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흘 다목적복지회관 중단 앞두고 설계용역비 엉뚱한 지출

포천시와 산하 소흘읍이 소흘읍 다목적복지회관 건립을 둘러싸고 행정의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시는 올해 1월 경기도 지방재정투자심의에서 국ㆍ도비 확보를 전제로 한 재검토 결정에 따라 사실상 중단했으나, 소흘읍이 부지매입비가 불용처리된다며 설계 용역을 추진하고 나선 것이다.5일 시와 소흘읍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3년 10월 소흘읍 문화복지센터 및 노인복지관 건립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시는 소흘읍 이동교리에 있는 토지를 사들여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토지매입비 과다 등을 고려해 소흘읍 주민자치센터 건물을 증축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어 시는 지난해 11월 설계용역을 발주했다. 또한, 현 주민자치센터 건물은 용적률이 포화상태여서 주변 부지를 매입하지 않고서는 증축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인근 게이트볼장(정부 부지)을 사기로 하고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용도변경을 요구했다. 그러나 올해 1월 도 지방재정투자심의에서 ‘국ㆍ도비를 마련한 후 시행하라’는 재검토 결정이 나오자 진행하던 설계용역을 중단했다. 계획에 차질을 빚은 시는 국ㆍ도비를 마련하는 방안을 여러모로 검토했으나, 뾰족한 방안을 찾지 못해 내부적으로는 더 이상 추진은 불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런 가운데 소흘읍이 올해 2월 추가경정예산에 다목적복지회관 건립을 위한 부지 매입비 6억 원을 확보하고 지난 9월 중단했던 설계용역을 재추진하기 위해 기본설계비로 9천300만 원을 지출했다. 소흘읍 관계자는 “이미 확보된 예산을 사용하지 않으면 내년에는 쓸 수 없다”며 “실시설계에 준하는 기본설계라도 마무리하고자 설계용역을 재추진했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이미 소흘읍 다목적복지회관 건립은 국ㆍ도비를 확보하지 않는 한 추진이 어려워 포기한 상태다”며 “소흘읍 다목적복지회관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애초부터 시의 재정이 열악한 상태에서 무리수였던 만큼 자칫 재원 마련 계획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추진하다 설계용역비만 날리게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시의회 이원석 의원(더민주ㆍ소흘)은 “이미 가능성이 없는 사업으로 판명됐음에도 예산이 남았다는 이유로 설계를 강행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의혹이 있는 만큼 정확한 진상을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檢 "禹처가 땅거래 진경준 등장" 주장 중개업자 조사키로

검찰이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처가가 넥슨코리아에 강남역인근 땅을 팔 때 진경준 전 검사장이 관여했다는 주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동산 중개업자를 뒤늦게 불러 조사하기로 했다. 검찰은 며칠 전 우 수석 처가와 넥슨코리아 사이에 '자유로운 사적 거래'가 이뤄졌다고 평가하면서 무혐의 처리 방향을 강하게 시사한 터여서 중요 참고인 조사를 하지 않고 성급하게 사건 처리 방향에 관한 언급을 한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5일 검찰에 따르면 우 수석 비위 의혹을 조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윤갑근 고검장)은 서울 대치동에서 S부동산 중개업소를 운영하는 채모씨를 6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채씨는 우 수석 처가의 강남역 인근 땅 거래 과정 초기에 일부 관여했지만, 중간에 배제된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2011년 서울 강남의 다른 부동산 중개업자 김모씨가 공동 중개를 하자며 매물 정보만 받아가고 나서 자신을 빼고 혼자 1천억대 거래를 주선해 6억원이 넘는 중개 수수료를 독식했다면서 민사소송을 냈다 패소했다. 그러나 법원은 채씨가 김씨 사무실과 여러 차례 통화했지만 이것만으로는 중개했다고 보기에 부족하며 채씨가 김씨 측에 토지이용확인서를 팩스로 보냈다는 주장은 인정하기 어렵고 설령 인정되더라도 이는 공개정보여서 큰 의미가 없다고 봤다. 또 채씨와 김씨의 접촉은 2009년 9월에 있었지만, 실제 우 수석 처가와 넥슨의 땅 거래는 2011년에 이뤄진 점도 참작됐다. 이와 관련, 당시 분쟁 과정에서 김씨는 채씨에게 '매물을 혼자 독식한 것이 아니라 진경준 검사에게서 따로 소개를 받아 거래가 이뤄진 것'이라는 취지의 해명을 했다고 채씨는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는 그러나 연합뉴스 통화에서 "진경준씨가 저한테 전화했다는 건데 그 분이 뭐가 답답해서 저한테 전화를 했겠느냐"며 "진경준 그 얘기는 하늘에 대고 맹세할 수 있다"고 김씨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저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데 보호할 이유가 무엇이 있느냐"며 "진경준이 저한게 전화를 했으면 기록이 남았을 것 아니겠느냐"고 되물었다. 검찰은 지난달 30일 주요 참고인 소환 조사를 마무리 지었다고 설명하면서 "부동산 거래의 성격은 거의 파악이 됐으며, 자유로운 사적인 거래로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거래가 정상적이었고 특별한 혐의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그러나 진 전 검사장의 개입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당시 검찰은 정작 채씨를 불러 조사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 관계자는 "채씨가 진경준 얘기를 들었다고 하지만 정작 그 말을 했다는 다른 부동산업자 김씨는 지난달 말 조사 때 별다른 말이 없었다"며 "두 사람의 말이 달라 (채씨를) 불러 확인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김씨와 채씨의 주장이 엇갈리는 만큼 6일 두 사람을 함께 불러 대질 신문을 할 방침이다. 우 수석 처가는 2011년 3월 강남역 근처에 있는 3천371㎡(약 1천20평) 토지를 1천365억원(국세청 신고 기준)에 넥슨코리아에 팔았다. 넥슨코리아는 이듬해 1월 바로 옆 땅 134㎡(약 40평)를 100억원에 추가 매입한 뒤 그해 7월 두 토지를 합쳐 1천505억원에 부동산 개발 업체에 되팔았다. 표면적으로는 140억원의 차익을 냈지만, 양도세 등 세금과 거래 비용을 제외하면 사실상 손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넥슨코리아가 사옥을 짓겠다면서 이 땅을 샀다가 계획을 백지화하고 땅을 되판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각에서는 우 수석, 김 회장과 모두 친분이 있는 진 전 검사장이 중간에 다리를 놓은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검찰은 지난달 23일과 28일 각각 넥슨 창업주인 김정주(48) NXC 회장, 진 전 검사장을 불러 사실관계를 확인했지만 진 전 검사장이 이 거래 과정에 등장한다는 정황을 뒷받침할 진술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연합뉴스

