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건 기자

southgeon@kyeonggi.com

인천 연수·서구 ‘돌봄 시설’ 태부족

“당장 다음달에 학교 방학이에요. 맞벌이인데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걱정입니다.” 인천 연수구와 서구가 아동 비율이 높은데도 정작 초등돌봄기관인 ‘다함께 돌봄센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체 주민 중 아동인구(만 18세 이하)의 비율은 연수구가 19.2%(7만4천43명), 서구는 18.1%(10만6천65명)에 달한다. 이는 인천 전체 평균(15.3%)은 물론 전국 평균(16.4%)보다 높다. 그러나 다함께 돌봄센터는 연수구에 3곳, 서구에 5곳에 그친다. 이 때문에 연수구와 서구에선 연중 입소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신규 센터가 들어서자마자 정원이 가득 차 추가 모집은 사실상 어려운데다, 대기번호를 받고 기다리는 학부모들이 속출하고 있다. 김공임 연수2동 다함께 돌봄센터장은 “매일 쉴새없이 입소 문의 전화가 온다. 센터에서 5㎞ 떨어진 곳에 사는 아이가 있을 정도”라며 “돌봄이 필요한 아이가 많은 걸 알지만 수용할 수가 없다”며 안타까워 했다. 센터는 아동복지법에 따라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방과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원·과외보다 저렴하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 맞벌이 부부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연수구와 서구의 늘어나는 아이들을 감당하기엔 센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2021년부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00가구 이상 아파트엔 센터를 설치할 수 있지만, 입주자 등 주민의 반대로 미뤄지거나 백지화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장경은 경희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신도시처럼 아동비율이 높은 곳에서는 센터가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며 “법으로 센터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강력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수구 관계자는 “공간확보나 입주자들이 동의하지 않아 센터 설치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아동 돌봄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대책을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13년 전 포격 아직도 생생”… 인천 연평도 주민 ‘극심한 공포’ [현장, 그곳&]

“실제 포격을 경험했던 우리 연평도 주민들은 북한의 도발이 잦아질 때마다 너무 불안합니다” 1일 오전 인천 옹진군 연평면 주민 이수미씨(57·가명)는 “최근 북한 무인기가 침투하고, 이날 오전에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이 떠올라 두렵다”고 호소했다. 포격 당시 너무 놀라 아무 짐도 챙기지 못하고 뭍으로 겨우 몸을 피했던 이씨는 위급상황 시 언제든 대피할 수 있게 겉옷을 입고 잠을 잔 지 오래다. 이씨는 “최근 무인기를 쫓는 전투기 비행기 소리에 극심한 공포를 느꼈다”면서 “바로 집을 떠날 수 있도록 식수와 담요, 신경안정제를 담은 비상 가방까지 꾸려 놨다”고 털어놨다. 31년째 연평도에서 사는 문성기씨(77)도 최근 잇따른 북한의 도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지난 2010년 11월23일 북한의 무차별적인 포격으로 이곳에 포탄들이 떨어지며 해병대원과 주민 4명이 숨지고 수많은 부상자가 나온 그 날이 아직도 생생하기 때문이다. 문씨는 “남북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연평도 주민들이 또 피해를 입을까 걱정”이라며 “우리 주민들은 그저 마음 편하게 살고 싶은 바람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최근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면서 접경지역인 연평도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50분께 평양 용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1발이 우리 군에 포착됐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2월18일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2발, 같은달 23일 SRBM 2발을 발사했다. 지난해 12월26일에는 북한의 무인기 5대가 우리 상공으로 침범하기도 했다. 연말연시 북한이 도발을 이어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북한의 대남도발이 이어지자 포격을 경험했던 연평도 주민들은 극심한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인기 침범 이후 뭍으로 나가는 인원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했다. 무인기 침범 다음 날인 27일 연평도에서 인천항으로 나간 인원은 205명으로 26일 137명보다 50% 가량 늘었고, 섬으로 들어오는 인원은 118명으로 전날 211명보다 44% 줄었다. 연평도 주민 중 상당수가 포격에 대한 ‘트라우마(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들이 안심하고 지낼 수 있도록 지원이 시급하다. 진덕인 한림대 정신의학과 교수는 “주민 중에서 트라우마가 심한 사람들은 심리 치료 등 지원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옹진군 관계자는 “연평도 주민들에 대한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있지만 생업 등으로 치료를 못 받는 주민들이 많다”면서 “고위험군 주민을 발굴해 적극적으로 심리 치료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검찰, 허위 자백받고 수사 정보까지 몰래 유출한 현직 경찰관 기소

마약 사건 수사 과정에서 허위 자백을 받고 수사 정보까지 유출한 현직 경찰관이 재판에 넘겨졌다. 인천지검 강력부(김연실 부장검사)는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와 공무상비밀누설 등의 혐의로 현직 경찰관 A씨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20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20년 9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마약 수사를 하던 중 허위 자백을 받아낸 혐의 등을 받는다. A씨는 수사 실적을 올리려고 이미 또 다른 마약 사건으로 재판을 받던 B씨를 회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그 대가로 “피고인이 수사에 협조했다”는 취지로 양형 참고자료를 허위 작성해 B씨의 마약 사건 담당 재판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A씨는 또 2020년 10월 다른 마약사범의 범행을 모른 척하고 수사 정보를 유출한 혐의도 받았다. 검찰은 A씨의 휴대전화를 분석해 그가 마약사범과 통화한 녹음 파일을 발견, 혐의를 입증했다. 한편 인천지검은 올해 하반기(7~12월) 사법 질서 방해 사건을 단속해 A씨를 포함한 54명을 적발, 30명을 기소하고 나머지 24명에 대해 수사하고 있다. 범죄 유형별로는 위증 34명, 범인도피 10명, 무고 7명, 증인도피 1명, 보복 범죄 1명,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1명 등이다. 황남건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