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中企 ‘경쟁력 강화’ 올인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사업화부터 해외시장 진출까지 종합적인 지원을 통해 북부 지역 중소기업 지원 강화에 나선다. 6일 경기중기센터에 따르면 북부지역 제조업체 수는 2만5천여개로 전국의 7%를 차지하지만 총생산액은 38조3천억원으로 3%에도 미치지 못한다. 수출 비중 역시 약 120억달러로 5.3%를 밑돌고 있다. 이는 북부지역에 영세한 중소기업이 많아 생산력과 수출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경기중기센터는 올해 북부지역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종합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먼저 센터는 북부지역 제조업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섬유와 가구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유망ㆍ영세 가구기업 집중 지원 사업’을 통해 가구기업을 대상으로 △생산 △기술인증 △마케팅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2천만원 한도 내에서 최대 70%까지 지원한다. 가구기업의 해외 판로개척을 위한 ‘해외 전시회 공동관’과 ‘개별전시회 참가 지원 사업’도 실시한다. 오는 5월 두바이국제가구전을 시작으로 9월 상해국제가구전, 11월 동경국제가구전에 공동관 참가를 지원하며 해외 유명 가구전시회에 개별적으로 참가하는 기업에 부스임차료, 장치비, 운송료 일부를 지원해 해외 판로 개척을 도울 예정이다. ‘경기북부 특화산업 경영지원 사업’을 통해서는 △경영상담 △전문가 컨설팅 △현장 순회 간담회 등을 실시해 가구·섬유·피혁 분야 기업 애로 사항 해소에 집중한다. 이호준기자

모범음식점 20% ‘우수업소’ 선정 인센티브

경기도가 모범음식점 중 20%를 우수 업소로 선정해 업소 당 50만원씩 총 3억2천800만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모범음식점 인센티브 지원은 모범음식점의 내실있는 운영 및 관리와 함께 음식문화 개선에 음식점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올 상반기께 도내 모범음식점을 대상으로 △건물 구조 및 환경 △주방시설 위생적 관리 △원재료 보관 및 운반시설 적정 여부 △맛, 친절서비스, 음식문화 개선사업 및 좋은 식단 이행 여부 등을 심사해 상위 20%를 우수 업소로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된 모범음식업소에는 1개소당 50만원 상당의 소형찬기, 남은 음식 포장 용품 및 위생용품 등을 제공한다. 도 관계자는 “우수 모범음식점 선정 사업은 좋은 식단 실천, 위생서비스 향상 등에 모범음식점의 참여를 더욱 독려해 올바른 식생활 문화를 조기 정착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모범음식점 재심사를 통해 모범음식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우수 업소에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모범음식점은 일반음식점 중 덜어먹는 용기 사용 등 음식문화 개선, 위생, 서비스, 맛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시장ㆍ군수가 지정하며 현재 도내에 도내 2천987개가 지정돼 있다. 도는 지난해에는 모범음식점 중 700개를 우수 업소로 선정해 3억100만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지원한 바 있다. 이호준기자

업 창조오디션...스타트업 모집

경기도와 크라우드펀딩 포털서비스 업체인 와디즈가 ‘업 창조오디션’ 개최를 위해 오는 14일까지 스타트업을 모집한다. 참가대상은 제조업, ICT 등 전 분야 창업 7년 이내의 창업자로 투자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명할 단계에 있는 팀(사업)이다. 도와 와디즈는 서류심사를 통해 오디션에서 발표할 5개 팀을 선발할 계획이며 선발된 팀은 오는 30일 투자자 앞에서 사업계획을 발표한다. 업 창조오디션은 모든 오디션 참가자들이 다른 참가 회사를 평가하고 모의투자에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모의투자금을 가장 많이 획득한 팀이 우수상이 된다. 도는 상위 3개 팀에 크라우드 펀딩 등록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참가팀 중 입주 공간 및 창업육성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팀에는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및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와 연계해 입주와 창업육성 프로그램 등이 지원된다. 도 관계자는 “이번 오디션은 온라인 펀딩포털에서 사업자금을 투자받고자 하는 기업들이 크라우드 펀딩을 시작하기 위해 투자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오프라인에서 설명할 수 있는 기회”라며 “스타트업의 역량에 따라 투자유치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업 창조오디션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말했다. 이번 오디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오디션지원팀(031-8008-5657)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이호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