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폴크스바겐 경유차도 배출가스 조작…12만5천대 리콜

국내에서 판매된 폴크스바겐 경유차(디젤차)도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사실이 확인됐다. 환경부는 폴크스바겐 디젤차 6개 차종 7대를 검사한 결과, 현행법상 금지된 임의설정(defeat device)을 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임의설정은 일종의 눈속임 장치다. 차량 인증시험 모드와 다르게 실제 도로주행시에는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기능이 저하되도록 정지·지연·변조하는 것이다. 문제의 차종은 구형 EA189 엔진이 장착된 티구안 유로5 차량이다. 도로주행 중 배출가스 재순환 장치(EGR)를 고의로 작동 중단시키는 형태로 조작이 이뤄졌다. 이 차량은 실내 인증시험에서는 EGR을 가동해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줄였다가 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EGR 작동을 중단해 질소산화물이 과다 배출되도록 했다. 후속 모델인 신형 EA288 엔진이 장착된 골프 유로5 차량과 유로6 차량 4종(골프·제타·비틀 및 아우디 A3)은 임의설정 사실을 현재까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환경부가 밝혔다. 그러나 환경부는 조작 의심이 든다는 판단에 따라 추가 자료 점검 절차를 거쳐 임의설정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임의설정이 적발된 구형 엔진 차량에 대해 이달 23일 판매정지 및 결함시정(리콜) 명령을 내리고 과징금을 부과했다. 미판매 차량은 판매정지 명령이, 이미 판매된 12만5천522대는 리콜 명령이 내려졌다. 과징금은 15개 차종에 총 141억원이 부과됐다. 차량 인증취소를 위한 행정절차도 개시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리콜계획서를 내년 1월 6일까지 환경부에 제출해야 한다. 계획서에는 임의설정 차종의 배출가스 개선 방안과 리콜 전후의 연비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담아야 한다. 한편 환경부는 국내에서 디젤차를 판매 중인 모든 자동차 제작사에 대해 조사를 확대하기로 했다. 조사는 다음달 시작해 내년 4월까지 진행된다. 해당 회사는 현대, 기아,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 아우디폭스바겐, BMW, 벤츠, 포르쉐, 재규어랜드로버, 볼보, 푸조, FCA코리아, 포드, FMK, 닛산 등 16개사다. 조사 대상에는 미국에서 추가로 문제가 발견된 폴크스바겐·포르쉐 3천CC급 디젤차도 포함된다. 환경부는 이번 사태와 같은 디젤차 임의설정을 막기 위해 '실도로 배출가스 관리제도'를 도입하고, 처벌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과 유럽연합(EU)은 '실도로 배출가스 검사' 제도를 대형차(3.5t 이상)는 내년 1월부터, 중소형차(3.5t 미만)은 2017년 9월부터 각각 도입한다.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차량은 판매가 금지된다. 임의설정이 적발된 차량의 과징금 부과 상한액은 현행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높일 계획이다.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을 통해 임의설정을 한 자동차 제작사를 사법처리하는 처벌 규정(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도 신설한다. 연합뉴스

오늘 국회서 YS 영결식…朴대통령 건강상 이유로 참석 어려울듯

YS 영결식.故 김영삼(YS) 전 대통령 영결식이 오늘(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에서 국가장으로 엄수된다.이런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은 건강상의 이유로 영결식에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故 김 전 대통령 영결식에는 장례위원장인 황교안 국무총리를 비롯해 국가 주요 인사, 각계 대표, 주한 외국대사들을 포함한 해외 조문 사절까지 1만여명이 넘는 조문객이 참석한다.추도사는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맡고, 개신교 의식을 시작으로 불교, 천주교, 원불교까지 4대 종교 의식을 통해 넋을 기린 뒤 故 김 전 대통령이 생전에 좋아했던 가곡 ‘청산에 살리라’가 조곡으로 울려 퍼지고, 진행은 방송인 김동건씨가 담당한다. 운구는 동작동 현충원에 안장하기 전에 故 김 전 대통령이 46년 동안 기거했던 상도동 사저와 내년 완공을 앞두고 있는 기념도서관 등도 들러 작별을 고한다. 서울대병원부터 마포대교를 지나 여의도 국회의사당까지 이어 노들로를 따라 현충로까지 구간은 이날 정오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운구행렬 통과에 맞춰 순차적으로 교통이 통제된다.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의 건강이 호전되지 않아 故 김 전 대통령 영결식에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건강 악화에도 영결식 참석을 원하고 있지만, 참모진들은 박 대통령 건강 상태가 감기와 피로누적으로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날씨가 영하권으로 접어둔 가운데 1시간 30분 정도 야외에서 열려 불참하는 방향으로 건의를 올리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4일 열흘 동안의 일정으로 다자회의 해외 순방 전부터 감기 증세가 있었던 데다 3개국을 거친 강행군으로 건강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정연국 대변인은 영결식 참석 여부에 대해 “결정되지 않았고 여기(영결식 참석)에 대해선 더 봐가면서 어떻게 할지를 가능하면 빨리 결정할 것이다. 순방도 있고 날씨도 쌀쌀하는 등 여러가지 상황이 있다”고 말했다.청와대는 이날 오전까지 박 대통령의 건강상태를 점검, 참석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