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와이파이 메카’로 만들기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공공 와이파이 확대 구축 작업을 본격 실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산·학·연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공공 와이파이 확대 실무작업반’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실무작업반에서는 효율적인 공공 와이파이 구축을 위한 기술적 방안과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논의한다. 이동통신사, 와이파이 기기 제조사, 플랫폼 사업자, 사물인터넷(IoT) 사업자, 공공기관 등이 참여해 25명 내외 인력으로 구성된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사업자 등이 함께 참여하는 ‘공공 와이파이 협의회’도 운영할 예정이다. 또 공공 와이파이 설치 장소를 무작정 늘리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버스, 학교, 관광지, 우체국, 기차역(객차 내), 공항, 고속도로 휴게소 등을 핫스팟으로 만드는 방안을 계획중이다. 이용고객의 편익을 증진하는 차원에서 정부·지자체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 민간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방안도 모색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무선중계 주파수 이용, 인터넷 전용회선 이용 지원 등 공공기관 등의 공공 와이파이 구축에 대한 지원방안을 함께 검토키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협의회와 실무작업반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와이파이 메카’ 조성의 청사진을 10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전성배 통신정책국장은 “민·관이 합심해 공공 와이파이를 적극 확대함으로써 국민에게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광고, 빅데이터 등 신규 부가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상일기자
경제일반
백상일 기자
2017-08-30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