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마감] 단기물 소폭조정, 랠리 숨고르기..커브플랫

채권시장이 단기물을 중심으로 소폭 조정세를 보였다. 역대 최저수준까지 떨어진 금리레벨에 대한 부담감에 숨고르기를 하는 분위기다. 장기물은 상대적으로 강해 커브는 플래트닝으로 반전했다. 아울러 10년 국채선물은 이틀만에 역대 최고치를 재경신했다. 채권시장 참여자들은 금통위를 앞두고 소강장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외국인이 선물을 중심으로 매수하고 있어 장이 크게 밀리지 않았다고 봤다. 외인이 의미있게 추가 매수를 해주지 않는 이상 강세를 이어가기도 버겁다는 관측이다. 13일로 예정된 한국은행 5월 금융통화위원회 금리결정 전까진 소강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11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통안1년물이 0.5bp 상승한 1.435%를 기록했다. 통안2년물도 0.8bp 올라 1.420%를 보였다. 국고3년 15-7은 0.8bp 오른 1.417%를, 16-2는 0.5bp 상승해 1.427%를 나타냈다. 국고5년 15-9는 보합인 1.520%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국고10년 15-8과 16-3은 0.4bp씩 떨어진 1.765%, 1.770%를 나타냈다. 국고20년 15-6과 국고30년 16-1은 보합으로 1.880%와 1.912%를 기록했다. 국고10년 물가채 15-5는 0.3bp 내린 1.161%를 보였다. 국고3년물과 기준금리(1.50%)간 역전폭은 0.5bp 줄어든 -8.3bp를 보였다. 10-3년 스프레드는 0.8bp 좁혀진 34.8bp를 나타냈다. 국고10년물과 물가채간 스프레드인 BEI는 전일과 같은 60.4bp를 나타냈다. 장외채권시장에서는 국가가 174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거래대금 기준). 기금공제도 550억원 순매도를 보였다. 반면 투신이 8540억원을, 은행이 4130억원을 각각 순매수했다. 6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2틱 떨어진 110.45를 기록했다. 3년선물은 전날까지 사흘연속 역대 최고치 행진을 이어간 바 있다. 장중고점은 110.49, 저점은 110.44였다. 중변동폭은 5틱에 머물렀다. 이달들어 6거래일동안 장중변동폭이 10틱을 넘은 날은 3일 12틱으로 하루에 불과했다. 미결제는 32만6396계약으로 635계약 늘었다. 이는 3월11일 32만6929계약 이후 2개월만에 최대치다. 거래량도 5만7737계약으로 6621게약 증가했다. 회전율은 0.18회를 보였다. 매매주체별로는 은행이 2697계약 순매도해 사흘째 매도세를 이어갔다. 반면 금융투자가 2929계약 순매수해 5거래일만에 매수전환했다. 외국인도 171게약 순매수해 5거래일 연속 매수세를 지속했다. 보험 또한 155계약 순매수하며 6거래일째 순매수했다. 이는 작년 12월4일부터 11일까지 기록한 6거래일연속 순매수 이후 5개월만에 최장 순매수세다. 6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5틱 오른 129.73으로 이틀만에 역대 최고치를 재경신했다. 장중고점은 129.79, 저점은 129.62였다. 장중변동폭은 17틱으로 이는 지난달 12일 15틱 이후 한달만에 최저치다. 미결제는 1907계약 늘어난 8만6842계약을 기록했다. 이는 전달 14일 8만7102계약 이후 한달만에 최대치다. 반면 거래량은 5916계약 감소한 3만6622계약을 보였다. 이는 전월 25일 3만6219계약 이후 보름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회전율은 0.42회로 지난달 12일 0.42회 이후 한달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매매주체별로는 금융투자가 1408계약 순매도해 5거래일째 매도했다. 반면 외국인이 2302계약 순매수로 대응하며 5거래일 연속 매수세를 이어갔다. 현선물 이론가는 3선이 고평 4틱, 10선이 고평 7틱을 기록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금통위를 앞두고 전반적으로 소강 장세를 보였다. 절대금리 부담으로 3년이하 구간은 매물이 늘었다. 커브는 플랫으로 돌아섰다”며 “금통위까지 소강장세가 이어질 것이다. 레인지도 좁을 것”이라고 전했다. 외국계은행의 한 채권딜러는 “금리레벨이 많이 내려왔다는 점에서 쉬어가는 장세였다. 국내기관들은 차익실현을 하는 모습이었다. 다만 외국인이 여전히 선물을 매수했고 현물도 샀다는 소문이다. 크게 밀리지 않은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외국인 매수세가 더 유입되지 않는 이상 더 강세로 가기엔 동력이 없다. 금통위전까지는 현 수준에서 큰 움직임이 없을 것 같다”고 예측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증권사 사모펀드 겸업 이르면 8월부터 가능

