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KC그린홀딩스, 中 시진핑 탄소배출권 거래제 본격 도입에 ↑

KC그린홀딩스 주가가 오름세다. 시진핑 중국 주석이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본격 도입한다는 소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오전 9시50분 현재 KC그린홀딩스는 전 거래일보다 3.89% 오른 9610원에 거래 중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5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현재 7개 도시에서 시범 운영 중인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2017년부터 전역에서 시행키로 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란 정부가 연간 탄소 배출량 한도를 정하면 한도를 채우거나 여유있게 남긴 기업들이 배출권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최근 KC그린홀딩스의 100% 자회사인 장춘법인은 중국 구룡제지 그룹과 244억원의 집진설비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한국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환경플랜트 시장에 대규모 공급계약을 통해 진출한 사례"라며 "중국기업이 강화된 환경규제에 따라 실제 환경설비 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KC그린홀딩스는 규제가 중국보다 강한 국내에서도 기술적으로 가장 우위에 있는 기업으로 중국 환경설비 시장 다른 영역으로 확장할 것으로 전 연구원은 기대했다. 중국이 탄소배출 거래제를 본격 도입하면, 기업들의 환경설비 투자가 확대될 것이란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추석 연휴로 이틀 쉰 국내 주식시장...글로벌증시 급락 부담

국내 증시가 추석 연휴로 이틀간 휴장한 동안 세계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속에 글로벌 증시가 휘청이자 국내 증시도 하락장으로 출발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글로벌 증시는 대부분 하락했다. 미국 나스닥은 2거래일 동안 -4.0%급락 했고, S&P500(-2.6%), 다우(-1.2%)도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중국 등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안이 지속되면서 투자심리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 국내 증시도 당분간 불안한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시31분 현재 코스피 20.36p(1.05%) 내린 1922.49, 코스닥 12.53p(1.84%) 내린 670.17으로 거래 중이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추석 연휴로 한국 증시가 쉬는 동안 중국 증시는 제조업 실적 부진 우려로 하락했고 미국에서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갑론을박 속에 투자자들이 혼란에 빠졌다며 글로벌 증시에서 성장보다 위험 수위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지수 하락 압력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최근 글로벌 증시의 동반 약세는 중국 차이신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 부진과 IMF(국제통화기금)의 세계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시사 등 글로벌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면서다. 옐런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국 연준 위원들의 엇갈린 발언이 이어지면서 금리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금융시장 불안 요인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발 경기 불확실성에 이어 선진국 기업 이슈가 확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폭스바겐 디젤 사태가 아우디 등 유럽 자동차 시장 전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와중에 세계 최대 광산업체인 스위스 글렌코어의 파산설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글렌코어 주가가 폭락하는 등 자칫 글로벌 신용리스크를 자극할 수 있는 변수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외 주식시장의 이같은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는 것은 실적과 정책이 반영돼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기대감은 크지 않다. 다음주 삼성전자 3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국내 기업들의 3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본격화된다. 증권가에서는 실적 시즌을 앞두고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이 진정되는지 여부가 증시의 반전 계기가 될 지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기대감 보다는 불안한 요인이 더 많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당분간은 보수적인 스탠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과 함께 월말, 월초를 맞아 다양한 국내외 경제지표에 대한 경계심, 실적 시즌을 맞은 불확실성도 감안해야 할 시점이라며 국내 증시에 대한 보수적 스탠스를 당분간 유지하라고 조언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화성에 액체상태 물 흐른다”…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한발 더 접근

화성에 액체상태 물. 화성에 액체상태의 물이 흐르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발표되면서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확률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화성 표면에 흐르는 물이 존재했던 흔적이 있다는 점은 지난 2000년, 얼음 형태로 물이 존재한다는 점은 지난 2008년 각각 밝혀졌지만, 액체 상태의 물이 지금도 흐르고 있다는 증거가 제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언론은 NASA(미 항공우주국)는 지난 29일(이하 한국시각) 워싱턴 D.C. 본부 청사에서 1시간에 걸쳐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연구 결과를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성 표면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일부 지역에선 계절에 따라 어두운 경사면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일이 반복되는데, 이같은 지형을 RSL(Recurring Slope Lineae)이라고 부르고, 여름이 되면 나타났다가 겨울이 되면 사라진다. RSL은 너비가 5m 안팎, 길이가 100m 안팎의 가느다란 줄 형태이며 영하 23도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생겼다가 그 아래로 온도가 내려가면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RSL은 지난 2010년 미국 애리조나주 투산에 있는 애리조나대(UA)의 학부생이었던 루옌드로 오이하가 이 학교의 고해상도 이미징 과학 연구(HiRISE)팀 연구책임자 앨프리드 매큐언 교수 등과 함께 발견했다. 이들이 RSL이 관측되는 지역들의 스펙트럼을 관측, RSL이 염화나트륨이나 염화마그네슘 등 염류를 포함한 물이 흐르면서 생기는 현상이라는 강력한 증거를 확보했다. 연구자들은 오늘날 화성에 액체 물이 존재한다는 건 천체생물학적, 지질학적, 수리학적 함의가 있으며 미래의 인간 탐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화성에 소금물 개천이 흐르는 이유는 지구의 대도시들이 눈이 오면 길을 녹이려고 염화칼슘을 뿌리는 것과 똑같은 과학적 현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화성의 온도와 기압이 낮기 때문에 그냥 순수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물에 나트륨이나 마그네슘 등 염류가 녹으면 어는점이 내려가고, 따라서 화성의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의 물이 흐를 수 있게 된다. 화성에는 40억년 전에 큰 바다가 있었지만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기후 변화로 표면에서 물이 대부분 사라졌다. 온라인뉴스팀

