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에게 더 가까이… 詩를 쓰는 경찰

“가을비를 타고 미끄러지는 코스모스. 바람을 타고 흔들리는 구절초. 산새소리는 영혼의 안온감. 그리움에 몸살 내는 가을꽃이 그렇게 열렸다. 모든 자연은 깨달음의 구도자” 시(詩) ‘가을꽃 축제’ 원문이 낭랑히 울려 퍼진 건 지난 21일 오후 2시께. 군포시립중앙도서관 소극장에서 열린 수리 시낭송 전국대회에서 지나가는 가을을 아쉬워하는 시가 울려 퍼졌다. 무대에 오른 낭송의 주인공은 시 쓰는 경찰, 경기지방경찰청 의무경찰계 최영찬 경위(41)다. 고등학생 때부터 유독 시집을 즐겨 읽었던 최 경위는 지난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당시 안양동안경찰서에서 홍보를 담당하며 지역 주민과 접할 기회가 많았던 최 경위는 아쉬웠다. 주민들이 경찰에 대해 너무나도 어렵고, 딱딱하게만 느꼈기 때문. 이에 주민들에게 부드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경찰이 되기 위해 감성적인 시를 쓰기 시작했다. 시작(詩作)은 이제 최 경위의 삶의 큰 목표로 자리 잡았다. 신춘문예 당선이라는 시인으로서 최종 목표가 마음속에 생겼고 이를 위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 경위가 그동안 퇴근 후와 주말에 틈틈이 시간을 내 작성한 시는 무려 70편에 달한다. 이 중 가장 애착이 간다는 ‘가을꽃 축제’로 최 경위는 지난해 10월 시인으로 등단해 군포시문인협회에 등록되면서 시인으로서의 첫걸음을 뗐다. 또 지난 6월에는 ‘서울시 지하철 승강장 안전문 게시용 시 작품 공모전’에 소아암 환자에게 5년째 머리카락을 기부하는 여경의 이야기를 담은 ‘단발머리’라는 시가 선정, 오는 12월부터 지하철 스크린도어에서 최 경위의 시를 만나볼 수 있다. 최 경위는 “한 줄씩 정성스럽게 써 내려 간 시들로 경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들이 사라지고, 동료들 역시 즐거웠으면 좋겠다”면서 “부족하지만 시집을 출간하는 게 작은 소망”이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인천경찰, 강력대응… 112 허위신고 ‘뚝’

인천지방경찰청의 112 허위신고 접수 건수가 지난 4년 사이 절반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찰청의 전국 평가에서 이 부문 1위를 차지했다. 24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112 허위신고 건수가 지난 2012년 486건, 2013년 353건, 지난해 193건, 올해는 지난 10월 기준 187건으로 대폭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경찰이 112 허위신고를 사라져야 할 ‘사회악’의 하나로 규정, 허위신고 근절을 위해 강경 대응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앞서 경찰은 허위 신고자에게 형법상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및 즉결심판을 적용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고, 민사상 소송도 제기해 지난 1월 ‘폭발물이 설치됐다’고 한 허위신고자에게 벌금을 청구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경찰은 112 허위신고를 근절하고자 경찰청이 배포한 우수 UCC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알리고, 대형 현수막을 내거는 등 다양한 홍보활동을 펼쳤다. 경찰 관계자는 “허위신고는 정작 급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골든타임을 놓치는 등 공권력 낭비요인이다”면서 “앞으로 고의성 허위신고자에 대해 강경한 대응과 올바른 112신고 문화 정착을 위해 집중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최성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