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정원 수원화성’ 주제로 전통조경 전문교육

수원시는 12일 수원시공원녹지사업소에서 공원녹지 분야 공직자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왕의 정원 수원화성’을 주제로 전통조경 전문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수원화성의 조경사(造景史)적 가치 발굴과 전통조경에 관한 공직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마련됐으며, 이달 말 출간 예정인 ‘왕의 정원 수원화성’의 저자 최재군 수원시 푸른조경팀장의 강의로 진행됐다. 이날 강의에서 최 팀장은 △사도세자의 죽음, 영우원 천원(遷園), 경모궁 조경, 용주사 건립 등 ‘화성 축성의 배경과 역사’ △자연일점(自然一點, 자연에 점을 하나 더한다), 진미위적(眞美威敵, 진정한 아름다움은 적에게 두려움을 준다), 검이불루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 등 ‘수원화성 조경의 원칙’ △유교와 효, 민본주의, 실학사상 등 ‘수원화성에 깃든 사상’ △수원의 풍수, 수원화성의 도시계획 등 ‘수원화성의 공간 구성’ △나무, 연지, 누각 등 ‘수원화성의 조경 소개’ 등을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해 설명했다. 이날 교육에 참여한 한 공직자는 “수원화성 곳곳에 스며 있는 전통조경 원칙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며 “오늘 배운 내용을 참고해 수원화성 구석구석을 다시 한 번 둘러보면 새로운 느낌이 들 것 같다”고 말했다. 이명관기자

사립유치원 140원·초교 200원·중학교 290원…市, 내년 학교급식 지원단가 인상

수원시의 2018년도 학교급식 지원단가(1인 한 끼)가 사립유치원은 140원, 초등학교는 200원, 중학교는 290원씩 각각 인상된다. 이에 따라 내년도 수원시 학교급식 단가는 사립유치원 2천600원, 초등학교 2천880~3천660원, 중학교 3천810~4천560원으로 오르게 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단가는 학교별 학생 수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수원시는 12일 수원시청 상황실에서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년도 사립유치원 및 초·중학생 학교급식 지원기준’을 심의·확정했다. 위원회는 소비자물가 상승, 급식 운영경비 인상 등을 고려해 내년도 지원단가를 결정했다. 2018년도 학교급식은 올해와 마찬가지로 사립유치원(만 3~5세) 전체, 초·중학교 전 학년에 지원되며, 지원 대상은 모두 12만 6천여 명이다. 내년도 사립유치원·초·중학교 전체 급식비는 760억 원, 이 가운데 수원시가 부담하는 금액은 304억 원이다.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등 공립유치원 급식은 전액 교육청이 지원한다. 급식비 분담 비율은 △사립유치원 시비 50%, 교육청 50% △초등학교 시비 39.2%, 도비 17.9%, 교육청 42.9% △중학교 시비 41.1%, 도비 14.8%, 교육청 44.1% 등이다. 이택용 수원시 일자리경제국장은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한 심신발달을 위해서는 질 좋은 급식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학생, 학부모, 학교 모두가 만족하는 급식 환경을 만들어 가는 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시의 학교 급식지원은 지난 2010년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시작돼 2013년 사립유치원과 초·중학교 전 학년으로 확대됐다. 유병돈기자

