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사람과 장소의 이야기가 더해지는 원도심 관광 만들기 등 인천 원도심 지역 관광 활성화 복안을 내놨다. 시는 2일 부평의 한 테마카페에서 열린 제5차 관광진흥확대회의에서 4개 중점과제 14개 단위사업이 담긴 원도심 지역 관광 활성화 발표하고 총 282억원의 사업비를 연차적으로 투입키로 했다. 시는 사람과 장소의 이야기가 더해지는 원도심 관광을 만들기 위해 ‘도심관광명소 육성’, ‘인천 미래유산프로젝트 추진’, ‘인천 원도심 밤마실 추진’, ‘원도심 콘텐츠융합형 상설 문화관광프로그램 지원’ 등을 실시한다. 또 관광 여가 하기 편한 원도심을 만들고자 ‘관광수용태세 중점정비지구’, ‘원도심 관광품질고도화’, ‘열린 관광지’, ‘원도심 연계 시티투어 운영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시는 시민참여와 새로운 주체 만들기를 위해 ‘인천관광콘텐츠 랩’, ‘인천형관광두레사업’, ‘지역대학 연계 시민참여형 관광사업’을, 원도심과 관광객을 연결하는 ‘시민여행학교 운영’,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강화’, ‘책임 있는 인천관광 만들기’를 각각 진행한다. 특히 시는 최근 관광트렌드가 개별관광과 틈새 관광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에 착안해 하드웨어 중심의 대규모 인프라사업을 지양하고 시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하는 창의적 콘텐츠 발굴에 집중하겠다는 전략도 세웠다. 이 같은 전략하에 열린 이날 회의는 인천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담고 있지만, 그동안 관광정책에서 소외지역으로 인식돼 온 원도심을 주제로 삼았다. 주제발표에 나선 심진범 인천발전연구원 박사는 ‘원도심 관광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시민의 힘과 창의력에 의한 원도심 관광 활성화’,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콘텐츠’, ‘지역주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유정복 시장은 “올해를 원도심 지역 활성화의 원년으로 삼아 앞으로 주거환경 개선과 함께 원도심 관광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원도심 관광은 물리적인 인프라 개발보다는 지역의 정체성과 미래의 가치를 담은 창의적인 콘텐츠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지역공동체와 시민이 보다 적극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인천
주영민 기자
2017-11-0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