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수출업체 절반 "수출입 경기 내년에도 어려울 것"

세계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수출입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이 올해 체감경기가 나빴다고 평가했다.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예상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수출 환경이 녹록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진단은 1일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가 기업은행과 거래하는 중소기업 101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6년 4사분기 수출입 중소기업 이슈 조사’에서 분석됐다. 조사 자료에 따르면 응답기업 전체의 54%가 올해 수출입 경기를 ‘나쁘다’ 혹은 ‘매우 나쁘다’로 평가했고 ‘보통’이라고 평가한 기업은 38%, ‘좋다’고 평가한 곳은 8%에 그쳤다.업종별로는 플라스틱 제품 기업의 75%, 전자ㆍ전기 기업의 70%, 철강ㆍ비철금속기업의 60%가 올해 수출입 경기가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응답한 기업의 90%는 현재 글로벌 경제를 ‘위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올해 수출에 영향을 미친 애로사항으로는 ‘수출국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 부진(65%)’이 가장 많이 꼽혔다. 기업들은 아세안, 중동, 미국, 일본, EU 등의 순으로 거래 대상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어려움을 호소했다.해외제품의 경쟁력 강화(16%), 자금조달 어려움(14%)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남은 기간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리스크는 환율 변동성의 확대(70%)였다. 산업구조조정(11%), 한진해운발 물류대란(10%), 유가 변동성 확대(6%)도 리스크를 불러오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중소기업들은 이러한 어려움이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가량(47%)이 내년 수출입 경기가 올해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답했다. 올해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도 32%나 됐다. 반면, 호전될 것이라고 기대한 기업은 21%에 그쳤다.수출 경기가 악화할 것으로 예측하는 기업은 그 이유로 수출국의 경기 부진 심화(43%), 수출국의 수입규제 강화(18%), 원자재비용 상승(18%) 등을 꼽았다. 예상되는 수출입 경기의 호전 시기로는 기업의 34%가 2018년이라고 답했다. 이어 내년 하반기(28%), 2019년 이후(18%) 등의 답변이 나왔다. 수출입 중소기업의 69%는 올해 말 원ㆍ달러 환율이 지금 수준(1천110∼1천130원)보다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 대부분인 94%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이유로 들었다. 중소기업들의 올해 말 원ㆍ달러 환율 평균 전망 값은 1천153원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 프린팅솔루션사업부 '에스프린팅솔루션' 1일 신설 법인 공식 출범

삼성전자 프린팅솔루션사업부가 ‘에스프린팅솔루션(S-Printing Solution)’ 주식회사로 분사해 1일 신설 법인으로 공식 출범했다. ‘에스프린팅솔루션’은 스마트 UX 센터 등의 차별화된 프린팅 소프트웨어와 비즈니스 전략을 통해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견고한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12일 열린 이사회에서 자사 프린팅솔루션사업부를 분할해 사업부 지분 100%와 해외 자산을 글로벌 프린팅 업계 1위 기업인 휴렛 패커드(HP Inc.)에 매각하기로 했다. 최종 합병은 2017년 하반기에 완료될 예정이다.삼성전자는 ‘에스프린팅솔루션’이 HPI에 합병되기 전까지는 국내외 시장에서 변함없이 비즈니스를 하게 된다. 국내 시장에서는 합병 후에도 ‘삼성’ 브랜드로 HPI의 잉크젯 모델 등 제품을 판매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김기호 에스프린팅솔루션 대표이사는 “이번 출범으로 프린팅 사업의 전문성을 더욱 높여 업계 리더십을 강화할 것”이라며 “합병 후에는 라인업 통합 시너지와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을 통해 프린팅 사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에스프린팅솔루션은 국내 사업장과 중국 생산거점, 해외 50여개 판매거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임직원은 약 6천 명으로 지난해 매출은 2조 원을 기록했다. 임직원 6천여 명은 일단 기존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3일 ‘2016 남한산성 국내학술 심포지엄’ 개최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가 주최하고 건국대학교대학원 세계유산학과가 후원하는 2016 남한산성 국내학술 심포지엄이 오는 3일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최재헌 건국대 교수의 ‘성곽유산 보존 관련 국제원칙과 지향점’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이동주 고도유산부장(백제고도문화재단), 김영수 연구교수(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심승구 교수(한국체육대학교 교양학부), 박선아(문화재보수 기술자), 오선화 학예연구사(수원시 화성사업소), 박동석 서기관(문화재청 활용정책과) 등이 주제 발표자로 나온다. 토론에는 김우웅 부소장(한국건축문화연구소), 신영문 학예연구사(서울시 한양도성도감과), 김락기 사무국장(강화고려역사재단), 노현균(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최종규 부원장(한울문화재연구원), 심준용 소장(A&A 문화연구소)이 참여한다. 또 ‘국내 성곽 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주제로 한 종합토론에는 이혜은 동국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전 발표자와 토론자가 참여할 예정이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학술 심포지엄은 아시아 성곽유산 네트워크 구축과 국내 성곽유산 보존 활용의 방향과 현재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했다”면서 “여러 기관의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성곽유산의 보존관리에 대해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뮤지컬 맘마미아, 11월 4~6일 군포시문화예술회관 공연

