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두산그룹株,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부문 매각에 ‘동반상승’

두산그룹주가 두산인프라코어의 공작기계사업부문 매각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기대감에 동반 상승하고 있다. 3일 오전 9시 30분 현재 두산그룹의 지주회사인 두산은 전일대비 1.35%(1100원)원 오른 8만2400원, 두산인프라코어는 전일대비 5.53%(250원) 상승한 4965원에 거래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모회사인 두산중공업도 전날대비 4.84%(850원) 오른 1만8400원을 기록중이다. 전날 두산인프라코어는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공작기계사업부문을 1조1300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동익 현대증권 연구원은 “이번 매각대금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면 두산인프라코어의 순차입금은 지난해 말 3조854억원에서 2조원 초반으로 약 35% 감소할 것”이라며 “금융비용 역시 지난해 1525억원에서 올해는 약 1000억원 수준으로 감소해 재무 리스크가 완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두산그룹의 유동성 리스크도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은 두산인프라코어의 공작기계사업부문 매각으로 연결 부채총계가 22조원으로 감소할 것”이라며 “현재 262%에 달하는 부채비율은 추가적인 유동화를 통한 부채총계 하락과 순이익 정상화를 통한 자본총계 상승으로 올해 연말 200% 초반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보험사 배당잔치 `모럴해저드'..동양생명 40%를 중국에

자본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진 국내 보험사들이 고배당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액보험 준비금이 날이갈수록 불어나고 있고 오는 2020년 회계기준 2단계(IFRS4 phase 2) 도입이 예정돼 있다. 보험사들은 재정 건전성 유지를 위해 자본금을 더 쌓아야 한다는 의미다. 그런데도 일부 보험사가 무분별한 배당을 실시하자 금융당국도 대주주의 도덕적 해이 부분을 지적하고 나섰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보험 업계 1위인 삼성생명은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주당 1800원으로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3328억원으로 당기순이익 1조2112억원 가운데 배당성향이 27.5%를 기록했다. 업계 2위인 한화생명은 전년과 같은 주당 18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해 배당금 총액으로 1353억원이 책정됐다. 배당성향은 25.5%다. 중국 안방보험에 인수된 동양생명의 배당성향은 40.5%에 달해 보험사들 가운데 가장 높았다. 동양생명은 주당 62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해 지난해 당기순익 1563억원 가운데 633억원을 배당한다. 흥국생명은 2012년 이후 3년만에 현금배당을 하기로 했다. 흥국생명은 주당 7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해 배당성향이 11.22%를 기록했다. 손해보험 업계 1위인 삼성화재는 주당 515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하기로 했다. 배당금 총액은 2214억4600만원으로 배당성향은 27.20%다. 현대해상과 동부화재는 각각 주당 750원, 155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키로 했다. 배당금 총액은 598억원, 981억원으로 각각 28.20%, 22.80%의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KB손보는 KB금융지주의 인수 이후 처음으로 주당 40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한다. 배당성향은 15.10%다. KB손보는 손보사들 가운데 유일하게 배당금 총액이 259억원에서 240억원으로 줄었다. 메리츠화재는 손보사들 가운데 가장 높은 배당성향은 35.60%를 기록했다. 배당금이 지난해 380원보다 오른 570원을 기록하며 배당금총액도 400억원에서 602억원으로 뛰었다. 코리안리는 주당 350원의 현금배당을 한다. 배당금총액은 402억원으로 22.32%의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현금배당을 결정한 11개 보험사들 가운데 흥국생명과 KB손보를 제외하고 9개 보험사들의 배당성향은 모두 20%를 넘는다. 9개 보험사의 평균 배당성향은 28.04%로 30%에 육박한다. 국내 금융지주사들과 은행들의 배당성향이 20% 초반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보험사들은 지난해부터 업황 불황 등의 이유로 정리해고를 시행하는 등 허리띠를 조이고 있다. 또한 지난해 4분기만 하더라도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등 보험사들이 변액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하며 실적이 급감했다. 변액보험은 주식과 파생상품(ELS) 등 변동성이 높은 곳에 투자한다. 생보사는 변액보험을 판 시점의 예정이율보다 투자수익률이 하락하면 그 차이만큼을 매년 추가로 준비금을 쌓아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환경이 녹록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고 글로벌 증시의 변동폭도 커져 보험사들이 추가로 적립해야할 변액보험 준비금이 1조원을 훌쩍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다. 오는 2020년에 도입되는 IFRS4 2단계도 보험사들의 재무상태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IFRS4 2단계의 핵심은 보험부채의 평가가 ‘원가 평가’에서 ‘시가 평가’로 변경하는 것이다. 부채평가의 핵심인 상품의 분류기준과 할인율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보험 부채의 시가 평가에 의해 40조원 이상의 자본을 추가로 채워야 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의 재무건전성 확보 차원에서 배당 대신 내부 유보를 권고했다. 하지만 보험사들은 정부 정책 때문에 고배당을 유지하고 있다고 항변한다. A보험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는 IFRS4 2단계 준비를 위해 배당을 많이 하지 말라고 한다"며 "하지만 배당을 적게 하면 기업소득 환류세를 별도로 부담해야 하고 정부도 배당을 더욱 확대해야한다고 하고 있어 고배당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의 현금배당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IFRS4 2단계가 도입되면 일부 생보사들의 지급여력비율(RBC)이 급감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아우디 코리아, 프리미엄 SUV ‘뉴 아우디 Q7’ 출시