폴크스바겐 결함차량에 수일 내 리콜통보…사상최대급

배출가스 눈속임 파문을 일으킨 폴크스바겐이 해당 차량에 대해 곧 리콜을 통보한다. 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과 파이낸셜타임스(FT)는 폴크스바겐이 배출가스 눈속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차주에 대해 수일 내로 수리 계획을 알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수리 대상은 최대 1천100만 대로 개별 자동차회사의 리콜로는 사상 최대규모 급이 될 전망이다. 앞서 도요타가 2010년 가속페달 결함으로 1천만여 대를 리콜했다. 다카타 에어백 결함으로 인한 리콜은 미국에서만 3천380만대에 달하지만 여러 업체에 걸쳐 있다. 폴크스바겐은 10월 7일까지 독일 당국에 사태 수습 방안을 제출하고 허가를 받은 뒤 차량 수리에 착수한다. 폴크스바겐은 결함 차량 차주가 정비소를 찾아 수리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편 각국 언어로 웹사이트를 개설해 수리 관련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그러나 폴크스바겐은 배출가스 눈속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수리 과정을 거치면 당국의 규제에 맞게 되는지, 주행거리나 연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지적했다. 폴크스바겐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65억 유로(8조6천억원)의 충당금을 쌓아뒀지만 벌금과 수리비용, 소비자들의 소송까지 감안하면 이를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비 등에 문제가 없도록 정교한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대당 수천 달러의 비용이 필요하고 이렇게 되면 차량수리에만 200억 달러(23조원) 이상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미국 CBS방송이 보도했다. 배출가스 눈속임 사태로 폴크스바겐에 대한 신뢰도는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미국 투자자문회사 에버코어가 62개 금융기관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3분의 2가 향후 6개월간 폴크스바겐에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론조사업체 유고브가 독일인 2천 명을 상대로 폴크스바겐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를 봐도 폴크스바겐의 이미지가 이번 사태로 상당히 약화됐으며 다임러의 소형차 브랜드 스마트와 비슷한 수준으로 추락했다는 반응이 많았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스페인 당국은 이날 폴크스바겐에 지급했던 연비 보조금을 회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스페인은 연비개선 차량을 구매할 경우 대당 1천 유로(132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해왔으며 회수 대상은 차주가 아닌 폴크스바겐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코스닥 시황] 1% 넘게 하락…670선으로 후퇴

코스닥지수가 장초반 하락세다. 세계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속에 글로벌 증시가 휘청이자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도 제한되는 모습이다. 30일 오전 9시 17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10.87포인트(1.59%) 하락한 671.83에 거래 중이다. 코스닥 지수가 670선으로 내려앉은 것은 지난 17일 이후 7거래일 만이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보면 개인이 물량을 매입하고 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물량을 쏟아내며 지수 하락을 견인하고 있다. 개인 73억원어치 순매수하고 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억원, 53억원어치 순매도 중이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세다. 신정장기업이 4.38%로 가장 큰폭으로 내리고 있고, 섬유/의류(3.51%), 제약(2.87%)가 뒤를 이었다. 의료정밀기기(2.44%), 음식료/담배(2.00%)도 하락 폭이 큰 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인터넷(2.15%), 금속(0.23%) 단 두 업종만 상승 중이다. 시가 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다음카카오(2.60%), 로엔(0.40%), 이오테크닉스(0.36%), 동서(0.28%)가 상승 종목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반면 바이로메드(5.05%)는 큰폭으로 내리고 있고, 메디톡스(3.87%), 셀트리온(2.43%), 컴투스(2.16%)도 하락 중이다. 9시 17분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한가 3개를 포함한 195개 종목이 오르고 있고, 하한가 없이 819개 종목이 내리고 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