증권사의 사모펀드 겸업이 이르면 8월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세부 기준을 마련한 후 6월부터 사모펀드 겸업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11일 금융위는 ‘자산운용사 인가정책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증권사의 사모펀드운용업 겸업시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주요 추진방안을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금융투자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증권회사의 사모펀드 겸영이 이미 허용됐으나 관련 이행방안이 세부적으로 마련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당국과 증권사 5곳, 운용사 5곳, 금융투자협회 등이 참여한 테스크포스(TF)는 사모펀드 겸업 시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체계를 마련해 왔다. 이번에 공개된 주요 내용에서는 사모펀드 운용업 담당 부서의 사무공간을 증권업무 부서와 분리하도록 했다. 겸업을 원하는 증권사는 사모펀드운용 부서를 다른 층이나 다른 건물에 마련해야 한다. 준법감시부서도 증권업과 사모펀드운용업 각각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단 업계의 건의를 받아들여 임원급인 준법감시인은 두 부서를 동시에 담당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사무관리회사에 대한 펀드관리업무 위탁을 의무화해 증권사가 직접 자기 펀드의 기준가격을 계산하는 등의 행위를 막았다. 운용성과 보고서를 통해 펀드투자자를 대상으로 자율적인 정보 공개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안창국 금융위원회 자산운용과장은 “차이니즈윌 구축만으로는 이해상충 사전 예방을 완벽하게 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자 등에 대한 정보공개 활성화로 보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종합투자사업자가 사모펀드운용업을 겸영하는 경우 자기가 운용하는 사모펀드에 대한 전담중개업무(PBS)가 금지된다. 안 과장은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벤처조합을 운용하는 VC와 부동산투자회사를 운용하는 자산관리회사의 경우에도 사모펀드운용 겸업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의 상한가] 해태제과식품, 14년 만의 증시 복귀 상장 첫 날 ‘上’

11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유가증권 3개, 코스닥 2개 등 총 5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감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14년 만에 재상장한 해태제과식품이 상장 첫날 상한가를 기록했다. 해태제과식품은 시초가 대비 5650원(29.82%) 오른 2만4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해태제과식품은 1945년 설립된 옛 해태제과의 제과사업 부문이 떨어져 나와 2001년 설립된 기업이다. 2005년 크라운제과가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자회사로 편입됐다. 옛 해태제과는 1972년 5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지만 2001년 11월 유동성 위기를 맞으며 퇴출당했다. 지난해 해태제과식품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469억원으로 전년(246억원)보다 90.6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70억원으로 295.06% 증가했다. 코스모신소재는 코스모화학이 보유한 회사 지분을 매각한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코스모신소재는 전 거래일 대비 900원(29.9%) 오른 391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모화학은 전날 장 마감 후 공시를 통해 디엔제이파트너스와 코스모신소재 지분 39.2% 매각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대시멘트는 매각 이슈가 부각되며 전 거래일 대비 6400원(29.84%) 오른 2만78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에서는 그간 매각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양재동 ‘파이시티’가 하림 그룹에 넘어가면서 워크아웃 절차를 진행 중인 현대시멘트 M&A 절차에 탄력이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에스아이리소스가 전 거래일 대비 570원(29.84%) 오른 2480원에 거래를 마쳤고, 신후는 전 거래일 대비 375원(29.76%) 오른 1635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매도 공세에 1980선 '턱걸이'