[2017 수원시정 결산] 2. 문화·관광·체육

지난해 ‘수원화성 방문의 해’를 성공적으로 치르며 사상 최초로 ‘700만 관광객(716만 명) 시대’를 열었던 수원시가 올해는 10개월 만에 700만 관광객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관광객 기록 경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수원시 찾은 관광객, 10개월 만에 700만 명 돌파 올해 10월 말까지 수원시를 찾은 관광객은 713만 2천707명으로 지난해 전체 관광객 수(715만 8천954명)에 육박했다. 현재 추세가 이어지면 12월 말까지 800만 명 돌파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수원시는 올해 관광객 수 목표를 500만 명으로 정한 바 있다.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한·중 외교 갈등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했지만, 수원야행과 수원화성문화제가 열린 8~9월에 많은 관광객이 찾으면서 목표를 초과 달성하게 됐다.10월 말 현재 내국인 관광객은 594만 5천33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97만 7천381명)보다 19.44% 늘어났고, 외국인 관광객은 118만 7천37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1만 6천822명)보다 16.19% 줄었다. ■ 수원야행·수원화성문화제 관광객 발길 이끌어 예상을 뛰어넘은 관광객 증가는 지난 9월22~24일 열린 수원화성문화제가 큰 영향을 끼쳤다. 9월에만 159만 1천812명의 관광객이 수원을 찾았다. ‘여민동락의 길’을 주제로 열린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는 시민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기획한 ‘시민 주도형 축제’로 치러졌다. 지난 3월 출범한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성공 개최를 위한 시민추진위원회’는 시민참여 프로그램 발굴, 시민 참여 분위기 조성, 기부금 모금 홍보, 관람객 질서·안전 관리 등 활동을 하며 수원화성문화제 전반을 주도했다. 특히 수원화성문화제의 가장 큰 볼거리인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은 서울 창덕궁에서 화성시 융릉에 이르는 59.2㎞ 구간에서 완벽하게 재현됐다. 을묘년(1795년) 능행차가 창덕궁에서 융릉까지 완벽 재현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었다. 수원화성문화제에는 관광객 75만여 명이 찾았고, 서울·안양·수원시 등에서 이틀 동안 재현된 정조대왕 능행차는 150만여 명이 지켜봤다. 수원화성문화제는 지난 1일 경기도·경기관광공사가 주관하는 ‘경기관광대표축제’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 8월11~13일 수원화성 일원에서 열린 ‘밤빛 품은 성곽도시, 수원야행(夜行)’에도 2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았다. 올해 처음 열린 ‘수원 야행’은 문화재청이 주관하는 ‘문화재 야행’의 하나다. 밤시간대 수원화성 곳곳을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 체험을 하는 ‘수원야행’은 야경(夜景)·야화(夜畵)·야로(夜路)·야사(夜史)·야설(夜設)·야식(夜食)·야시(夜市)·야숙(夜宿) 등 8야(夜)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수원야행은 ‘2018 문화재 야행 공모’에 선정돼 내년에도 열린다. ■ FIFA U-20 월드컵, 성공적으로 개최 지난 5~6월에는 개최중심도시인 수원시를 비롯해 전주·인천·대전·천안·제주시 등 6개 도시에서 ‘FIFA U-20 월드컵’이 열렸다. 6개 대륙 24개국이 참가한 U-20 월드컵에서 한국은 16강에 진출했지만, 포르투갈에 패해 아쉽게 8강 진출이 좌절됐다.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는 예선 6경기, 16강전, 8강전, 3~4위전, 결승전 등 10경기가 열렸다. U-20 월드컵은 전 세계 72개 FIFA 회원국 TV 방송에 송출됐고,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잉글랜드의 예선경기는 최고 시청률 23.1%를 기록했다.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10경기(경기일 6일)에는 모두 12만 1천316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6개 개최도시 중 수원월드컵경기장에 가장 많은 관람객이 찾았다. 한편 지난 9월에는 만석공원 내에 있는 ‘만석거’(萬石渠)가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가 지정하는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됐다. 이로써 수원시는 지난해 ‘축만제’(祝萬堤)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 등재’라는 쾌거를 이뤘다. 지난 10월에는 소화초등학교 건물과 옛 부국원 건물이 문화재청의 등록문화재로 등록됐다.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 등재, 등록문화재 등록에 따라 이들 시설물을 찾는 관광객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명관기자

내 수능 성적은?

“시의회, 환경개선비 깎아 예산 486억 증액”…市 교육청 ‘고교 무상급식 예산안’ 반발

인천시의회가 인천시교육청 내년도 예산안 계수조정을 통해 고교 전면무상급식 예산을 편성하면서 시교육청과의 격렬한 대립이 예고됐다. 12일 시의회와 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2018년도 시교육청 세입·세출 예산안 심사를 통해 내년도 시교육청 예산 총액을 3조5천171억4천750만5천원으로 확정했다. 이번 예산안 심사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던 고교무상급식 예산은 유정복 인천시장의 제안을 그대로 받아들여 총 486억원을 증액했다. 앞서 인천시 예산안 심사에서 고교 무상급식 지원 213억원이 편성된 점을 감안하면, 시교육청이 부담해야 할 고교 무상급식 비용은 기존 저소득층학생 지원 비용인 116억원을 포함해 389억원이 된 셈이다. 현재 시는 고교 무상급식 식품비와 시간제 인건비에 대해서만 50%를 부담하고 나머지 50%는 군·구가 30%, 시교육청이 20%를 부담하라는 입장이다. 이 외 운영비 등은 전액 시교육청이 부담해야 한다. 고교 무상급식에 필요한 금액이 총 730억원임을 감안하면 전체비용 중 53%를 시교육청이, 29%를 시청이 부담하고 18%를 군·구부담으로 돌린 것이다. 사실상 시의회가 시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시의회는 고교 무상급식 재원 마련을 위해 시교육청이 교육환경개선사업비 명목으로 책정된 262억여원 중 97%에 달하는 254억여원을 삭감했다. 교육환경개선사업의 경우 설계비만 반영을 하고 나머지 예산을 전부 감액한 셈이다. 교육환경개선사업이란, 노후된 학교 시설 개선 등 학생들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 비용이다. 이 사업의 설계비만 반영이 될 경우, 개선을 위한 설계는 할 수 있지만 실제 공사 진행 등 사업 집행에 필요한 재원 자체가 없는 셈이라 사업 자체가 무산된다. 시교육청은 시의회 계수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박융수 교육감권한대행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교육환경개선사업에서 설계비만 반영하는 건 아예 사업을 하지 말라는 얘기나 다름이 없다”면서 “이런 계수조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본회의에서 예산안 부동의를 한 뒤, 재의와 재의결 절차는 물론 대법원 제소까지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시교육청은 13일 오전 10시 30분 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계수조정에 대한 시교육청의 구체적인 입장과 함께 향후 대응방향을 밝힐 예정이다. 김경희기자

