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