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지역 토지거래 5건중 1건은 투기의혹

하남지역에서 토지 매입의 10건 중 2건 꼴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나 투기의혹 개연성을 낳고 있다. 9일 하남시에 따르면 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인 초일ㆍ초이ㆍ광암ㆍ미사ㆍ풍산동 등을 대상으로 이용의무 기간 중에 있는 352필지에 대해 지난 5월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토지이용실태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총 조사대상 352필지 중 78필지가 이용의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반사례를 보면 미이용 방치 19건(농업용 18건ㆍ축산용 1건), 타목적 사용 51건(농업용 34건ㆍ축산용 5건ㆍ기타 12), 주소이전 11건이다. 특히 농업용으로 토지를 매입한 후 주거용 비닐하우스를 짓고 거주하는 경우와 축사를 무단용도변경해 물류창고 등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토지매입 후 이를 방치한 채 주소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사례도 있어 하남지역을 투자처로 여기고 있음을 짐작하게 했다. 이에 시는 78필지에 대해 오는 11월2일까지 이행명령을 촉구하는 행정조치를 취했으며 이 기간 동안 이행명령을 지키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과키로 했다. 이행강제금은 국토이용계획법 규정에 따라 미이용방치는 취득가액의 10%, 타목적이용은 5%, 현상보존형 등 기타의 경우는 7%를 각각 적용 처벌받는다. 하남=강영호기자

동두천시 안말 마을 건축디자인 시범사업 첫 삽

경기도의 주민참여형 건축디자인 개선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동두천시 안말 마을 건축디자인 시범사업이 주민들의 기대속에 첫 삽을 떴다. 동두천시 소요동(동장 최용덕)에서 지난 4일 진행된 안말 마을 건축 디자인 개선사업에는 6321부대(부대장 권오용 중령) 장병 25명과 중앙대학교 학생들 20명, 주민 등 7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이날 36도의 무더운 날씨에 불구하고 이 지역 주민들과 함께 주민들과 함께 마을 청소뿐만 아니라 벤치와 정자를 만드는 다양한 작업에 구술땀을 흘려 마을 주민에게 감동을 줬다. 건축 디자인 시범사업을 총괄 감독하는 중앙대학교 이석현 교수는 당일을 “16통 마을 주민과 군 장병 및 대학생들이 함께 어우러져 건축물 담장, 마을 창고 도색, 쉼터 조성 등 주민 참여형 사업으로 안말 마을이 새롭게 정비된 것에 큰 보람과 긍지를 얻었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한편, 건축디자인 개선사업은 경기도 공모사업으로 쾌적한 마을 환경과 공동체 공간 조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경기도 건축 디자인 시범사업으로 선정 된 하봉암동 안말 마을은 마차산 자락을 낀 20여세대가 모여 사는 자연 친화적 마을이다. 동두천=송진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