선거구 획정 법정시한 넘겨… 인천정가 ‘혼란’

2018년 제7회 전국지방동시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인천지역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이 법정 시한까지 제출되지 않아 지역 정가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12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 선거구획정위원회(이하 위원회)는 법정 시한인 이날까지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을 내놓지 못했다. 공직선거법은 위원회가 지방선거 6개월 전까지 시장에게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을 제출하도록 정하고 있다.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은 내년 지방선거일(6월 13일) 6개월 전인 올해 12월 12일까지 나와야 한다. 이후 ‘인천시 구·군의회의원 선거구와 선거구별 의원 정수에 관한 조례’ 개정안이 만들어지고 인천시의회 의결을 받아 최종 결정된다.그러나 위원회는 법정 시한인 이날까지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과 관련한 제대로 된 논의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 선결돼야 하는 기초의원 총정수 및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이 정당 간 갈등에 휩싸인 국회로부터 정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기초의원 총정수 및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은 공직선거법이 정하는 사안이라 국회 차원의 개정이 필요하다. 당장 법정 기한까지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이 나오지 않으면서 출마 예상자들이 느끼는 혼란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특히 중대선거구제 확대 등 관련 사안을 두고 일부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와 정당들의 불만도 거세지고 있다. 이날 정의당 인천시당은 논평을 통해 “시와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선거구 획정안조차 발표하지 못했을 뿐더러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공청회 등도 진행하지 못했다”며 “공청회 등을 하루빨리 개최하고 중대선거구제의 도입 취지에 맞도록 선거구 획정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청회를 진행하기로 다른 광역시보다 이른 결정을 내린 상태라 개최도 빨리 진행될 예정”이라며 “군·구별 기초의원 정수 및 선거구 획정안의 제출이 늦어진 것은 국회에서 기초의원 총정수 및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이 먼저 결정돼야 해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방향 잃은 수도권매립지] 3. 평행선 달리는 인천시·매립지공사

인천시와 서울시, 경기도, 환경부의 수도권매립지 정책개선을 위한 4자 합의에 따른 수도권매립지공사(SL공사) 이관 조건중 현재까지 제대로 이뤄진 사항은 없다. SL공사 이관 조건은 공사 권리와 의무 일체 인수, 매립장 및 3개 시도 공용시설에 대한 자산운용 방향 서울·경기·인천 별도 협의, SL공사 노조와 주변지역 주민 등 관할권 이관으로 발생 가능한 해결방안 제시, 인천시가 이관받은 공사에 대한 관계기관(서울·경기) 운영 참여 보장 등 크게 4가지다. 인천시가 이관 조건 대부분이 답보인 상태에서 SL공사 이관을 쟁점화시키는 이유는 인천시의 대체매립지 용역결과가 오는 2019년 4월 나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체매립지를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할지 정하지 못한 인천시가 ‘SL공사 이관이 매립종료의 마스터키’라는 프레임을 공고히 하는 전략을 세운 것이다. 인천시는 ‘재정적자 상태인 SL공사를 시로 이관할 경우 시 재정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SL공사 노조와 일부 정치권의 주장에 대해서도 SL공사가 재정적자 상태가 아니라며 맞서고 있다.SL공사는 조합 운영을 포함해 지난 25년 동안 적자는 2년뿐이며 운영 역시 공사법상 중앙정부가 아닌 건설 및 운영비 부담주체인 3개 시·도(인천·서울·경기)가 스스로 결정하는 구조라는 게 인천시의 분석이다. 또 인천시는 반입수수료 현실화로 흑자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반입수수료를 인상한 2016년 SL공사의 당기순이익이 흑자 전환된 것을 내세우고 있다. 인천시가 최근 공개한 SL공사의 2016년 포괄손익계산서를 보면 공사 전체 수입과 전체 지출을 포함해 계산한 당기순이익은 189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당기순이익을 봐도 2014년(-480억원)과 2015년(-193억원)만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을 뿐이다. 인천시는 3천여억원에 달하는 이익잉여금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지난 2012년 3천739억여원인 이익잉여금은 지난 2016년 3천343억여원으로 당기순이익의 변동에도 3천억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SL공사 노조와 일부 정치권, 매립지 인근 주민 등은 인천시의 이 같은 주장은 매립지운영과 관리에 있어서 수준 낮은 초보적 인식을 드러내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인천시의 당기순이익 흑자 주장은 회계결산 자료를 제멋대로 해석하는 것이며 실제 SL공사는 지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반입수수료사업 결산결과 약 3천400억원의 적자가 발생, 매립장 기반조성 적립금에서 충당할 정도로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016년 일시적인 당기순이익 흑자(189억원)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에 따른 부정기적 수입(290억원)이 포함돼 발생한 일시적 착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탄소배출권 거래는 SL공사 조직원의 허리띠를 졸라매는 노력에 따른 결과물로 매년 이 같은 상황을 유지하기 어렵고 적립된 이익잉여금은 매립 종료 후 사후관리 비용 등으로 쓰기에도 모자라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의원(인천 부평을)은 “반입수수료를 현실화해 적자를 해결하겠다는 인천시의 주장은 3개 시·도, 주민대표, 사업장폐기물 배출업자 등 이해관계자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그저 실현 불가능한 바람”이라고 지적했다. 주영민기자