코스피 지수가 기관과 외국인의 매매공방 속 1980선에 턱걸이했다. 11일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2.40포인트(-0.12%) 하락한 1980.10에 장을 마쳤다. 이날 지수는 1989.17로 상승 출발했지만 곧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 공세에 1970선까지 후퇴했던 지수는 외국인이 '사자'로 돌아서면서 1980선을 회복했다. 지난밤 뉴욕증시는 원유와 금속 등 국제 원자재 가격 반등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하며 일제히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222.44포인트(1.26%) 상승한 1만7928.35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5.70포인트(1.25%) 오른 2084.39를, 나스닥지수는 59.67포인트(1.26%) 높은 4809.88을 각각 기록했다. 다우와 S&P지수는 지난 3월 이후 2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세를 나타냈다. 기관은 2412억원 순매도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06억원, 699억원 순매수했다. 프로그램매매는 263억원 매도우위, 6억원 매수우위를 보여 총 257억원 순매도우위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였다. 의료정밀(1.21%). 은행(0.98%), 전기가스업(0.85%) 등은 상승하고 운수창고(-1.22%), 건설업(-0.70%), 전기전자(-0.48%) 등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약세를 보였다. '대장주' 삼성전자가 0.31% 하락한 가운데 한국전력(-0.97%), 현대차(-0.36%), 아모레퍼시픽(-2.21%), NAVER(-1.98%), 삼성생명(-0.47%), 기아차(-0.84%) 등이 내렸다. 14년 만에 코스피 시장에 복귀한 해태제과식품은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29.82%)까지 치솟았다. 이날 거래량은 3억9349만주, 거래대금은 4조3638억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3개를 포함해 443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350개 종목이 내렸다. 69개 종목은 보합에 머물렀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3.71포인트(0.53%) 상승한 703.94에 장을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인터넷(4.35%), 방송서비스(2.09%), 통신방송서비스(1.70%), IT S/W&SVC(1.58%) 등이 강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카카오(5.07%), CJ E&M(4.79%)는 상승했지만 동서(-1.53%), 메디톡스(-2.42%), 코미팜(-1.26%), 로엔(-0.51%) 등 대부분 약세를 나타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5.0원 내린 1167.6원에 마감했다.

한진重, 채권단과 자율협약 체결… 경영 정상화 ‘박차’

한진중공업이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체결하고 경영정상화에 속도를 낸다. 한진중공업은 11일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과 자율협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유동성 문제로 지난 1월 자율협약을 신청하고 실사와 구조조정, 자구계획 수립 등의 사전절차를 밟아왔다. 채권단은 지난 2월 1300억원의 자금 지원에 이어 추가로 1200억원 규모의 신규자금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자율협약 만료 기간인 2018년 12월 말까지 출자전환 등을 통해 1000억원대의 이자 감면 및 원금상환 유예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채권단은 해외현지법인인 수빅조선소의 RG 발급까지 보장하기로 했다. 이에 회사 측은 영업과 생산 활동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빅조선소는 지난 2009년 진중공업이 필리핀 수빅만에 건립한 조선소다. 국내 조선업계에 대규모 손실을 가져왔던 해양플랜트 물량이 전혀 없으며 현재 수빅조선소의 수주잔량은 28척으로 약 2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태다. 한진중공업은 이같은 채권단 지원에 힘입어 대륜발전 등 발전계열사 매각을 통해 수빅조선소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수빅조선소를 대형∙초대형 상선 중심으로 운영하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사업장인 영도조선소는 상선부문을 축소하여 특수목적선 중심으로 재편, 투트랙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재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는 사업성 개선을 위한 실사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그 동안 비핵심자산 매각, 조직 슬림화 등 선제적으로 자구책을 마련하고 시황에 대응해 온 것이 효과를 보고 있다”며 “자율협약 기간도 비교적 짧고 금번 MOU에 포함된 자구계획 이행에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여 금번 자율협약 체결을 계기로 자구노력 이행과 함께 수빅조선소와 영도조선소 특수선 사업을 중심으로 한 투트랙 전략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진중공업 대표노동조합은 지난 10일 회사의 존속과 조합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선 자율협약 체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자율협약 동의서를 제출 한 바 있다.

