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민 1만6천972명, ‘지방자치 훼손·복지축소 중단’ 탄원서

성남시민 1만6천972명이 ‘지방자치 훼손·복지 축소를 즉각 중단하라’는 탄원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한다. ‘성남의 지방자치와 복지를 지키기 위한 범시민모임’은 7일 오전 성남시청 로비에서 결의문을 발표하고 “중앙정부의 사회보장사업 정비지침은 지역복지를 축소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제약하며 지방자치를 훼손하는 잘못된 정책이므로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성남시 사회복지 이용자와 종사자, 시민단체는 중앙정부의 지방자치에 대한 심각한 훼손과 복지 축소에 공동대응하기 위해 ‘성남의 지방자치와 복지를 지키기 위한 범시민모임’을 출범하고 성남시민 2만여명의 지지서명을 받았다.‘성남의 지방자치와 복지를 지키기 위한 범시민모임’은 중앙정부의 지방정부에 대한 규제 강화와 지역 맞춤형 복지서비스 정책의 폐지를 저지하고자 1차 탄원서 전달을 시작으로 한층 더 강화된 대시민 홍보와 적극적 시민행동에 나설 계획이다.정부의 사회보장사업 정비지침을 반대하는 시민 1만6천972명의 탄원서를 전달받은 이재명 성남시장은 이 자리에서 “시민들이 낸 세금을 최대한 아껴 국민들에게 돌려주는 건 헌법이 정한 국가의 의무이고 이것을 복지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복지는 헌법이 정한 국가의 의무인데도 국민의 복지증대를 하지 않고 그 돈으로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사람들이 공짜는 안된다고 선전하며 국민들한테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이 시장은 “성남시가 그걸 깨고 있다”며 “시장과 공무원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고 시민들, 여러분들의 힘으로 우리가 이 잘못된 복지에 대한 패러다임을 깨나가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 시장은 “여러분의 의견을 법원에 잘 전달해서 재판에서 반드시 이겨서 우리가 우리의 세금과 권한으로 하고 있는 성남의 복지정책을 끝까지 완수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중앙정부는 지난해 8월11일 ‘지방자치단체 유사, 중복 사회보장사업정비 지침’을 제정하고 지자체의 각종 복지사업을 중단, 폐지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성남시 등 전국 26개 지방자치단체는 지난해 10월16일 사회보장사업 정비지침이 지방자치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했다.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외국인 ‘매수’에 소폭 상승

삼성전자의 어닝서프라이즈도 소용없었다. 삼성전자의 어닝서프라이 소식은 오히려 차익상승 매물을 늘리며 하락세를 보였고, 코스피도 소폭 상승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코스피에서는 코데즈컴바인이 19.47% 급락하며 시총 9위로 내려앉았다. 상승출발한 코스피는 이내 하락세를 보이더니 장중 기관의 순매도세가 강해지며 하락전환했다. 이후 외국인의 매수세가 강해지며 소폭 상승하며 마감했다. 7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2.57포인트(0.13%) 오른 1973.89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는 상승했다. 6일(현지시각)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2.73포인트(0.64%) 상승한 1만7716.05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1.49포인트(1.05%) 오른 2066.66을, 나스닥지수는 76.78포인트(1.59%) 높은 4920.72를 각각 기록했다. 국제유가도 상승했다. 같은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1.86달러(5.2%) 오른 배럴당 37.75달러에 마감했다. 투자자 동향을 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79억원, 2184억원어치 물량을 사들였고, 기관은 3191억원어치 물량을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상승세가 강했다. 기계가 1.86% 올랐고, 의약품, 전기가스업, 운수장비도 1%대의 상승폭을 보였다. 반면 전기전자는 0.91% 내렸고, 건설업과 보험, 의료정밀도 소폭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NAVER가 4.01% 올랐고, 현대차와 한국전력도 각가 1.74%, 1.20% 상승했다. 반면 어닝서프라이즈를 알린 삼성전자는 차익실현 매물에 1.25% 내렸고, 삼성전자우도 2.08% 떨어졌다. 코스닥은 전일대비 3.10포인트(0.45%) 오른 697.13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 동향을 보면 외국인이 홀로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외국인은 545억원어치 물량을 사들인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313억원, 144억원어치 물량을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였다. 출판/매체복제가 2.64%로 상승세를 보였고, 제약도 2%대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코데즈컴바인의 폭락에 섬유/의류가 14.21% 내렸고, 정보기기도 2.43% 떨어졌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올랐다. 셀트리온과 동서, 메디톡스, 로엔이 3%대의 강세를 보였지만, 코데즈컴바인은 19.47% 급락하며 시가총액도 9위로 내려앉았다. 한편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일대비 4.7원 내린 1151.4원에 마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가치주 펀드, 양극화 뚜렷…신영 ‘방긋’ 한국밸류 ‘주춤’