2017 경기도체육상 시상식

성남시의료원 건립 60일만에 공사 재개

시공사인 삼환기업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로 중단(본보 11월8일자 12면)됐던 성남시의료원 신축공사가 2개월 만에 재개됐다. 지난 10월 13일 건립 공사가 중단된 지 60일 만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지난달 17일부터 지난 7일까지 삼환기업의 회생채권·회생담보권 조사를 진행, 삼환기업의 계속 공사 이행 신청에 대해 무리가 없다고 판단, 공사 재개를 허가했다. 삼환기업은 현장에 근로자 투입 등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공사는 다시 시작됐지만, 애초 예정대로 내년 4월 말 준공과 개원 일정은 어려워졌다. 개원은 빨라야 오는 2019년 상반기 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공사 중단으로 빚어진 부진한 공정을 만회해야 하고, 미뤄진 기성 공사 대금 지급, 공간 세부변경 등의 설계변경 절차도 밟아야 한다.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시민 참여가 보장된 후속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승연 원장은 “위기를 기회로 삼아 앞으로 대한민국 공공의료의 메카로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시의료원은 전국 최초로 주민 발의로 설립되는 공공병원으로 수정구 태평동 옛 시청 부지 2만4천711㎡에 연면적 8만5천91㎡, 지하 4층ㆍ지상 9층 등의 규모로 건립된다. 24개 진료과목에 513병상을 갖춘다. 사업비는 공사비(1천562억 원), 의료장비 구매비(611억 원) 등을 포함해 모두 2천422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의정부 주택조합 아파트 표류… 속타는 조합원

의정부 모 지역주택조합이 추진하는 주상복합아파트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나서면서 조합원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3월24일 10면) 의정부에서 추진되는 대규모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건립사업 2건이 조합 설립인가조차 받지 못한 채 장기 표류하면서 조합원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11일 시와 지역주택조합 등에 따르면 ‘의정부 팰리스타워’와 ‘녹양역 스카이59’ 등은 각각 의정부역과 녹양역 역세권 초고층 아파트임을 내세워 조합원들을 모집했다. 팰리스 타워는 지난해 12월부터 의정부동에 55층, 6개 동 규모의 아파트 1천764세대를 짓겠다며 모두 1천177명을 모집해 440억 원을 투자받았다. 그러나 팰리스타워 업무대행사 대표 L씨(59) 등 3명은 지난 6월 1일 사기 혐의로 구속됐고, 관계자 A씨 등 12명이 업무상 횡령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면서 사업 추진이 6개월 넘게 중단된 상태다. 녹양역 스카이 59는 가능동 일대에 지상 59층 2천581가구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를 짓겠다며 지난 4월부터 1차 조합원 모집에 나섰다. 1차로 1천375가구를 모집해 모두 600억 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토지주와 업무대행사가 땅값을 놓고 갈등을 겪으면서 지난 7월 30일부터 분양홍보관 문을 닫은 채 2차 모집 등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이 과정에서 토지주가 자금 대행사에 요구, 자금까지 동결되면서 분양대행사 직원 700여 명이 급여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2곳 모두 조합설립 인가조차 받지 않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 조합설립 인가가 나야 시가 나서 관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ㆍ박재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