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이동초등학교(교장 손금순)가 수업시간을 제외한 방과 후 시간이면 난타 소리로 들썩이고 있다. 이동초의 난타교실은 1인 1악기 인증제가 목표인 감성향상 예술프로그램 일환으로 지난 5월부터 시작해 오는 12월까지 진행한다. 이동초 학생이면 누구나 입학과 동시에 졸업 때까지 6년간에 걸쳐 1인 1악기 연주 기능을 꾸준히 연마해 재능을 기를 수 있다. 1~2학년은 오카리나, 3~4학년은 리코더를 배운다. 5~6학년은 학급별로 15시간씩 난타를 배운다. 학생들은 학년 말에 있을 교육활동 발표회 때 기량을 펼쳐보일 예정이다. 이동초는 난타교육을 위해 전문강사 초빙은 물론 음악실에 방음시설을 설치해 학생들이 독립된 공간에서 자유롭게 난타를 배울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교사 직무연수에도 난타를 포함시켰다. 손금순 교장은 “난타는 도구를 사용해 음악 소리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창의력과 리듬감을 배울 수 있는 것은 물론 서로 약속해 호흡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됨으로써 큰 의미가 있다”며 “우리 학교 학생들은 난타의 매력을 함께 나누며 멋진 추억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용인=권혁준기자
코스피 지수가 미국발 훈풍에 장중 2000선을 넘어섰다. 7일 오전 10시55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8.80포인트(0.95%) 오른 2004.64를 기록하고 있다. 지수가 장중 2000선을 돌파한 것은 지난 4월28일(2022.99) 이후 40일 만이다. 미국 고용지표 악화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약화된 점이 시장에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미국 신규고용은 3만8000명 증가세에 그치는 부진을 나타냈다. 재닛 앨런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 국제문제협의회(WAC) 강연에서 "미국 경제가 상당한 불확실성에 휩싸여 있다"며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앨런 의장의 발언은 여전히 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제시하면서도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02억원, 43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개인은 홀로 1402억원 순메도 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철강금속(4.50%). 전기전자(1.63%), 의약품(1.56%) 등 상승세가 뚜렷하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대장주' 삼성전자가 139만9000원(1.60%)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밖에 아모레퍼시픽(1.54%), 삼성전자우(1.50%), 삼성물산(1.64%), SK하이닉스(2.36%) 등이 오르고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6월 첫째 주 본지 유료회원들에게 먼저 공개하는 스탁프리미엄에서는 종목돋보기 3건, 공시돋보기 4건 등 총 7건의 기사가 게재됐다. 이 가운데 주가에 가장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친 기사는 ‘코센, 정부 모든 버스 CNG 교체… 터키 시장 강자 “국내도 적극 진출”’이었다. 기사 게재 당일 주가는 15.71% 뛰어올랐다. 보도에 따르면 정부가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을 통해 모든 버스를 CNG 버스로 대체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터키 CNG버스 개조 시장 강자 코센이 국내 시장에도 적극 진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3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개최하고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이 가운데 정부는 CNG 유가보조금 지급과 충전인프라 확충을 통해 모든 노선ㆍ전세 버스를 CNG 버스로 대체하기로 했다. 또 M버스(수도권 광역급행버스)는 CNG 버스만 신규 허가하고, 농어촌ㆍ시외버스 등은 CNG 차량 도입시 면허 기준을 완화한다. 코센은 지난 2014년 5월 이스탄불 대중교통 공공기업(IETT)버스 120대를 개조한 사업 경험이 있다. 또 올 초 터키 대기업과 CNG버스 개조 사업 관련 조인트벤처(JV)를 설립했다. 코센은 터키 CNG버스 개조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진행될 국내 CNG버스 대체 사업에도 적극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3일 게재된 ‘코엔텍, 정부 발전소 바이오연료로 전환…바이오매스 에너지회수 설비 완공 부각’ 기사도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기사 게재 당일 2.85% 올랐다. 기사에 따르면 코엔텍은 지난해에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매스(Biomass)를 활용한 설비시설 완공했다. 애초 폐목재를 이용해 스팀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폐합성수지, 자동차 폐기부산물 등을 추가로 허가받아 사용폐기물을 확대했다. 코엔텍 관계자는 “2~3년이 지나고 이외에도 소각할 수 있는 자동차 폐기부산물, 폐합성수지 등을 추가로 허가받고 시설투자를 시작, 2014년에 신공장 건설을 시작해 지난해 말에 공사가 끝났다”며 “사용폐기물을 확대하면서 여러 측면에서 수지타산이 충분히 맞다”고 설명했다.
군포시는 7일 문화체육관광부에 17만7천147명이 서명한 ‘국립한국문학관 군포시 유치 희망 서명부’를 전달했다. 시 관계자는 “서명부는 5월 2일부터 6월 3일까지 집계된 것으로 군포시민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 시민들도 동참해 마련됐다”며 “군포가 대한민국 제1호 책의 도시고 2008년부터 국립문학관 건립 필요성과 유치 희망을 밝힌 바 있어 많은 지지를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을 지역 곳곳에 설립해 운영 중인 군포는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통과하며 30여 개의 광역ㆍ시내 노선버스 등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또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얼마 전 개통한 수원~광명 고속도로, 국도 47호선 등을 통해 군포로 진입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도 용이하다. 김윤주 시장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독서문화정책을 전담하는 국 단위 행정조직이 있고 세계 책마을 창시자 리처드 부스가 극찬한 책 축제를 매년 개최하는 도시가 군포”라며 “누구나 찾기 편한 사통팔달의 도시 군포가 국립문학관 건립의 적지”라고 강조했다. 군포=김성훈기자
브라질 상원 특위.
인천공항 사고.
아르헨티나 칠레.
연평 어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