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 ‘e단기채 채권펀드’ 설정액 1500억 돌파…변동성 낮고 수익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한국투자 e단기채 증권펀드(채권)’의 설정액이 1500억원을 돌파했다고 19일 밝혔다. e단기채 펀드는 디지털화 된 방식으로 발행되는 1년 미만의 단기채권에 투자한다. 출시 34일만에 설정액이 1570억원 가까이 증가하며 흥행하고 있다. 주당 평균 260억원의 자금이 유입된 것이다. 한국운용 관계자는 “채권형펀드는 일반적으로 기관 자금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지만 e단기채 펀드는 대부분 개인자금이 들어왔다”고 밝혔다. e단기채 펀드는 기존 채권형 펀드에 비해 뛰어난 수익률로 시중 부동자금을 빠르게 유인했다. 실제 출시 이후 기준가가 1000원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34영업일 간 단 2일을 제외하고 모두 플러스 수익률을 냈다. 같은 기간 국공채 3개월~1년 지수에서는 6일간 마이너스 수익률이 났다. 김병모 한국투자신탁운용 마케팅총괄(CMO) 상무는 “e단기채펀드가 금리 매력은 높고 변동성은 낮아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다”며 “최근 한달 MMF의 평균 연환산 수익률이 1.3%인데 비해 e단기채펀드는 2.2% 수준”이라고 말했다. 전자단기사채는 전자로 발행되는 편의성 덕분에 동급의 회사채보다 높은 수익률로 발행된다. 주로 만기가 1년 미만, 통상 3개월로 짧아 금리 변화에 따른 채권가격의 변동성도 낮은 편이다. 전단채에 직접 투자할 경우 최소 1억원 이상의 고액으로 투자해야 하지만 펀드를 이용하면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김동주 한국투자신탁운용 Fixed Income본부 팀장은 “펀드 운용시 크레딧 분석뿐만 아니라 단기물인 점을 감안해 유동성 분석에 중점을 두고 종목을 발굴해 갈 계획”이라며 “e단기채 펀드가 변동성은 낮고 이자수익은 높기 때문에 ISA의 기본 라인업으로 활용하면 안정적으로 포트폴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e단기채 펀드는 한국투자증권, 신한은행, 현대증권, HMC투자증권, 펀드온라인코리아 전국지점과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서 가입할 수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존리, 中 가치주도 평정할까…연 450회 기업탐방 ‘바텀업’ 펀드 출시

’(이하 메리츠차이나 펀드)을 출시한다. 지난해 변동장에서도 충실한 기업분석으로 많은 투자자를 모은 존리 메리츠운용 대표가 중국 가치주 투자 흥행도 선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메리츠운용과 빈위엔은 1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메리츠차이나 펀드를 다음 달 2일부터 판매한다고 밝혔다. 빈위엔은 글로벌 금융그룹 소속 GE자산운용에서 10년 이상 팀워크를 맞춘 운용역 5명이 2012년 새로 만든 회사다. GE자산운용 재직 당시 이들 팀의 운용규모만 50억달러(약 5조7000억원)에 이른다. 존리 대표는 “단순히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소유하고 싶은 주식을 발굴하는 것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빈위엔과 메리츠의 철학이 같다고 생각해 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1~2년이 아니라 훨씬 이전부터 100% 바텀업 전략에 충실한 기업 분석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기 때문에 기존 중국 펀드와는 차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빈위엔의 총 운용자산은 4조3000만달러(약 4900억원) 수준이다. 2013년 설정된 ‘빈위엔 A-Share 펀드’와 ‘빈위엔 Greater 차이나 펀드’의 누적 수익률은 각각 54.23%, 17.47% 수준이다. 이들 팀은 GE자산운용에 근무할 당시 2002년 설정해 2010년까지 운용한 ‘GEAM Greater 차이나 펀드’에서 546%라는 놀라운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현재 빈위엔을 이끌고 있는 핑주(Ping Zhou) 총괄이사(CIO)는 “중국 주식시장은 개인투자자가 70~80%를 차지하고 정보 비대칭이 심한 비효율적인 시장”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주식을 선별하려면 직접 실체를 확인하는 기업탐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빈위엔은 연 450여회 기업 탐방을 하고 있다. 메리츠운용에 따르면 중국은 국내처럼 산업단지가 잘 조성돼 있지 않고 국토 면적이 넓어 이 정도 수준의 기업탐방을 하는 운용사가 흔치 않은 상황이다. 