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구제역ㆍ조류인플루엔자 등 동물질병에 대한 철통방어에 나섰다. 3일 도북부청에 따르면 도와 도축산위생연구소는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이 많은 이달부터 내년 5월까지 특별방역기간으로 설정, 소독ㆍ점검ㆍ교육 강화 및 예찰검사 확대 등 집중관리에 나선다. 우선 긴급 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구제역 AI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을 가동해 상황실 24시간 운영하고 신고대응반, 정밀 진단반, 역학조사반을 45개조 112명으로 편성, 현장출동에서부터 생물안전 3등급 시설 내 정밀진단, 질병 확산 방지조치까지 최단 시간 내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구제역은 과거 발생지역 및 취약농장 등 8개 시ㆍ군 111만3천두를 대상으로 구제역 일제접종을 이달 중으로 완료하고 예찰 대상지를 기존의 돼지 농가, 소ㆍ염소 농가는 물론, 도축장 10곳 사료공장 14, 분뇨처리업체 28곳까지 확대했다. 조류인플루엔자는 도내 종오리 농장 4곳에 대해 주 1차례 바이러스 정밀검사를 하고 육용 오리 농장 108곳에 대해서는 입식 전 사육장에 대한 환경시료검사, 사육 중 폐사체(25일령 전후)검사, 출하 전(7일 전후) 검사 등 3단계 확인검사를 한다. 출하 시에는 각 시ㆍ군 ‘가금이동승인’을 받은 뒤 이동조치한다. 아울러 철새에 의한 AI 유입 사전차단을 위해 안성 청미천, 안성천, 김포 하성면, 파주 탄현면 등 중앙 지정 철새도래지 4곳과 화성 남양호ㆍ황구지천, 의왕 왕송저수지, 여주 대신천, 이천 복하천, 평택 진위천, 고양 공릉천, 안산 시화호, 가평 북한강, 남양주 팔당댐 등 도 자체 선정지역 10개소에 대한 주 1차례 예찰 및 분변검사를 실시한다. 또 바이러스 오염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과거 발생지역이나 밀집지역(양돈단지 등), 도축장, 철새도래지, 전통시장 등 취약지역 중점관리대상 115곳에 대해 소독 방제차 10대를 날마다 운영한다. 방역점검 강화를 위해 외부출입이 많고 AI 발생 시 피해가 큰 대규모(5만 수 이상) 산란계 농가의 경우 방역점검을 통해 취약점을 찾아 개선하고 구제역 백신접종 미흡 농가와 감염 항체 검출 농장에 대해서는 주기적 검사 및 사전점검 등을 한다. 한편,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 등 동물질병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방역기관(1588-4060, 031~8008~6300)에 신고하면 된다. 김창학기자
도·의정
김창학 기자
2016-10-03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