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내 어린이집, 학교, 요양원 등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221곳에 대해 세 차례 수질검사를 실시, 25곳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설에서는 수차례 점검과 개선명령에도 기준치의 수십 배가 넘는 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됐다. 이재영 도 수자원본부장은 2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교육복지 음용 지하수시설 수질검사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현재 도내에는 1천4곳의 교육복지시설에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음용 시설은 221곳에 이른다. 도는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이곳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전수 정밀 수질검사를 실시했다. 검사는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과망간산칼륨소비량 등 총 6개 항목으로 진행됐다. 안성시의 한 어린이집에서는 1, 2차 부적합 판정을 받은 뒤 3차에서도 실내수도꼭지(원수)에서 질산성질소가 초과 검출됐으며, 실내 정수기에서도 일반세균이 기준치보다 38배 이상 나와 최종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양평군의 노인복지시설에서도 1~3차에서 모두 기준치가 넘는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도는 최종 부적합 시설 25곳에 대해 즉시 음용 중지 후 원수 부적합시설에 대해서는 주변환경정비, 관정청소, 시설소독 등 개선조치하고, 정수 부적합시설은 생수사용, 정수기 점검 등의 조치를 하도록 시군에 통보했다. 또 도는 지하수 시설 개선으로도 수질개선이 어려운 경우에는 신속하게 상수도가 공급될 수 있도록 시군과 시설 간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본부장은 이번 전수검사는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시설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먹는 물은 도민건강과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취약계층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공공 지하수 공급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승수기자
도·의정
김승수 기자
2021-01-21 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