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부터 29일 오전까지 경기도 고양시에 최고 265.5㎜의 폭우가 쏟아져 도로와 주택 침수 피해가 속출했다. 경기북부 각 지자체에 따르면 고양시에는 전날 오후 7∼8시 사이 시간당 67.5㎜의 강한 비가 내렸다. 이 때문에 덕양구 토당동과 고양동, 일산동구 풍동과 정발산동, 일산서구 대화동과 법곳동 등의 저지대 25가구가 침수됐다. 또 고양시 일산동구 내곡3 지하차도와 덕양구 수자원공사 인근 도로가 침수되는 등 29일 오전 5시 50분까지 160건의 크고 작은 침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현재 배수 작업이 이뤄져 교통 통제가 이뤄지는 곳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양주시에서는 화도IC 일대 도로가 침수돼 물이 자동차 바퀴까지 차오르는 등 운행에 불편을 겪었다. 한강홍수통제소는 전날 오후 8시 40분을 기해 왕숙천 진관교 일대 홍수주의보를 발령했지만, 29일 오전 1시 20분 해제했다. 파주시에서는 전날 오후 7시 45분께 경의중앙선 운정역 신호기가 고장 나 30분가량 열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경기도에는 전날 오후 대부분 지역에 호우특보가 발효했다가 밤사이 해제됐다. 전날 오후부터 이날 새벽까지의 누적 강우량은 의정부 197.5㎜, 김포 168.5㎜, 포천 163㎜ 등을 기록했다. 호우경보가 발효 중인 연천 신서는 6시간 강우량이 131.5㎜, 포천 이동은 122㎜를 기록하고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강수대가 남북으로 폭이 좁게 형성돼 강수량의 지역 차가 크다"며 "기압골 위치에 따라 강한 비가 내리는 만큼 시설물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8월29일 경기 수원 광교, 세류, 호매실 국민주택, 의정부 공간라움 등과 서울 대구 등 전국 아파트 8곳의 아파트 당첨자가 발표된다.아파트투유(apt2you.com)에 따르면, 8월 29일(수요일) ▲ 대구 민영주택 분양주택 대구역 한라하우젠트 센텀(대구) ▲경북 민영주택 분양주택 e편한세상 영천 1BL ▲경기 민영주택 분양주택 공간라움(의정부) ▲경기 국민주택 분양전환가능임대 수원광교21(A-24)10년공임예비 ▲경기 국민주택 분양전환가능임대 수원광교40(A-26)10년공임예비 ▲경기 국민주택 분양전환가능임대 수원세류2(2BL)5년공공임대 예비 ▲경기 국민주택 분양전환가능임대 수원호매실15(B-7)10년공임예비 ▲경기 국민주택 분양전환가능임대 수원호매실5(B-6) 10년공임예비 등 8곳의 당첨자가 발표된다.청약 당첨 사실은 당첨자 발표일로부터 10일 동안 아파트투유를 통해 조회 가능하다.
