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화상병 보상금' 지방비 분담 추진에 지자체 ‘당혹’…이재명 등 도지사 5명 공동전선

정부가 전액 국비로 충당하던 과수화상병 보상금의 20%를 지방비로 떠넘기려 하자 경기도를 비롯한 지자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미흡한 방역 체계ㆍ개발되지 않은 치료제 등으로 식물성 코로나라 불리는 과수화상병을 막기 위해 국비 추가 지원이 절실한 상황에서 되레 재정 부담을 줘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경기도는 충청북도ㆍ충청남도ㆍ전라북도ㆍ강원도와 함께 국가검역병 공적 방제 손실보상금 국가 지원 유지 공동 건의문을 작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건의문은 지난 7월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의 전국 농업기술원 회의 이후 추진됐다. 당시 정부 측은 방제 효율성 및 명확한 분담률 설정 등을 명분으로 과수화상병 보상금 내 지방비 분담(20%)을 논의했다. 관련 근거를 담은 식물방역법 시행령 개정안도 이달 8일 입법예고했다. 이에 전국 지자체에는 비상이 걸렸다. 갑자기 매년 수십에서 수백억원의 재정 지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2015년 안성에서 최초 확인된 과수화상병은 매년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주로 사과ㆍ배 등에서 발견, 감염시 잎ㆍ가지 따위가 화상을 입은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하며 말라 죽는다. 치료제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며, 국가검역병으로서 발병시 과원 전체를 매몰해야(3년간 재식재 금지) 한다. 이처럼 농가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니 전국 보상금 규모도 2016년 29억여원에서 올해(9월 기준) 790억여원으로 5년 사이 27배 이상 늘어났다. 올해 경기도에서만 농가 96곳(44.9haㆍ축구장 55개 넓이ㆍ충북에 이어 전국 2번째)이 과수화상병에 걸렸다. 특히 올해에는 경기북부까지 최초로 확산, 안성 35.8haㆍ평택 4.9haㆍ파주 1.8haㆍ연천 1.1haㆍ이천 0.7haㆍ광주 0.6haㆍ양주 0.02ha 등으로 집계됐다. 관련 보상금만 72억여원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확산세(최근 5년간 경기도 피해 규모 4.1배 증가)를 고려하면 향후 보상금 역시 수백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이재명 경기도지사ㆍ이시종 충북지사ㆍ양승조 충남지사ㆍ송하진 전북지사ㆍ최문순 강원지사는 공동 건의문을 통해 ▲치료제가 없어 기본적 통제가 불가능한 현실인데 지자체에 책임 전가는 부당 ▲전염 방지ㆍ대체 작목 지원 비롯해 국가 재정 지원이 되레 필요 ▲동물방역처럼 국가가 방제 체계를 선 구축 등을 강조했다. 해당 건의문은 이달 중순께 정부에 전달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식물방역법 내 분담 비율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어 시행령 개정을 준비한 것이라며 현재 관련 개정안이 입법예고 중이니 의견을 받아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여승구ㆍ장건기자

연평해전·천안함·연평도 '보훈 사각지대' 전역자도 취업 지원한다

정부가 12차 연평해전과 지난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전에 참가했지만 국가유공자로 지정되지 못했던 이들의 취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가보훈처는 이들 전투에 참여해 공로를 인정받은 전투경력자 가운데 단기의무복무 전역자 25명의 취업을 내년 10월까지 지원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전투경력자는 전시 등 국가비상사태 때 작전명령에 따른 전투행위를 했거나, 평시 국지도발 대응 과정 등에서 적과 직접적으로 교전을 한 경력을 인정받은 현역과 예비역이다. 이들 가운데 단기의무복무 전역자 25명은 전투에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치지 않았거나, 경상이거나,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 증상이 경미하다는 이유 등으로 국가유공자가 되지 못했다. 때문에 그동안 정부의 보훈 혜택도 제대로 받지 못했었다. 앞으로는 전국 10개 제대군인지원센터에서 이들 전투경력자에게 전문상담사를 한 사람씩 지정해 자기 이력 진단, 경력 목표 설정, 취업 및 채용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입사지원서 작성과 면접 지도, 온라인 사이버 교육 등도 지원한다. 보훈처는 이들 전투에 참가했던 전역자 중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41명과 5년 이상 중장기복무 전역자 5명에 대해서는 이미 지방 보훈관서와 제대군인지원센터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국가에 등록된 관련 유공자는 12차 연평해전 18명, 천안함 10명, 연평도 13명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의무단기복무 전역자들은 국가유공자와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기준과 요건에 해당하지 못해 그동안 보훈의 사각지대에 있었다며 이번 시범사업이 실효를 거둬 의무단기복무 제대군인에게도 국가가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제대군인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與 경기 의원, 조두순 출소 앞두고 잇따라 ‘조두순 법안’ 발의

