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도로표지판 교체 '뒷북행정' 지적

‘신 한류 관광 1번지’로 지난해 국ㆍ외국인 관광객 1천만 명이 찾은 고양시의 도로표지판이 도시 명성에 걸맞지 않은 20년 전과 같아 늑장행정이라는 지적이다.지번주소에서 도로명주소로 변경된 지 2년 6개월이 지났는데도 현재 자유로를 비롯해 통일로, 일산 신도시, 덕양구 등의 도로표지판 대다수가 지번주소로 그대로 표기돼 있는 것이다. 5일 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도로명주소의 전면 시행일인 2014년 1월보다 앞선 2013년 3월 각 자치단체에 도로표지판과 관련된 규정집을 내려 보냈다. 이 규정집은 도로명주소로 변경됨에 따라 각 자치단체에 지번주소로 돼 있는 도로표지판을 도로명주소로 변경할 것을 권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시는 민간 기관들을 상대로 도로명주소 사용에 대해서만 홍보할 뿐, 정작 시가 변경해야 할 도로표지판은 2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변경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매년 5만 명 이상의 국내 및 외국인이 다녀가는 킨텍스가 있고 인천공항과 김포공항, 서울시와 인접한 국내 최대 한류 도시의 위상을 고려할 때 지번도로 도로표지판은 도시 명성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신도시 형성이 20년이 넘다 보니 기존에 설치된 지번주소 도로표지판도 녹이 슬거나, 파손된 곳이 많이 보완이 시급한 상황인데다 자동차 네비게이션은 도로명으로 나타나 시를 찾는 외지인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고양보다 시세가 열악한 원주시, 나주시, 전주시, 순천시 등은 이미 도시 전역의 도로표지판을 도로명주소로 변경해 도시 이미지를 개량시켰다는 찬사를 받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시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새로 형성된 삼송지구, 원흥지구 등 신규 주택단지에만 도로명주소 표지판을 설치하고 있을 뿐이다. 시민 김모씨(46)는 “고양을 찾는 외지인이 받는 첫인상이 도로표지판인데 아직도 지번주소로 돼 있어 아쉽다”며 “각종 문화 행사만 할 것 아니라 도시 이미지를 좌우하는 낡고 파손된 도로표지판 변경에도 신경 써야 할 때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도로명표지판으로 변경하라고 권장만 했지 예산은 수반되지 않았다”며 “시 전체를 변경하려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시에 바꾸는 것은 어렵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ㆍ김현수기자

[PEOPLE &] 황준기 인천관광공사 사장

인천관광공사가 새로운 출발을 한 지 1년이 돼 간다.빠듯한 예산과 재출범의 한계를 뛰어넘기에는 다소 부족한 시간이었지만, 황준기 인천관광공사 사장은 올해를 공사 재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초석을 다지기 위해 숨 가쁘게 내달렸다.그 결과, 중국 아오란 그룹 6천명이 인천 앞바다에서 치맥 파티를 즐겼고, 새롭게 단장한 시티투어 버스는 인천을 방문한 관광객들에게 인천을 바로 알리기 위해 지역 곳곳을 누비고 있다. 인천을 알려야 한다는 소신으로 팔을 걷어붙인 황 사장은 인천을 유커관광의 중심, 관광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별관광이 가능한 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와 함께 다양한 관광 콘텐츠 개발로 인천만의 가치를 알리는 데 주력할 뜻도 내비쳤다.이번 아오란 그룹의 인천 방문을 시작으로 기업회의하기 좋은 도시로 인천이 급부상할 전망이다. 6월 초 중국 칭총 뉴미디어그룹 870명이 송도컨벤시아에서 기업회의가 열렸고, 중국 롱리치그룹도 매년 1만명씩 3년간 인천에서 기업회의를 할 예정이다.인천만의 매력으로 인천을 알린다또 중화권의 온라인이나 SNS에 얼마나 노출이 되어 있느냐가 앞으로의 유커 유치에 관건이 될 것이기 때문에 대중국 온라인 마케팅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수원시 영통구, 7월 중순까지 지역 내 교통유발부담금 부과대상 시설물 현장조사

