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株, 예상보다 빠른 이익정상화-삼성증권

삼성증권은 20일 두산그룹주에 대해 올해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며 구조조정 효과가 빠르게 가시화되며 이익정상화 시점이 앞당겨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올해 1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를 19% 상회했다”며 “구조조정에 다른 비용절과 효과 덕분으로 우려를 모았던 신흥시장 건설장비 사업(Non-DBI)이 9개분기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 연구원은 “두산엔진 역시 구조조정 효과로 9개분기 만에 흑자전환 했다”며 “DHEL(Doosan Holdings Europe Ltd.)로부터의 지분법이익 턴어라운드로 세전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두산중공업 연결 영업이익 역시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과 본사 구조조정 효과가 중첩되며 시장 기대를 14% 상회했다”며 “연결 세전이익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충당금 환입, 두산건설의 자산매각 차익이 일회성 이익으로 인식되며 시장 기대를 크게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두산그룹주 전반적으로 오랜만에 시장 기대를 상회한 호실적이다. 한 연구원은 “특히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엔진은 구조조정 효과가 기존 예상 대비 크고 빠르게 현실화됐고, 손실 사업부였던 Non-DBI, DHEL이 턴어라운드함에 따라 당장 올해부터 정상화된 순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기존 예상 대비 이익정상화 시점이 1년 정도 앞당겨진 형국”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두산그룹주의 올해 순이익 전망을 상향하고 목표주가도 두산인프라코어 7000원, 두산엔진 4300원, 두산중공업 2만4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다만 이들에 대한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다. 한 연구원은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에 불구하고 두산그룹주는 최근 주가 단기 급등에 따른 밸류에이션 매력이 축소된 상태”라며 “두산인프라코어의 두산밥캣(DBI) IPO(기업공개) 가격 관련 불확실성, 두산중공업의 자회사 관련 우려 등을 감안해 투자의견은 ‘보유’를 유지한다”고 밝혔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두산인프라코어, 1Q 실적 기대치 상회… 목표가↑-NH투자증권

NH투자증권은 20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해 실적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유재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동 사는 1분기 매출액 1조4336억원, 영업이익 1112억원, 지배지분순이익 470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달성했다"면서 "중국 건설장비 판매호조로 본사 건설장비에서 영업이익 169억원을 기록하며 실적개선을 견인하고, 엔진부문에서도 86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견조한 이익성장을 이뤘다"라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1분기 중국 건설장비 시장은 전년동기 대비 5.2% 성장했으며 같은 기간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건설장비 판매는 전년대비 24.7% 뛰었다. 유 연구원은 "4월부터 강화된 환경규제로 제품가격이 15% 상승했고, 선제수요 효과로 4월 중국 건설장비 시장 성장률은 일시적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2분기부터 중국 정부의 인프라투자에 대한 재정지출 확대가 기대되고 있어 중국 건설2장비 시장은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중국 등 대외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이익변동성을 감안해 목표 PBR 0.9배를 적용했으나, 이익 가시성을 확보하면서 2017년 예상되는 당기순이익에 PER 12.0배를 적용했다"며 "이는 경쟁업체 평균 PER 15.2배 대비 20% 할인한 수치"라고 설명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불안한' 현대상선, 애타는 투자자들

'2주간 거래정지'에 들어가는 현대상선에 대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현대상선의 명운이 달려있는 '용선료 협상' 결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현대상선 주식의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거래정지 사유는 현대상선이 감자를 추진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상선은 지난 달 18일 상장 폐지를 막기 위해 7대 1 감자를 결정한 바 있다. 통상적으로 감자 후 재상장시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지만 현대상선의 경우 주가 상승을 섣부르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6일 현대상선의 거래 재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내놓고 있다. 최근 현대상선의 ‘법정관리 가능성’을 시사한 유 부총리의 발언은 이 같은 시나리오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유 부총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DC에서 "해운사 구조조정이 예정대로 되지 않으면 정부가 액션(행동)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제일 걱정되는 회사가 현대상선"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현대상선의 운명을 결정 지을 해외 선주들과의 용선료 협상과 관련해서도 "용선료(선박 임대료)협상 결과가 중요한 데, 잘 될지 자신하기 어렵다"며 부정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이에 투자자들의 불안 역시 커지고 있지만 현대상선은 물론 투자자들이 희망을 가질 있는 부분은 역시 용선료 협상 성공 뿐이다. 현재 현대상선은 이달 말을 목표로 해외 선주들을 찾아 다니며 용선료 인하 협상을 벌이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용선료 협상 결과가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초에는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거래 정지 기간 중 현대상선의 운명이 결정될 상황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현대상선의 용선료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면 거래 재개 이후 현대상선의 주가 흐름 역시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거래 정지 기간 중 현대상선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되는 경우다. 이 경우 당초 6일로 예정된 거래 재개는 불투명해지게 된다. 한편, 19일 현대상선은 전일보다 105원(5.54%) 오른 2000원에 장을 마쳤다. 전일 세렌디티피 유한회사와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2200억원을 단기 차입한다는 소식에 따른 것이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사모펀드 활성화 죽이는 ‘금융위 모범규준’

이르면 이달 말 금융당국이 발표하는 증권사의 전문투자형 사모펀드(헤지펀드) 등록요건과 이를 구체화한 모범규준이 법적 근거 없는 사실상 그림자 규제여서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해 헤지펀드 활성화를 위해 법으로 규제를 없앴지만 금융당국이 자율규제라는 명목하에 법적 근거도 없는 모범규준을 만들어 증권사에 규제의 칼 끝을 겨누고 있어 문제라는 게 업계의 얘기다. 1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의 헤지펀드 등록기준안은 법에서 정한 고시가 아닌 단순 정책 발표의 형태로 공개될 예정이다. 복수의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감원에서 증권사가 헤지펀드 겸업시 이해상충을 예방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고 이를 구체화 한 내용이 금융투자협회 표준내부통제기준(모범규준)에 반영될 예정”이라며 “금융위 고시는 따로 진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증권사의 헤지펀드 겸업은 내부자 거래 등 위법행위 우려가 커 제한해 왔으나 지난해 10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문이 열렸다. 당시 금융당국은 기존의 업계에 적용되던 일명 ‘헤지펀드 모범규준’까지 전면 폐지하면서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새로 마련하는 등록요건에는 사무공간 층 분리, 펀드 관리업무의 의무적 위탁, 별도의 준법감시부서 설치 등 증권사에 ‘새로운 부담’을 줄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자본시장법과 시행령에서 ‘자율규제’가 정하도록 위임한 적이 없는 내용이다. 인허가가 아닌 등록제로 헤지펀드업 진출입 문턱이 낮아진 상황에서 법에서 정한 내용 이상의 요건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등록 여부를 결정한다면 사실상 ‘그림자 규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그림자 규제 일제 정리를 진행한 데 이어 올해 1월 ‘금융규제 운영규정’까지 마련했다. 위원장과 금감원장이 모두 비명시적 규제 최소화에 나선 것을 고려하면 이번 정책은 사실상의 입법 실패가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증권사의 헤지펀드 겸업 시 이해상충 우려가 커 등록요건을 일반 운용사나 자문사보다 촘촘히 마련해야 한다는 의도라면 이는 이미 입법 단계에서 고려했어야 할 내용이라는 것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그림자 규제와 전쟁을 선포한 금융당국이 또 그림자 규제를 만든 꼴”이라며 “등록요건이 법에서 요구하는 일반적 이해상충 방지 수준보다 큰 비용과 노력을 요하는 것이라면 자율규제가 아닌 법규에 반영해야 맞다”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