김경애(30·대전광역시청)가 제18회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육상 여자 창던지기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경애는 2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GBK) 주 경기장에서 열린 결선에서 56m 74를 던져 류시잉(66m 09), 류후이후이(63m 16·이상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한국 육상은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이광희기자
한국 남자 탁구대표팀이 ‘만리장성’의 높은 벽에 막혀 준우승했다. 김택수 감독이 이끄는 남자 탁구대표팀은 2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터내셔널엑스포에서 열린 제18회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탁구 남자 단체전 결승에서 중국에 게임 스코어 0대3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한국 남자탁구는 7차례 연속 아시안게임 단체전 결승에서 중국과 만나 모두 패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선봉으로 나선 이상수(국군체육부대)가 중국 린 가오위안에게 세트 스코어 0-3(3-11 3-11 2-11)으로 완패한 뒤, 단식 두 번째 주자로 나선 정영식(미래에셋대우)이 1세트를 가져가며 기세를 올렸지만, 치열한 접전 끝에 2~4세트를 연이어 내주며 세트 스코어 1-3(12-10 8-11 8-11 7-11)으로 역전패했다. 이후 세 번째 단식에 출전한 장우진(미레에셋대우)도 왕추친과 끈질긴 승부를 펼쳤지만, 세트 스코어 1-3(11-13 11-7 9-11 6-11)으로 분패하며 이날 경기를 마무리했다.이광희기자
임은지(29·성남시청)가 여자장대높이뛰기 동메달을 따내면서 아시안게임에서 2회 연속 메달 획득에 성공했다. 임은지는 2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주 경기장에서 열린 제18회 자카르타·팔렘방 여자장대높이뛰기 결선에서 4m20을 뛰어 3위에 입상했다. 이로써 2014년 인천 대회에서 한국 최초로 여자장대높이뛰기 동메달을 목에 건 임은지는 두 대회 연속으로 메달을 수확하게 됐다. 한편, 임은지는 올 시즌 개인 최고 기록이 4m00으로 다소 부진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시즌 기록을 20㎝ 경신하면서 큰 무대에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이광희기자
일본의 소비세(부가가치세)는 현재 8%이지만, 2019년 10월에는 10%로의 소비세 인상이 예정되어 있다. 참고로 일본의 소비세에 해당하는 한국의 부가가치세는 일본보다 높은 수준인 10%이다. 이번에 예정대로 소비세를 인상(또는 인상 시기를 연기)해야 할지를 둘러싸고 일본에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2012년 성립된 소비세 인상 법안은 2014년 4월1일과 2015년 10월1일에 각각 기존 5%에서 8%, 8%에서 10%로의 소비세 인상을 규정하였다. 2014년 4월에는 예정대로 8%로 소비세 인상이 이루어졌지만, 10%로의 소비세 인상은 아베 내각 하에서 2번에 걸쳐 연기되었다. 그렇다면 이번에야 말로, 10%로의 소비세 인상이 이루어질까? 우선 일본의 재정상황을 고려한다면, 10%로의 소비세 인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일본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누적채무잔고는 200%를 넘는 수준이다. 2018년 기준으로 보면, 미국, 영국, 독일의 GDP 대비 누적채무잔고는 각각 108%, 86%, 59%에 불과하지만, 한편, 일본의 GDP 대비 누적채무잔고는 236%이다. 2018년 기준으로 일본의 일반회계 세출은 97조 엔인데, 그 중에서 23조 엔인 국채비(국채 상환 비용)를 제외하면, 실제 활용 가능한 세출 규모는 73조에 불과하다. 또한 세입의 구성을 보면, 조세 등 수입은 59조 엔에 불과하고, 33조 엔은 국채 발행 등에 의해서 충당되고 있다. 일본의 재정상황은 그야말로 심각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일본정부가 지금까지 2번에 걸쳐 10%로의 소비세 인상을 연기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로서는 우선, 소비세 인상이 아베 내각 등장 이후에 회복되고 있는 일본경기를 다시 후퇴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기존에 아베 내각은 2번에 걸쳐 10%로의 소비세 인상을 연기하였지만, 이번에는 예정대로 10%로의 소비세 인상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부총리 겸 재무대신을 겸직하고 있는 아소 타로 재무대신은 2018년 8월27일에 “2019년에는 예정대로 10%로의 소비세 증세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에 있다”는 인식을 표명하였다.단, 아소 재무대신은 소비세 증세에 따른 경기침체를 방지하기 위해서 2019년 예산안에 경제대책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소비세는 간접세의 하나로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등 역진성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에서는 소비세를 10%로 인상함과 동시에 식료품 등에 대해서 경감세율제도를 적용할 것을 정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에서 비가공 식료품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제도를 두고 있는 것도, 부가가치세가 가지고 있는 역신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것이다. 소비세 인상에 따른 리스크는 일본의 경기 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고, 한편, 소비세 인상 연기에 따른 리스크는 일본의 재정건전성이 점차 악화되어, 명시적인 재정위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발행한 국채의 90% 이상은 일본 국내에서 소화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 소유 비율은 높지 않다. 