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미추홀구 용현학익 1블록 도시개발사업 전체 부지의 토양오염 여부를 정밀히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인천연대)는 6일 미추홀구가 사업시행자인 DCRE에 일부 부지에 대한 토양 정밀 조사를 명령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2007년 환경 조사에서 나머지 부지의 토양오염이 확인됐던 만큼 전체 부지에 대한 정밀 조사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가 입수한 미추홀구의 올해 9월 7일 행정처분 명령서에 따르면 사업 구역 내 공장 123 부지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불소, 수은, 구리, 납, 아연 등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수은은 토양오염 우려 기준(1 지역)의 5배가 넘는 22.93mg/kg, 구리와 불소는 기준치 2배인 295.3mg/kg와 942mg/kg가 검출됐다. 인천연대는 2007년 7월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와 인천환경기술개발센터의 토양환경조사서에 따르면 40개 조사 지점 가운데 5개 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이 확인됐다며 또한, 5개 지점 중 1곳만 공장 부지였다고 전체 부지의 조사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합리적인 토양오염 조사와 해결 방안 마련을 위해 인천시, 미추홀구, DCRE에간 민관협의기구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도시개발사업은 중소형 아파트 위주의 1만 3천 가구를 건립하고, 사업지구 내 송암미술관과 극동방송국 건물 등을 살려 문화가 있는 단지로 꾸미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DCRE측은 인천연대가 주장하는 것처럼 토양오염 정밀 조사를 전혀 시행하지 않은 게 아니라는 입장을 내 났다. DCRE 관계자는 1개의 부지는 토양오염 정밀 조사를 진행 중이다며 나머지 부지는 개인, 타 공장 소유 등이 있기 때문에 현재 진행하지 못하고 있고, 조만간 이 부지에 대해서도 토양오염 정밀조사를 실시할 예정이고, 시민단체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송길호기자
인천사회
송길호기자
2018-12-06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