서원, 1분기 흑자전환 성공…“원가율 감소, 관계사 호실적 영향”

동합금 제조 및 판매 전문기업서원이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올해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서원은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557억3558만원, 영업이익 27억787만원, 당기순이익 29억7085만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1% 줄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모두 흑자전환했다. 직전분기보다 매출액은 5%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대규모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서원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인원감축, 경비절감 등으로 원가를 줄이고 있다"며 "올해도 생산성 향상을 통한 비용절감 운동에 나서는 등 지속적 수익성 개선 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서원 관계사들의 호실적도 흑자전환에 한몫했다. 대창, 태우, 에쎈테크 등의 실적이 개선되면서 지분법 이익으로 반영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서원은 1분기에 이어 흑자 기조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국제 구리가격이 안정기에 접어들었고 재고 조정과 파생상품 포지션 정리를 통해 외부적 리스크 요인을 줄였다. 여기에 무연, 저연 잉코트 등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도 늘려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조시영 서원 회장은 "전사적 노력을 기울여 실적 턴어라운드 앞장서겠다"며 "기존 사업부문의 안정적 성장 위에 신규사업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선업 구조조정 ‘항로이탈’… 자산매각 후순위, '인력감축 몰두' 경쟁력 상실 우려

정부의 조선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이 인력 감축에 초점이 맞춰지자 조선업 특유의 제조업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조선산업 프로세스가 ‘종업원 숙련도-설계-기자재 조달’로 구축된 상황에서 무차별적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결국 화(禍)를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채권은행으로부터 구조조정 압력을 받고 있는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이 대규모 인력 감축에 돌입하자, 해양플랜트 설계 및 엔지니어링 등 연구개발직 인력 이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과거 해양플랜트 원천 기술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공능력만 믿고 따낸 물량들이 고스란히 부실로 이어진 상황에서 인력 감축에만 초점을 둔 획일화된 구조조정 방안이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경우 현재 본사와 울산, 거제조선소 간 해양플랜트 설계 인력에 대한 재배치 작업이 추진 중이다. 이 과정에서 적잖은 인력 이탈이 진행되고 있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이미 서울에 생활 기반을 갖춘 상황에서 거제조선소로 이동하라는 얘기는 회사를 떠나도 좋다는 의미가 아니겠느냐”며 “수년간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외국인 엔지니어 인력들이 올해 들어 계약해지로 모국으로 돌아가는 사례가 급증하는 등 연구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고 말했다. 선박ㆍ해양플랜트 설계 인력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을 예고한 삼성중공업 역시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 앞으로 진행될 인위적 인력 구조조정에는 선박·해양플랜트 설계ㆍ영업ㆍ지원부서 인력이 1차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현재 관리자 간부급 순서대로 희망퇴직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인력 감축에는 선행부서(설계)부터 1차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현재 조선업 구조조정이 자산 매각이나 비핵심자산 처분이 후순위로 밀리면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핵심 인재 유출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해양플랜트 설계 역량 부족이 작금의 적자경영을 부추겼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해양플랜트의 핵심인 심해장비분야 및 톱사이드(TOP SIDE) 장비 기술 수준은 유럽의 20%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조선업계 고위 관계자는 “현 정부 들어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해양플랜트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면서 단기 성과에 급급한 경영진의 판단이 결국 오판으로 판명된 상황에서 무작정 인력을 줄이는 것은 결국 미래 경쟁력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며 “인력 감축보다 비전이 수반되는 구조조정 방안이 우선적으로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