장기간 몸을 낮추고 있던 가치주펀드가 1분기 변동장에서 성장주펀드를 제치고 기지개를 켰다. 그러나 운용 스타일에 따라 같은 가치주 유형 내에서도 펀드별로 차별화되는 성과를 보였다. 6일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가치주펀드의 대표주자인 신영마라톤 펀드는 연초부터 지난 1일까지 3.98% 수익률을 기록했다. 최근 2년간 중소형·성장주에 밀려 뚜렷한 수익률을 내지 못하던 가치주펀드에는 지난 2010년 이후로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며 시장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신영마라톤은 11.14% 수익률을 내며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수익률(2.39%)을 크게 앞질렀다. 연말 미국 연방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반영돼 주가수익비율(PER)이 높은 성장주에 대한 가격 부담이 높아진 반면 저 PER 가치주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같은 가치주 펀드인 KB밸류포커스와 한국밸류10년투자는 성과 측면에서 크게 달라진 점을 찾기 어려웠다. KB밸류포커스는 연초 이후 1.09% 수익률을 내는 데 그쳤고 한국밸류10년투자는 -0.73%로 소폭 손실이 났다. 두 펀드는 지난해에도 각각 4.33%, 0.27% 수익률로 신영마라톤에 비해 저조했다. 박정준 한국펀드평가 연구원은 “지난해 극단적인 중형주 쏠림이 나타난 데 따른 되돌림 현상으로 대형주 우위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형-혼합가치 스타일로 운용되는 신영마라톤과 NH-CA아이사랑적립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록했고 중형-혼합가치로 운용되는 한국밸류10년투자와 미래에셋가치주포커스, 트로스톤밸류웨이 등은 최근 장에서 주춤한 상황이다. 박 연구원은 “연초 이후 대형ㆍ가치주 장세가 펼쳐지고 있지만 시장이 언제 다시 중소형ㆍ성장주 장세로 되돌아갈지 예단하기 어렵다”며 “단기적인 시장 변화에 대응해 특정 펀드에 집중 투자하기보다는 확고한 운용철학이 있는 복수의 펀드에 포트폴리오 차원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현금배당 코스닥 소형사들 손 커졌다

올해 코스닥 소형사들의 현금 배당이 크게 늘어났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올 해 코스닥 시장 현금배당 기업은 총 371개, 전년 대비 배당이 늘어난 곳은 140개로 약 40% 증가했다. 특히 현금배당에 있어서는 코스닥 시총 300위 밖에 있는 소형사의 손이 커졌다. 배당을 늘린 140개 기업 가운데 무려 89개 기업이 소형사였다. 89개 소형사들의 배당금 총액은 2014년 953억 원에서 2015년 1,257억 원으로 31.9% 늘었다. 소형사들의 주주친화 정책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배당을 늘린 소형사 중 금액기준으로는 삼본정밀전자가 45억 원으로 가장 컸다. 빅솔론과 에이티넘인베스트이 각각 37억원과 34억 원으로 톱 3에 들었고, 공매도 세력에 시달렸던 토비스도 주주들의 자산가치 보호를 위해 33억 원을 배당하면서 톱5에 들었다. 배당금을 늘리고 2년 연속 20억 원 이상의 현금 배당을 한 기업은 소형사는 삼본정밀전자와 토비스 두 곳이다. 토비스는 지난 2월 주주들에게 공매도 대응 협력을 요청하고,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 주가 가치를 지키기 위한 행동들로 시장의 주목을 받아 왔다. 토비스의 2015년 배당금 총액은 33억 원으로 지난 2014년 25억 원에서 32% 증가했다. 1주당 배당금 역시 2014년 160원에서 2015년 200원으로 25% 가량 상승했다. 지난 해 연결 영업이익 312억1,129만 원의 약 10%에 달하는 금액이 주주들에게 돌아갔다.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등 각종 음향 관련 제품을 제조하는 삼본정밀전자는 2014년 총 27억 원, 2015년 총 45억 원의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각각 지급했다. 주당 500원으로 1년 사이 배당금액은 66% 이상 증가했다. 지난 해 연결 영업이익이 54억 원의 80% 이상을 배당금으로 지급한 삼본정밀전자는 최근 3년간 잇달아 배당금을 늘리며 주주 가치 제고를 꾀하고 있다. 상장기업 컨설팅 업체 피터앤파트너스 고성민 대표는 "과거부터 코스닥 기업들은 '성숙'보단 '성장' 단계인 경우가 많아 배당보다는 투자 수요가 더 큰 경우가 많았다"며 "그럼에도 소형사들을 중심으로 배당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정부의 다양한 배당 확대 정책과 맞물려 주주 가치제고라는 측면에서 기업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는 긍정적인 변화"라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