지난 2008년 온 국민을 분노케 한 아동 성범죄자 조두순의 만기 출소가 석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경기 의원들의 조두순법 발의가 잇따르고 있다. 김경협 의원(부천갑은) 이른바 조두순 공개법인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13일 밝혔다. 개정안은 조두순과 같이 성범죄자 신상정보 공개제도 도입 이전에 이뤄진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정보의 공개 사항과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2010년 1월 도입된 현행 성범죄자 신상정보 공개제도는 웹사이트나 성범죄자 알림e 앱을 통해 시민들이 성범죄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제도 도입 이전의 성범죄자는 사항과 범위가 축소된 채 공개돼 왔다. 제도 도입 전인 2008년 12월에 범죄를 저지른 조두순에 대한 정보는 읍면동까지만 거주지가 공개되고 신체정보, 성폭력 전과 사실이나 전자장치 부착 여부 등은 공개되지 않게 된다. 김 의원은 조두순과 같은 악질 성범죄자에 대한 정보공개를 확대해 시민들의 걱정을 덜어드려야 한다고 입법 취지를 밝혔다. 정춘숙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용인병)은 피해아동에 대한 가해자의 접근금지 범위를 넓히는 내용의 이른바 조두순 접근금지법인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이번주 대표발의할 계획이다. 개정안은 피해 아동청소년의 주거지, 학교 등으로부터 가해자 또는 가해자 대리인의 접근금지 범위를 현행 100m에서 최대 1㎞ 내외로 확대하는 내용 등이 담길 예정이다. 정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처벌 형량을 높이고, 피해자 보호 조치를 강화하는 것이 골자라며 (오는 12월) 조두순 출소 전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송우일기자

이재명, 공공배달앱 성공 자신감…1달 만에 목표 가맹 57% 돌파

시장의 독과점을 막고 공정한 배달산업 환경을 만들고자 추진한 이재명표 경기도 공공배달앱이 가맹점 사전 신청 과정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오며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기도 공공배달앱 시범지역인 오산, 파주, 화성 3곳에서 가맹점 사전 신청을 받은 지 한 달이 채 안 됐다면서 그런데 벌써 10일 기준 1천700여건을 돌파하며 목표치 3천건의 약 57%를 달성했다. 오산시는 이미 모집 목표 550여곳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재명 지사는 공공배달앱 성공을 위해 애써주신 곽상욱 오산시장, 최종환 파주시장, 서철모 화성시장께 감사 인사를 드린다라며 경기도주식회사와 오산ㆍ파주ㆍ화성의 각 소상공인연합회, 한국외식업중앙회 지부 그리고 지역 경제를 책임지는 소상공인분들, 맘카페가 함께하고 있어 든든하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배달산업의 성장 모습과 관련, 디지털 SOC인 공공배달앱의 선순환 플랫폼이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고 의지를 다졌다. 이 지사는 경기도 공공배달앱은 가맹점, 노동자,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시스템으로, 가맹점은 부당한 광고부담 덜어 좋고 노동자는 공정한 노동권을 보장받아 좋다. 소비자는 인센티브 혜택을 받아 좋은 만큼 모두가 더불어 상생하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그러려면 도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시범지역의 많은 가맹점들이 가입하고, 많은 도민 여러분이 이용하셔야 경기도 내 전 지역으로 영역을 넓혀나갈 수 있다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이 지사는 아직 사전 신청 참여하지 않으신 오산ㆍ파주ㆍ화성 소상공인 여러분, 늦으면 손해다. 어서 참여해 주시고 이 글 보시는 여러분께서도 주변에 계신 소상공인 분들께 공공배달앱 가맹 사전신청 접수 꼭 권유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 공공배달앱 사업은 오는 10월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초기 공공배달앱의 UI, 결제 등 사용자 경험을 테스트하면서 소상공인과 이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해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광희기자