즉 현재로서는 일본에서 국채상환 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한편, 장기적으로 본다면, 저출산고령화는 의료, 연금 등 사회보장지출의 증가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본의 재정상황은 점차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세계 3위의 경제규모(명목 GDP 기준)를 가지고 있는 일본 경제의 동향은 한국 등 세계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그 동향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의 재정건전성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높은 수준에 속하지만, 급격한 저출산고령화의 진전을 고려한다면, 재정 건전성의 문제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박성빈 아주대 국제학부장·일본정책연구센터장
경기일보사는 2018 (제14회)한반도 평화수도 파주 전국학생거북선창의탐구대회를 파주시,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 한국학교발명협회와 공동으로 주최합니다. 전통과학 발명품 ‘거북선’에 대한 다양한 탐구와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창의인재를 육성하고, 자주국방의 당위성과 통일 한국의 비전을 함양하는 교육의 장이 될 것입니다. 학생, 학부모, 일선 학교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대 회 명 : 2018(제14회) 한반도 평화수도 파주 전국학생거북선창의 탐구대회 △ 대회일시 : 2018년 10월 20일(토) △ 접수마감 : 2018년 10월 4일(목) 16:00까지 △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kasip1004@hanmail.net (서식은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 △ 장 소 : 파주시 문산중학교 및 문산제일고등학교 △ 주 최 : 파주시, 경기일보,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 한국학교발명협회 △ 주 관 : 한국학교발명협회, 문산중학교 △ 문 의 : 한국학교발명협회 ☎02)569-6584~5, 010-9045-5405 ※ 자세한 사항은 대회 홈페이지(http://www.kasi.org 공지사항)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년 정부 예산안이 올해보다 9.7% 늘어난 470조 5천억 원으로 확정됐다.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재인 정부의 적극적 재정지출 정책기조가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됐다. 정부는 28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올해 본예산 428조 8천억 원보다 41조 7천억 원(9.7%) 증가한 470조 5천억 원 규모의 ‘2019년 예산안’을 확정했다. 정부가 31일 내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하면, 국회는 법정 시한인 오는 12월 2일까지 이를 심의·의결해야 한다. 먼저 일반·지방행정 예산 배정액은 69조 원에서 77조 9천억 원으로 8조 9천억 원(12.9%) 늘어난다. 이중 지방교부세는 52조 8천억 원으로 6조 8천억 원(14.8%) 증액됐다.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합한 내년 지방이전재원은 108조 5천억 원으로 올해보다 13.6% 급증했다. 문화예산도 7조 1천억 원으로 10.1% 증액된다. 냉전의 산물인 비무장지대(DMZ)를 평화와 관광의 상징 지역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내년도 관련 예산 120억원을 투입한다. 한반도 생태평화벨트조성 사업에 책정된 110억 원이 대표적이다. 이는 2013~2022년 경기, 인천, 강원 등 DMZ 일원의 우수한 생태자원과 안보·역사자원을 활용해 이 지역을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한 구상이다. 정부는 DMZ 일대를 평화와 통일의 상징 지대로 전환하고 이와 관련한 관광상품 개발, 교육체험 등을 확대할 방침이다. 평화콘서트, DMZ 걷기길, 자전거길을 구축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SOC사업의 경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760억→1천360억), 광역도로 건설·혼잡도로 개선(1천595억→1천368억), 도시철도(3천195억→1천625억) 등 대도시권 교통혼잡을 해소한다. 광역 BRT, 환승센터 확충, 알뜰교통카드 도입(31억, 신규), 도시형 교통모델(공공형 버스, 234억, 신규) 등 대중교통을 확충하고 서비스를 개선한다. 또한 저상버스·특별교통수단(장애인 콜택시) 보급(370억→367억),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고속·시외버스 도입(13억, 신규) 등 교통약자 이동편의를 증진하는 사업도 포함됐다. 혁신성장을 통해 경제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중소기업·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는 18조 6천억 원으로 2조 3천억 원(14.3%) 늘려 12개 분야 중 증가율이 가장 높다. 연구개발(R&D) 예산도 20조 4천억 원으로 3.7% 늘어 처음으로 20조 원을 넘어선다. 정부는 내년도 일자리 예산을 올해 19조 2천억 원보다 22.0% 늘여 사상 최대인 23조 5천억 원으로 편성했다. 노인일자리 61만개, 여성 친화적 일자리 13만6천개, 장애인 일자리 2만개 등 취업 취약계층 등에게 일자리 90만개 이상을 제공하는 게 목표다.강해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