수원시 영통구는 오는 7월 중순까지 지역 내 교통유발부담금 부과대상 시설물 638개소에 대한 일제 현장방문 조사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각층 바닥 면적의 총 합이 1천㎡ 이상인 개인, 법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시설물이다. 각 조사원은 대상시설물을 현장 방문해 시설물 사용승인일 및 실제 사용여부, 사용용도, 소유주 연락처, 고지서 수령주소 등을 조사하고 부과에 대한 안내를 한다. 교통유발부담금은 교통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 재원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부과대상기간은 1년(2015년 8월1일~2016년 7월31일)으로 이달 31일 시점의 소유주에게 부과한다. 미사용 시설물 소유자는 휴업 등 특별한 사유로 인해 30일 이상 당해 시설물을 사용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임대차 계약서, 휴폐업 증명서, 전기세 납부내역, 사진 등 증거자료를 첨부해 구청 경제교통과에 미사용 신고서를 7월 말일까지 제출(우편, 방문)하면 된다.이호철 영통구 경제교통과장은 “공정한 부과를 위해 조사원에 대해 꾸준히 교육을 실시했다”면서 “시민들께서도 사업장을 방문한 조사원들에게 적극 협조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고양시, 7월 정기분 재산세 952억 원 부과

고양시는 주택 및 건축물, 선박, 항공기에 대한 2016년 7월 정기분 재산세 39만6천348건 952억 원을 부과했다고 5일 밝혔다. 재산세는 소유기간에 관계없이 매년 과세기준일 6월 1일 현재 건축물, 주택, 토지, 선박 등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납부기한은 오는 16일부터 8월 1일까지다. 주택에 대한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1/2씩 나누어 부과되며 건축물, 선박, 항공기에 대한 재산세는 7월, 토지에 대한 재산세는 9월에 부과된다. 재산세 납부는 모든 은행 현금자동출납기에서 고지서 없이 납부 가능하며 위택스(www.wetax.go.kr) 및 금융결제원(www.giro.or.kr)을 통한 인터넷납부, 가상계좌 납부, ARS 납부서비스(1644-4600)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다. 시는 지난해 2건에서 올해 20건으로 재산세 최소납부제를 확대 시행한다. 재산세 최소납부제는 ‘지방세특례제한법’상 재산세 면제대상에 해당하더라도 면제세액이 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 면제세액의 15%를 납부해야 하는 제도다. 면제대상 중 납세능력이 있는 일부에 한해 최소한의 세 부담을 부과함으로써 감면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일반납세자와의 조세형평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시행됐다. 이에 따라 해당되는 최소납부제 대상자에게는 개별안내문을 발송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납부마감일에는 납세자가 한꺼번에 몰려 혼잡이 예상되고 인터넷, ARS 전화도 접속지연 등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기간 내 미리 납부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고양=유제원ㆍ김현수기자

광주시, 재활용센터 민간위탁 사업자 모집

광주시는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광주시재활용센터를 관리ㆍ운영할 민간위탁 사업자를 공개 모집한다. 위탁시설은 광주시 중앙로 197번지에 위치한 재활용센터로 건축연면적 743.89㎡의 지상2층 규모이다. 위탁은 △재활용품 전시·판매장 운영 및 관리 △지역 내 중고물품의 수집·수리, 교환 및 판매 △재활용 촉진을 위한 광주시민 알뜰벼룩시장 운영 △재활용센터 운영을 위한 대형폐기물 수집·운반 용역 등 재활용센터 운영 전반이다. 위탁기간은 오는 8월 20일부터 2018년 8월 19일까지 2년간이다. 참가자격은 자원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재활용센터를 운영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법인, 단체 또는 개인으로 공고일 현재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는 재활용센터 운영자이다. 또한, 1년 이상 운영 실적이 있고,‘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의2에 의한 재활용시설 기준을 갖춰야 한다. 관심있는 사업자는 참가신청서 등 관련 서류를 구비해 광주시청 자원관리과로 제출하면 된다. 시는 오는 13일까지 제안서를 접수받아 이달 말 광주시 재활용센터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사업자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수탁자 선정의 공정성을 위해 광주시 재활용센터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신청의 적격성, 재정능력, 전문성 등 세밀하게 평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광주시 홈페이지(www.gjcity.go.kr) 공고란을 확인하면 된다. 광주=한상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