주류대출 피해자 위해 경기도 이어 경기신보도 나선다

주류대출로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호소하는(경기일보 8월18일자 1면) 가운데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전담창구를 개설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기신보는 주류대출 관련 피해기업을 위한 신속한 보증상품 안내를 위해 전담창구 개설을 진행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경기신보는 전 지점(25곳) 내 보증 담당자들에게 피해기업의 상담요청 시 적극적인 자세를 지시했다. 피해기업별로 원하는 상품이 다를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상담ㆍ안내로 맞춤형 보증상품이 제공될 수 있도록 내부 시스템은 구축된 상태다. 이를 통해 경기신보는 주류대출로 피해를 본 도내 소상공인이 사채 늪에 빠지기 전에 자금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된 경기신보의 대표 상품은 다드림론이다. 다드림론은 공정을 핵심 가치로 내세운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시행됐으며, 자금 융통이 필요하지만 신용등급이 낮아 불법 대부업체에 노출된 영세 소상공인을 위해 도입된 특별보증 제도다. 이민우 경기신보 이사장은 신속한 자금 지원으로 피해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주류대출이란 소상공인이 주류거래약정 등을 조건으로 주류업체에 자금을 지원받는 것을 통칭한다. 무이자로 자금을 지원받는 방식이지만 주류업체들은 주류가격을 올려 받는 방법으로 이자를 대신하고 있다. 더구나 대여금을 모두 상환했음에도 주류거래 연장 등을 빌미로 위약금과 이자를 청구해 소상공인들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경기일보 보도 후 주류대출 문제가 드러나자 경기도는 공정국 공정경제과를 주류대출 대책 담당 부서로 지정, 피해자들과의 상담 및 서류 확인 등을 통해 유사 사례 예방 등에 나선 바 있다. 여승구기자

도의회 경제위, '지역화폐 인센티브 추가 지원' 조례 개정 작업 돌입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지역화폐 인센티브 추가 지원 사업을 발표한 가운데, 근거 마련을 위한 조례 개정 절차에 돌입했다.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는 지난 11일 내부 회의를 열고 경기도의 지역화폐 인센티브 추가 지원과 관련해 경기도 지역화폐의 보급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 개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지역화폐 충전 시 지급하는 10%의 기본 인센티브에 더해 이달 18일부터 20만원 기준 15%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지급하겠다며 추석 경기 살리기 한정판 지역화폐(소비지원금) 지급 계획을 발표했다. 지역화폐 20만원을 충전할 경우 종전의 기본 인센티브 2만원(10%) 외에 2개월 내 사용하는 조건으로 3만원(15%)을 추가 지원해 총 5만원(25%)을 보태준다는 것이다. 지역화폐 20만원을 충전하면 총 25만원을 사용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같은 지원을 위해서는 관련 조례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는 이날 조례 개정을 위해 지역화폐 추가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내용을 두고 의견을 조율했다. 회의결과 경노위는 기본 인센티브 외 추가로 인센티브를 지급하도록 하는 것이 향후 퍼주기식으로 남용될 여지가 있다며, 코로나19 여파로 지역경제 위축이 심각한 상황을 고려해 이번 추가 지급에 한해서만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도록 도에 제안했다. 경노위는 제한적인 추가 인센티브 지원 허용으로 도와 합의가 이뤄지면 14일 상임위 회의를 열고 위원회안으로 조례 개정안을 상정해 심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은주 경제노동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화성6)은 위원들로부터 향후 인센티브 남발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며 코로나19 대응으로 현재 필요한 사업이지만 무분별한 인센티브 사용에 제동을 걸 수 있도록 조례를 정비하도록 도에 의견 내놓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김태형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화성3)을 위원장으로 한 예결소위를 구성, 15일까지 경기도의 2020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최현호기자

[포토뉴스] 미세먼지 좋음

[생활속, 일제 잔재를 청산하자] 1.애매하다·망년회·땡땡이무늬… 당신도 쓰고 있나요?

