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욱 자유한국당 인천시당위원장 "빠르고 젊은 시당으로 변화시킬 것"

자유한국당 인천시당위원장은 28일 월미문화의거리 학공연장에서 ‘2017년 자유한국당 인천시당위원장 이·취임식 및 봉사활동’를 가졌다. 민경욱 인천시당 신임 위원장은 “인천시당을 속도 있는 빠르고 젊은 시당으로 변화시키고 당협별 온라인소통망을 구축하겠습니다.”라며“인천시당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당원여러분의 믿음에 대한 엄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앞으로 시당은 당원중심으로 이끌 것”이라며 이라고 밝혔다. 민 위원장은 이어 “자유한국당 당원인 것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도록 항상 귀 기울이고, 발로 뛰고 또 뛸 것”이라며 “당원인것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시당을 만드는데 모든 것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유섭 전 위원장도 “민경욱 의원은 신나고 즐거운 사람이다. 중요한 시점에서 시당위원장이 됐기 때문에 여러분이 적극적으로 도와 내년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어야 할 것”이라며 새 시당 위원장 취임을 축하했다. 이날 이·취임식은 통상 실내에서 해오던 관행을 탈피, 야외에서 열렸다. 행사 직후 당직자와 당원들은 월미문화거리 제방 등에서 환경정화 봉사활동을 펼치는 등 시민과 소통하는 모습도 보였다. 한편, 이날 이·취임식에는 민경욱 시당위원장을 비롯해 안상수·윤상현·정유섭 국회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중효·제갈원영·장석현 등 당협위원장, 이재호 연수구청장, 김홍섭 중구청장, 이흥수 동구청장을 비롯해 당 소속 지방의원과 시당 당직자 등 400여명이 함께했다. 주영민기자

CJ제일제당, 브라질 업체 인수 완료…‘CJ 셀렉타’ 출범

CJ제일제당은 지난 6월 발표한 브라질 셀렉타(Selecta)사 인수를 위한 최종 계약을 완료하고 ‘CJ 셀렉타’를 출범했다고 28일 밝혔다. 셀렉타는 식물성 고단백 소재인 농축대두단백(SPC) 부문 세계 1위 기업이다. 지난해 4천억원의 매출과 55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셀렉타는 40개국에 영업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원료인 대두 주산지에 위치해 물류 경쟁력도 뛰어나다.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이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브라질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브라질을 남미 사업의 거점으로 육성하고자 CJ 셀렉타를 설립했다”며 “ 글로벌 사업을 강화해 ‘월드 베스트 푸드&바이오 컴퍼니’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은 이번 인수를 통해 기존 콩 부산물을 발효시켜 만든 ‘발효대두박’ 뿐만 아니라 대두박에서 단백질만 주요하게 농축한 ‘농축대두단백’까지 모두 생산하는 사업구조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 두 제품은 대표적인 식물성 고단백 사료 소재 제품이다. CJ 제일제당은 2020년까지 국내는 물론 베트남, 중국, 브라질 4개국에서 매출 8천억원, SPC 시장에서 세계1위 점유율 40% 이상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잡고 있다. 김신호기자

명지병원, ‘제2회 명지국제간(肝)심포지엄’ 개최

서남의대 명지병원 간센터(이효석 센터장)는 내달 8일 병원 대강당에서 ‘제2회 명지 국제간(肝)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간센터 개소 2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외 최고 수준의 간질환 전문가들이 참여해 임상경험과 최신 지견을 나누고, 향후 간질환의 치료와 연구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등 국내외 간암 석학 12명이 참석해 ‘임상 시험 중이며 곧 시판예정인 신약 및 의료장비; 진정한 희망, 지나친 기대, 충족되지 않은 필요, 그리고 미래의 도전과제’를 주제로 토론을 벌인다. 심포지엄은 만성 B형 간염, HCV(C형간염 바이러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 NASH(비알콜성지방간염), IBM Watson(미국 앤더슨 암센터의 IBM 클라우드 기반 암진단 서비스), 간경변, 간세포암 등 모두 6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이와 관련 B형 간염 세션에서 일본 나고야시대학의 ‘타나카’ 교수는 만성 B형 간염의 완치를 목표로 개발 중인 약제에 대해 발표한다. 또한, 간세포암 세션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관심을 끄는 양전자 치료와 관련, 지난 20년간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치료를 진행해 온 일본 추쿠바대학의 ‘사쿠라이’ 교수가 양전자 치료 효과를 발표한다.특히 미국 스탠포드대학의 ‘Ray Kim’ 교수는 의료의 전 분야에서 큰 관심사로 등장한 AI(artificial intelligence)와 관련, IBM Watson AI가 향후 환자진료와 의료행태에 어떠한 변화로 다가올지 현장감 있게 전해줄 예정이다. 이효석 센터장은 “간센터 오픈 이후 혈액형 불일치를 포함해 모두 10명의 국내외 간질환자의 간이식을 연속으로 성공했다”며 “심포지엄은 현재와 가까운 장래에 환자에게 적용될 신약과 그 기술에 대한 신선한 통찰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 연수 평점 5점과 내과 전문의 평생교육 5점이 부여되는 ‘제2회 명지병원 간 심포지엄’의 사전 신청은 전화(031-810-5422) 또는 이메일(hsleemd@mjh.or.kr)로 문의하면 된다. 고양=김상현기자

‘제26회 성정전국음악콩쿠르’ 결선 무대 ‘WINNER CONCERT’ 31일 경기도문화의전당 소극장서 열려

‘제26회 성정전국음악콩쿠르’의 대상을 뽑는 가 오는 31일 경기도문화의전당 소극장에서 열린다. 성악,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플루트, 클라리넷 등 7개 부문의 초ㆍ중ㆍ고ㆍ대학일반부으로 나눠 진행한 올해 콩쿠르에는 1천191명이 참여했다. 지난 9~13일 예선과 17~19일 본선을 거쳐 최우수상(6명), 금상(36명), 은상(50명), 동상(57명) 등 총 146명의 수상자가 선정됐다. 이날 무대에는 최우수상 수상자 6명이 참여해 성정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원음악상(수원시장 상),연주상(대회장상), 성정음악상(성악특별상)을 두고 치열한 무대를 선보인 예정이다. 최우수상 수상자는 첼로부문에 이동열(한국예술종합학교 3년), 피아노 부문에 전성진(연세대학교 4년), 여자 성악부문에 소프라노 문현주(연세대학교 졸업, 인디아나주립대입학 예정), 남자 성악부문에 베이스 김석준 (연세대학교 2년), 클라리넷 부문에 신예은(서울예술고등학교 3년), 바이올린 부문에 조성민(서울예술고등학교 1년)이다. 김정자 성정문화재단 이사장은 “진정한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시간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세상 속에서 빛을 발한 후에도 한없는 관심과 사랑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한편, 성정문화재단이 주최하는 성정전국음악콩쿠르는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클래식 꿈나무들이 음악가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해주고 있다. 최근에는 6년 연속 1천여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가해 공신력 있는 콩쿠르로 자리매김했다. 송시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