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임대주택과 행복주택, 실버주택 등 저소득층 서민을 위한 주거복지 사업을 늘리고 국비가 아닌 지방비에 의한 인천형 주거복지사업이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3일 연수구 컴팩스마트시티에서 열린 ‘2018년 도로건설분야 주민참여 예산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로 나선 진용범 주민참여예산 도시건설분과 위원장은 “국공유지를 활용한 소단위 공공건설인 영구임대주택, 행복주택, 실버 주택 등 저소득 서민을 위한 주거복지 사업을 늘리고 국비가 지방비에 의한 인천형 주거복지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진 위원장은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인천시의 주택보급률 98.3%와 기존 주택보급률 101.9%와의 차이점을 언급하며 기존 주택보급률 산정방식은 다가구 주택을 1호로 집계하고, 1인 가구를 가구수에 포함하지 않는 등 주거현실과 사회변화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내놨다. 인천지역 총 가구수는 2010년 기준 91만8천850가구다. 이중 자가(51만343가구, 55.5%)와 전세(21만1천497가구, 23.0%)를 제외한 보증부월세(15만4천258 가구, 16.8%), 무보증월세(1만8천711가구, 2.0%), 사글세(4913가구, 0.5%), 무상(1만9천128가구, 2.1%) 등 주거취약계층이 19만7천10가구(21.4%)에 달한다. 진 위원장은 “행복주택사업 등은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청년층의 주거 문제를 해결해 인천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라며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게 추가예산 확보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주영민기자
인천
주영민 기자
2017-09-13 2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