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증인 취소하고 증거조사도 않기로…대통령측 '반발'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사건을 내달 13일 이전에 결론짓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천명했다. 대통령 측의 반발에도 증인 신청과 증거조사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만, 최종변론기일에 대해서는 확정을 유보했다. 헌재는 20일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5차 변론에서 불출석 증인에 대한 증인채택을 취소하고, 대통령 측이 신청한 증거조사 등을 채택하지 않았다. 애초 이날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에 대한 증인신문이 예정돼 있었으나, 재판부는 증인채택을 취소했다.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실 비서관으로 근무한 최 차관은 이날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헌재는 그의 사유가 정당하다고 보고 22일 다시 부를 것으로 예상됐으나, 재판부는 아예 재소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출석한 방기선 전 청와대 행정관의 진술로 충분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오후 증인신문이 예정됐으나 '건강상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낸 김기춘 전 비서실장에 대해서도 증인채택을 직권으로 취소했다. 대통령 측이 24일 한 번 더 부르겠다고 했지만, 재판부는 이미 두 번의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며 단호하게 잘랐다. 고영태 전 더블루K 이사가 K스포츠재단을 장악하려 했다는 대화가 담긴 녹음파일을 심판정에서 틀어보자는 대통령 측의 증거조사 신청도, 고 씨를 다시 부르자는 증인 신청도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헌재는 대통령 측의 추가 변론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날 막판 김평우 전 대한변협 회장이 재판부의 심판 절차 진행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변론 기회를 얻으려 했으나, 재판부는 이를 제지했다. 다만 24일로 예정된 최종변론기일에 대해서는 확정을 하지 않고 유보했다. 헌재는 지난 16일 14차 변론에서 24일 최종변론을 하겠다고 했으나, 대통령 측이 시간 촉박을 이유로 3월 2~3일로 연장해 줄 것을 요청한 상태다. 재판부는 대통령 측의 출석 여부와 함께 오는 22일 증인 신문이 예정된 안종범 전 수석과 최순실 씨의 출석 여부에 따라 최종변론일을 정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대통령이 나온다면 재판부가 지정한 기일에 출석해야 하고, 변론이 끝난 뒤에 나오겠다고 해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 측은 즉각 반발했다. 대통령 대리인단 이중환 변호사는 재판부의 심판 진행 절차에 대해 "(공정성에) 상당히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변호사는 "(대리인이) 변론을 하겠다는데 못하게 제지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기가 어렵다"며 비판했다. 또 고영태 전 더블루K에 대한 증인 신청과 함께 고 씨 녹음파일에 대한 증거조사가 받아들이지 않은 데 대해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헌재가 이처럼 대통령 측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이정미 소장 권한대행이 퇴임하는 내달 13일 이전 선고를 위한 것이다. 앞으로 남은 증인신문 기일은 22일 한 차례. 헌재가 당초 계획했던 대로 24일 최종변론기일이 열릴 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경기도 시대'…경제규모·인구·취업자 수 전국 1위

'경기도가 전국 광역시·도 가운데 경제규모·인구수·취업자 수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경기도와 15개 광역시·도의 주요 경제지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지역 내 총생산(GRDP)가 351조원으로 나머지 전국 15개 광역자치단체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는 지역별 생산액, 물가 등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 해당 지역의 총생산액을 추계하는 종합경제지표다. 2위 서울(345조원)과는 6조원 차이가 났지만, 3위 충남(111조원·세종시 포함), 4위 경남(104조원), 5위 경북(95조원)과는 240조∼256조원이라는 압도적인 경제규모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반도체·휴대폰·자동차·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주축산업의 상당수가 경기도에 있는데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그러나 2011∼2015년 연평균 GRDP 성장세는 제주(5.0%), 충남(4.7%), 충북(4.6%)에 이어 4위(4.1%)에 그쳤다. 또 지난해 경기도 1인당 GRDP는 전년(2천680만원)보다 150만원 상승한 2천830만원으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중간수준(8위)을 나타냈다. 이는 전국 평균(3천100만원)을 하회하는 것으로, 서울에 근무지를 둔 경기도 거주 직장인이 많기 때문이라고 한은 경기본부는 분석했다. 인구와 취업자 수에서도 경기도가 전국 1위였다.2016년 말 경기도 인구수는 전년(1천252만명) 대비 19만4천명이 증가한 1천272만명으로 광역지자체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서울(993만명)보다 279만명이 더 많았다. 2016년 중 경기도 취업자 수도 652만명으로 전국 1위로 나타났다.경기에 이어 서울(512만명), 경남(168만명), 부산(166만명), 인천(152만명) 등 순이었다. 2016년 경기도의 재정규모는 13조4천억원으로 서울(18조원)에 이어 2위였고, 재정자립도는 서울(83.0%), 울산(63.8%), 인천(63.1%), 부산(55.4%)에 이어 5번째로 쳐졌다. 경기도의 재정자립도 악화는 지방세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고보조금 등의 의존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이유 때문이다. 지난해 경기도 수출은 전년 대비 77억8천만달러가 감소한 981억 달러를 기록했음에도 광역지자체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