전 세계가 사랑한 21세기 최고의 뮤지컬 ‘맘마미아’가 군포에 상륙한다. (재)군포문화재단은 4일부터 6일까지 총 4회에 걸쳐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에서 뮤지컬 ‘맘마미아’를 공연한다. 맘마미아는 세계적인 팝그룹 ‘ABBA’의 대표적인 히트곡 22곡과 모든 세대가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이야기가 완벽한 조화를 이룬 메가히트 작품으로, 이번 군포 공연에는 최정원, 신영숙, 홍지민 등 인기 뮤지컬 배우가 총출동한다. 맘마미아는 ABBA의 음악을 모녀의 사랑, 친구와의 우정, 그리고 남녀 간의 사랑 등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에 완벽하게 녹여낸 작품으로 2004년 국내 초연 이후 1천400여회 공연, 170만 관객을 동원한 바 있다. 맘마미아의 무대는 그리스 지중해의 외딴 섬으로 젊은 날 한때 꿈 많던 아마츄어 그룹 리드싱어였으나 지금은 작은 모텔의 여주인이 된 도나(DONNA)와 그녀의 스무 살 난 딸 소피(SOPHIE)가 주인공이다. 뮤지컬배우 최정원, 신영숙이 주인공 도나역을 맡고, 소피역으로는 박지연, 김금나가 출연한다. 또한 전수경, 김영주, 홍지민, 남경주 등 뮤지컬계 인기 스타배우들이 개성 있는 연기로 관객들을 즐겁게 할 예정이다.

하남역사박물관, 오는 12월4일까지 특별전 ‘백제, 그 시작을 보다’ 열어

한국에서는 주몽의 아들인 비류와 온조가 백제의 시조라고 전해진다. 그러나 중국의 북사와 수서는 구태라는 인물이, 일본 속일본기에서는 도모왕이라는 인물이 백제 시조로 등장한다. 공통점은 백제의 시조가 북쪽에서 내려온 인물이라는 것. 삼국의 고서에 기록된 백제 건국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전시가 열린다. 하남역사박물관은 오는 12월4일까지 1층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백제, 그 시작을 보다’ 를 진행한다. 전시품은 백제가 성립되기 이전 시기의 생활문화를 보여주는 토기류와 철기류가 중심이다. 국립중앙박물관, 화천민속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등의 소장품 총 150여 점을 마련했다. 특별전은 백제 건국 시기에 북한강 상류 지역부터 한강 하류 지역까지 고고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쉽게 볼 수 있게 했다. ‘경질무문토기’는 단단한 민무늬 토기다. 한반도에서 주로 출토되는 토기로 풍남리에서도 나왔다. 중부 전체 지역에서 발견되는 토기로 토착문화를 대표한다. 양쪽 가장자리가 돌출된 특수한 형태의 쇠도끼는 ‘이조돌대철부’다. 대성리 등에서 출토된 이 쇠도끼는 중국 북방에 있는 라마동 유적의 유물과 흡사하다. 이런 형태의 쇠도끼가 출토된 것은 백제를 세운 세력이 부여에서 내려온 사실을 증명한다. 또 북쪽의 철기제작 기술과 문화가 남쪽 문화와 융합됨을 보여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철경동촉(구리화살촉)’은 화살촉부분이 청동, 슴베(자루)는 쇠다. 이 유물은 낙랑계 문화와 연관이 있다. 외래계 유물 중 하나로 당시 낙랑 시기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가평 대성리, 양평 양수리, 인천 운남동에서 발견됐다. 유물들은 북쪽에서 내려온 백제의 시조가 백제를 건국, 북쪽의 문화와 남쪽의 문화가 만나 융합했음을 보여준다. 박물관은 어린이가 전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해설사의 전시해설, 어린이용 안내책자를 따로 마련했다. 월요일은 휴무, 관람료는 무료. 문의 (031)790-7983

미국에는 대선 낙선자 갤러리가 있다?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