이를 바탕으로 메리츠운용과 빈위엔은 100% 기업분석에서 출발하는 포트폴리오를 꾸릴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중국 펀드들이 벤치마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들을 위주로 바텀업 전략을 병행하는 것과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실제로 대부분 중국 펀드에서 중국 국영기업이나 금융주 등 대기업 비중이 높은 것에 비해 빈위엔의 예상 포트폴리오는 철도·국방·물류 등 산업군과 소비재, 정보산업군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한편 핑주 CIO는 과도한 지방정부 부채, 정부의 잦은 시장개입, 부동산 버블과 과잉설비 등 중국시장에 제기되는 문제에 대해 “이제 막 발생하기 시작한 것들이 아니라 최소 2~3년 전부터 발생해 안정화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존리 대표는 “중국 시장은 성장성을 내다봤을 때 이미 한국과 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너무 가격이 올라 때를 기다렸고 이제 투자 적기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환율마감] 13.9원 급락 1136.3원, 연중최저..위험선호

원/달러 환율이 급락하며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도하에서의 원유감산 합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유가가 지지되는 모습을 보이자 위험선호 심리(리스크온)가 급격히 확산된 때문이다. 심리와 물량이 하락으로 급격히 쏠렸다. 한국은행이 4월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해 기준금리를 현행 1.50%로 동결했지만 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진 못했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유가 지지로 추가 리스크가 없다고 봤다. 미국의 환율조작국 결정을 앞두고 당국 개입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1120원선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3.9원 급락한 1136.3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4일 1132.0원 이후 5개월 보름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장중저점도 1136.0원으로 작년 11월5일 1135.1원 이후 최저치였다. 장중고점은 1145.5원이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하락한 역외환율을 반영해 1144.0원에 출발했다. 밤사이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44.5원/1145.5원에 최종 호가돼 전장현물환 종가(1150.2원) 보다 6.1원 하락했었다. 시중은행의 한 외환딜러는 “전반적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완화되면서 달러가 약세였다. 예상치 못하게 원/달러가 급락하면서 심리와 물량이 한꺼번에 쏠린 것 같다. 금통위는 예상수준이어서 별 영향을 주지 못했다”며 “미국의 환율조작국 판단 여부를 앞두고 있어 당국의 개입도 적극적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1120대 후반까지는 추가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계은행의 한 외환딜러도 “전저점이 무너지며 추격매도세가 뒤따랐다. 원/달러는 물론 중국,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등 달러대 아시아 등 통화가 모두 리스크 자산의 강세 쪽이었다”며 “도하에서의 감산 합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유가가 받쳐지면서 추가 위험요인이 없겠다는 쪽으로 포커스가 맞춰진 때문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1150원을 상단으로 1120원까지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예측했다. 오후 3시17분 현재 달러/엔은 0.13엔 상승한 108.93엔을, 유로/달러는 0.0004달러 오른 1.1328달러를 기록중이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마감시황] 글로벌 증시 훈풍에 코스피 2010선 회복…코스닥 700선 안착

글로벌 증시 훈풍에 코스피와 코스닥이 나란히 웃었다. 코스피는 2010선을 회복했고, 코스닥은 지난해 8월 중순이후 처음으로 700대를 기록했다. 상승출발한 코스피는 개인 순매도세가 강해지며 상승폭을 줄여나갔지만 2010선 수성에는 성공했다. 반면 코스닥은 오전 중 상승폭을 확대해 70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700선 고지를 넘어서며 장을 마감했다. 19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2.26포인트(0.11%) 오른 2011.36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는 반등했다. 기업실적 호조와 국제 유가가 낙폭을 축소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18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6.70포인트(0.60%) 상승한 1만8004.16으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3.61포인트(0.65%) 오른 2094.34를, 나스닥지수는 21.80포인트(0.44%) 높은 4960.02를 각각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미국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1.4% 하락한 배럴당 39.78달러로 마감했다. 