아우디 코리아는 3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 호텔에서 프리미엄 SUV ‘뉴 아우디 Q7(The new Audi Q7)’ 공식 출시행사를 갖고 ‘뉴 아우디 Q7’을 공개했다. 뉴 아우디 Q7에는 V6 3.0 TDI 엔진과 8단 팁트로닉 변속기가 탑재됐다. 최고 출력 218마력, 최대 토크 51kg∙m이며 정시상태에서 100km/h까지 도달하는 데 7.1초가 걸린다. 복합연비는 11.9km/l다. ‘뉴 아우디 Q7 35 TDI 콰트로’와 ‘뉴 아우디 Q7 45 TDI 콰트로’ 두 가지 차종을 선보이는데 ‘뉴 아우디 Q7 35 TDI 콰트로’는 컴포트(comfort), 프리미엄(premium), 프리미엄 테크(premium tech)의 3가지 라인으로 출시된다. 디자인은 곧게 뻗은 디자인으로 현대적인 세련미에다 SUV의 상징인 강렬함을 조화했다. 특히 이전 모델에 비해 325kg 가벼워져 한층 민첩한 드라이빙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지난 2005년 1세대 모델이 출시된 ‘아우디 Q7’은 전세계적으로 그 상품성을 인정받았다. 출시 첫해 그 해 최고의 자동차에게 주어지는 ‘골든 스티어링 휠(Golden Steering Wheel)’과 2006년 럭셔리 SUV 부문 ‘올해의 사륜구동 모델(Four-Wheel-Drive Cars of the Year 2006)’을 수상했다. 이번에 국내에서 출시되는 2세대 뉴 아우디 Q7’은 독일 자동차 전문 매거진 ‘아우토모터 운트 스포트’에서 선정한 ‘2016 최고의 자동차(Best Cars 2016)’로 선정됐다. 프리미엄 SUV답게 오프로드 주행에 있어서도 최적화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뉴 아우디 Q7 45 TDI 콰트로’에는 적응식 에어 서스펜션을 탑재해 고속 주행 시에는 자동으로 서스펜션이 30mm 내려가 최적의 핸들링과 승차감을 선사하는 한편 오프로드 주행 시에는 60mm까지 서스펜션이 올라가 지상고를 최대 245mm까지 상승시켜 노면에 상관없이 최적의 주행을 돕는다. 또 적응식 에어 서스펜션 장착 모델의 경우 리프트/오프로드, 올로드, 이피션시, 컴포트, 오토, 다이내믹, 인디비주얼 등 최대 7개까지의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아우디 코리아 요하네스 타머 대표는 “이번 2세대 완전변경 모델은 더욱 세련된 디자인과 혁신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고객 선택의 폭을 확대하고자 고객 기대수준에 맞춘 고급 편의사양과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장착한 다양한 라인으로 선보여 한국 시장에서도 많은 고객들로부터 선택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삼성전자, 세계 최대 용량 15.36TB 서버 SSD 출시

삼성전자가 기존 제품보다 용량을 4배 높인 세계 최대 용량의 ‘15.36TB SAS SSD’를 본격 출시했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부터 15.36TB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7.68/3.84/1.92TB 및 960/480GB 등 총 6가지 제품도 순차적으로 공급해 나갈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SAS는 서버와 스토리지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 PC에 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SATA’ 인터페이스보다 2배 이상 빠른 SSD를 만들 수 있다. 15.36TB SAS SSD는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해 단일 폼팩터 저장장치 중 가장 큰 용량이다. 삼성전자는 ‘초대용량·초고속·고내구성·고신뢰성’ 솔루션으로 투자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SAS HDD 시장을 빠르게 전환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번 SSD는 2.5인치 크기에 512개의 3세대 256Gb V낸드를 각각 16단으로 적층한 512GB 패키지 32개와 16GB D램 등 약 550개의 메모리를 PCB 2개 양면에 탑재했다. 이번 제품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시스템 구성 시 2.5인치 SATA SSD를 탑재할 때보다 성능과 용량을 동시에 2배 이상 높일 수 있다. 15.36TB SAS SSD(제품명 PM1633a)는 3세대 256Gb V낸드와 전용 컨트롤러 및 펌웨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2세대 128Gb V낸드 기반의 3.84TB SAS SSD(제품명 PM1633)에 비해 용량을 4배나 늘렸다. 또한 SAS HDD보다 약 1000배 빠른 임의읽기 속도 20만 IOPS, 임의쓰기 속도 3만2000 IOPS를 구현했고 연속읽기·쓰기 속도도 SATA SSD보다 2배 이상 빠른 1.2GB/s를 달성했다. 더불어 기존 10나노급 128Gb 낸드를 탑재한 표준형 SATA SSD 제품들보다 내구성을 2배에서 10배 이상까지 높였다. 특히 개발 난이도가 높은 메타데이터 보존 기술과 함께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순간정전 상태에서의 데이터 보관·복구기술 등 시스템 유지·관리 편의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소프트웨어 솔루션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향후 글로벌 고객과 기술 협력을 확대해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시장도 본격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전무는 “글로벌 서버 기업들의 초고용량 SAS SSD의 공급 확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한발 앞선 3차원 메모리 기술 개발로 차세대 SSD를 선행 출시, 글로벌 IT 시장 트렌드 및 프리미엄 메모리 시장의 성장세를 지속 견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