[태풍 차바] KTX 신경주∼울산 운행중단…상하행선 전반적 혼란

5일 제주와 남부지방을 강타한 제18호 태풍 차바 영향으로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에 전기공급이 중단되거나 토사유입, 침수 등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됐다. 고속철도는 경부고속선 신경주역∼울산역 간 단전으로 신경주역∼부산 간 KTX 상·하행 열차의 운행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경부선 고속철도는 서울역에서 신경주역 또는 동대구역까지 운행되고 있다.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부 고속열차는 운행되지 못하고 있다. 단전은 울산역 북쪽 부근 철길 위 도로에 설치된 난간이 바람에 날려 전차선 위에 떨어지면서 발생했다. 코레일은 사고지점에 긴급 복구반을 투입해 복구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사고로 KTX 울산역에서 서울로 가는 열차 7편의 운행이 중단됐다. 울산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52분 서울 방향 130호 열차가 울산역에 도착한 뒤 더이상 운행을 하지 못했다. 코레일 측은 이후 오후 1시 42분까지 울산역을 거쳐 서울로 가는 모두 7편의 열차를 운행 중단하기로 했다. 부산역에서도 경부선(부산∼서울) 상·하행선 열차 17편의 운행이 중단됐다. 코레일은 경부선 KTX 열차의 경우 일부 열차는 운행을 중단하고 일부 열차는 사고 구간을 우회하는 방식으로 운행 중이라고 밝혔다.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등 일반열차는 경부선 원동역∼물금역 구간과 동해남부선 호계역∼모화역 구간에 토사유입과 침수 등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됐다. 코레일은 "해당 구간을 여행하는 고객들은 사전에 열차 운행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연합뉴스

하남시 인구 20만 초읽기

하남시 인구가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 등 신도시 개발 호재에 따라 20만 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1989년 인구 10만에 따라 당시 광주군 동부읍으로부터 분리, 시 승격이 된 이후 27년 만이다. 5일 하남시 인구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미사1동 1만8천207명, 미사2동 2만5천704명, 위례동 1만3천389명으로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 하남권 3개동에서만 5만7천3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사강변도시에서는 지난달부터 7ㆍ26블럭(단지)에 이어 이달에는 6단지의 입주가 시작되는 등 인구유입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이달 말 또는 늦어도 내달 중순께 인구 20만을 넘게 될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이 같은 인구 20만 달성의 주된 요인은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 등 신도시 개발에 따른 호재가 바탕이 되고 있다. 앞으로 감일공공주택지구와 지역현안1ㆍ2지구에서도 인구 유입이 계속될 예정이다. 특히 시가 지난해 고시한 ‘하남시 2020 도시기본계획’에는 인구 36만 명을 예측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일주일 평균 400여 명이 유입되고 있다”며 “당초 이달 말 20만을 예상했으나 자체이동까지 감안해 볼 때 다소 늦춰진 11월 초ㆍ중순에 이르러 20만 명 문턱을 넘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