영국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브렌트유 가격도 0.4% 떨어진 배럴당 42.91달러를 기록했다. 투자자 동향을 보면 기관과 외국인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기관은 1399억원어치 물량을 매입했고, 왹구인은 292억원어치를 순매수 했다. 반면 개인은 1536억원어 물량을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상승세가 강했다. 건설업이 3.24%로 비교적 강한 상승세를 보였고, 보험과 은행, 금융업, 증권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철강금속과 통신업은 1%대의 하락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등락이 엇갈렸다. 삼성생명이 2.27% 상승했고, 현대모비스가 1.65% 올랐다. 반면 삼성전자우는 2.57% 내렸고, LG화학도 3.12% 하락했다. 코스닥은 전일대비 6.34포인트(0.91%) 상승한 701.68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과 외국인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71억원, 413억원어치 물량을 매입했고, 기관은 535억원어치 물량을 팔아치웠다. 종목별로는 대부분이 상승했다. 섬유/의류가 5.71%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정보기기와 오락/문화도 2%대의 강세를 보였다. 반면 음식료/담배와 금융은 소폭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대부분 상승했다. 코미팜이 9.35% 폭등했고, 코데즈컴바인도 8.61% 강세를 보였다. 그밖에 메디톡스와 셀트리온, 로엔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동서는 1.63%로 하락했다. 한편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일대비 13.9원 내린 1136.3원에 마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오늘의 상한가] 두산건설, 1분기 호실적 소식에 ‘上’

19일 국내 주식시장에선 유가증권 1개, 코스닥 3개 등 총 4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감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두산건설이 1분기 호실적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두산건설은 전 거래일 대비 29.84%(1450원) 오른 6310원에 거래를 마쳤다. 두산건설은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44억77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2.4% 증가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매출은 4240억1800만원으로 1.1%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43억23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세우테크가 제주도 복합 리조트 단지 건설 소식에 전 거래일 대비 29.59%(2500원) 오른 1만950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세우테크는 제주도 애월읍에 11만 5950㎡(약 3만 5074평)규모의 카지노와호텔, 아울렛 매장 등을 포함한 복합 리조트 단지 건설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1단계로 3000억원이 투자되며, 개발 자금은 제주도민으로 구성된 펀드와 중국 등 해외 투자자로부터 끌어들일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봉은 전 거래일 대비 29.87%(935원) 오른 406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당 대표 가능성이 커지면서 경제민주화 관련주들의 주가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공 부문 시스템통합(SI) 사업의 대기업 진출 제한이 경제민주화 정책의 일환이어서 중소 SI 기업들은 경제민주화 관련주로 꼽힌다. 문재인 테마주로 엮인 뉴보텍은 전 거래일 대비 29.82%(650원) 오른 2830원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뉴보텍은 대표이사가 지난 대선 당시 강원도 선거대책위원회에 있었다는 이유로 문 전 대표의 주요 테마주로 분류된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특징주] 한일진공, 삼성전자 공급업체 인수…자율주행차 사업 진출 ‘↑’

한일진공이 삼성전자, LG전자, 애플의 밴드업체등의 공급업체인 하이비젼시스템 인수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사업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라는 소식에 상승세다. 19일 오전 11시12분 현재 한일진공은 전일대비 370원(10.88%) 상승한 3770원에 거래 중이다. 이 날 한일진공은 재무적 투자자들과 함께 최두원 대표이사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하이비젼시스템 구주 지분 180만주(지분율 12%) 및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신주 99만주 등 총 279만주를 인수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일진공은 하이비젼시스템 인수를 위한 상세 실사가 마무리되는 이달 내로 본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를 마무리하게 되면 한일진공은 하이비젼시스템의 구주 48만주 및 신주 99만주 총 147만주(지분율 9.23%)를 보유해 최대주주로 등극하게 된다. 하이비젼시스템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에 공급업체로 지난 2002년에 설립된 카메라 검사 및 공정장비 제조업체다. 국내 최초 휴대전화용 초소형 카메라모듈 자동검사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최첨단 비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로 한일진공은 이번 인수를 통하여 Drone용 카메라 등 비휴대전화 카메라 모듈 산업 및 무인 자율주행관련 자동차 산업 진출로 사업 영역 확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소식에 한일진공에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건설株, 1Q 바닥 탈출론 ‘솔솔’

대형 건설주가 이미 바닥을 확인했으며 앞으로 반등 국면이 기대된다는 견해가 확산되고 있다. 건설사의 해외부문 추가 손실은 줄어든 반면 주택부문 실적 개선은 확대되고 있어서다. 실적 개선 가능성에도 건설주 주가가 여전히 PBR(주가순자산비율) 1배 미만에 머물고 있다는 점도 바닥 탈출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주요 6개 건설사(대림산업, GS건설,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삼성엔지니어링)의 합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9% 증가한 13조8860억원, 영업이익은 28.2% 증가한 5430억원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전망이다. 주요 건설사의 1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이 높은 이유는 해외부문 추가 손실은 줄어든 반면 주택부문 실적개선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해외 저가수주와 국내 주택공급 감소로 지난 2014년~2014년 재무구조가 급속히 악화됐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외 문제현장이 마무리 국면에 진입했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 문제현장이 정리되며 비용 투입이 예상범위 내에서 이뤄지고, 국내 주택사업에 현금이 유입되며 미청구공사 감소, 현금흐름 개선, 순차입금 감소의 선순한 사이클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림산업, 현대건설, GS건설, 현대산업 등 주요 건설사들은 올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전년동기대비 10.6% 늘어난 2219억원, 대림산업은 13.8% 증가한 782억원으로 예상된다. GS건설과 현대산업은 각각 93.3%, 63.7% 늘어난 387억원, 891억원으로 전망된다. 이경자 연구원은 “기저효과도 있지만 무엇보다 손익에서 주택 기여도가 높아지며 이익 성장이 확대됐다”며 “올해도 해외 현안 프로젝트 관련 비용 리스크를 간과 할 수는 없지만, 그간 비용 반영을 충실히 해왔고 주택 매출이 늘며 충격을 상쇄할 만한 체력이 구비됐다는 점에서 과거와 같은 어닝쇼크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이선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에도 해외 저가공사 관련 추가 원가를 일부 인식한 것으로 보이지만 규모는 충분히 예상했던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주요 해외 저가 프로젝트들이 올해 상반기 내 종료된다는 점에서 하반기부터는 주택부문 성과를 온전하게 누리는 실적 패턴이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선일 연구원은 “특히 건설, 유화, 자회사 등 모든 부분의 실적 개선 가능성이 큰 대림산업과 해외 저가공사 종료 효과가 크고 해외수주에서도 두각을 보이는 GS건설에 관심을 둘 만하다”고 말했다. 이경자 연구원도 “2분기부터 개선된 해외수주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대림산업, 현대건설, GS건설을 선호주로 꼽는다”고 밝혔다. 건설주의 실적 개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저주가순자산비율(PBR)주라는 점도 바닥 탈출론에 힘을 싣고 있다. 현재 건설주는 PBR은 0.6~0.8배에 머무르고 있다. PBR이 1배보다 낮다는 것은 해당 종목 주가가 회사 청산가치를 밑돌 정도로 저평가돼 있다는 의미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