어릴 적 어머니의 심부름 중에는 아지노모토(味の素, あじのもと)를 사오라는 말을 종종 들었다. 지금이야 맛을 내는 다양한 조미료가 워낙 많아서 고민을 하지만, 그때만 해도 이른바 아지노모토 밖에 없던 시절이었다. 아지노모토는 인공조미료인데, 지금도 인터넷에서는 아지노모토 관련 상품들이 팔리고 있다. 아지노모토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인공조미료이다. 또 초등학교 시절에는 친구들과 함께 놀다보면 짱께미뽀라는 것을 많이 한다. 그런데 청년 시절 일본에 갔을 때, 일본 어린이들이 짱께미뽀를 하는 것으로 보고 이것이 일본어였구나 라고 했던 적이 있다. 짱께미뽀는 짱겐뽕(じゃんけんぽん)의 변형으로 우리말의 가위바위보이다. 1960년대 초에 태어난 필자는 어릴 적 생활 용어 중에는 일본어가 일상적으로 사용될 정도였다. 가이당(계단), 자부동(방석), 우와기(상의), 다마(구술전구), 다마네기(양파) 등등 몇 년 전 국회에서 겐세이(牽制, けんせい)와 야지(野次, やじ)라는 일본 말을 사용해서 한바탕 곤욕(?)을 치른 바 있다. 불필요한 일본어를 사용하므로써 국회의원들이 서로 얼굴을 붉히고 공방을 벌인 것이다. 겐세이는 견제를, 야지는 야유 또는 빈정거리며 놀림을 뜻하는 일본어이다. 광복 75주년을 맞은 현 시점에서도 우리 일상생활에는 일제의 잔재인 언어 즉 일본어가 여전히 남용되고 있다. 광복절이나 31절이 되면 매스컴이나 언론에서 일제강점기의 잔재인 식민청산을 부르짖고 있으며, 실제 식민청산을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요즘 국제화 시대에 언어에 대한 식민청산은 다른 분야보다 관심을 끌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일제강점기 사용했던 언어도 점차 순화돼 가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가 행정용어이다. 지금도 각종 법률이나 판결문, 정부의 공시문 등을 보면 일본식 표현이 적지 않다. 관행적으로 사용하다보니 무의식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 국립어학원 발행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에는 1천171개나 우리 일상 속에 스며든,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일본어는 얼마나 될까. 그동안 일본어나 일본어 투의 용어에 대한 순화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광복 60주년을 맞는 2005년 국립어학원에서는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이라는 책을 발행한 바 있다. 이 자료집에 의하면 순화 대상 용어가 무려 1천171개나 수록될 정도로 일제강점기 사용했던 일본어 또는 일본어 투 용어가 우리 사회에 일상화됐다. 이중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본어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가라오케(空オケ, からオケ)이다. 가라오케는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대중오락의 한 형태인데, 가라의 비어 있다는 일본어와 오케스트라의 준말 오케의 합성어이다. 즉 가라오케는 악단이 없는 가짜 오케스트라라는 의미이다. 가라오케는 녹음 반주라는 순화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가라오케의 가라(空, から)라는 말도 많이 사용되는데 가짜라는 뜻으로 가라친다 또는 가라치지 말아라 등으로 쓰인다. 가부시키(株式, かふしき)라는 말도 자주 사용하는 일본어의 하나이다. 직장인들이 점심을 위해 식당에서 음식을 먹고 각자 음식 값을 치룰 때 오늘 밥값은 가부시키하자라고 한다. 가부시키는 나눠 내기 또는 추렴이라는 순화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가케우동(掛け, かけうどん)도 많이 쓰는 말이다. 요즘도 일본식 음식점에서는 가케우동이 메뉴판에 올라있고, 이를 주문하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 스며든다. 우동(, うどん)이라는 말도 너무 일상화돼 일본어가 아니라 우리말로 착각할 정도이다. 가케우동은 가락국수, 우동은 국수로 순화해서 사용해도 충분히 의미 전달이 되는 데도 말이다. ■ 음식과 관련된 광범위한 일본어 남용 앞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음식과 관련된 일본어도 생각보다 많다는 점이다. 대전에 가면 유명한 빵이 소보로빵이다. 맛도 좋고 유명세를 타고 있어서 필자 역시 대전역을 이용할 때면 소보로빵을 사곤 한다. 그런데 이 소보로빵(そぼろパン)이라는 말이 일본어였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별 의미 없이 사곤 했는데 아차 싶었다. 우리말로는 곰보빵이라고 하는데, 얼마나 좋은 표기인가 한다. 음식점에 가서 싱거우면 흔히 다데기를 달라고 하는데, 다데기(たたき)이서 온 말로 역시 일본어이다. 우리말인 다진 양념 또는 양념을 달라고 하면 어떨까 한다. 이외에도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에, 특히 먹는 것과 관련된 일본어 투 표기는 얼마나 될까 했는데, 생각보다 광범위 하게 우리 주변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그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고로케(コロッケ), 덴뿌라(天), 오뎅, 나베우동(鍋, なべうどん), 스시(壽司, ずし), 다시(出し, だし), 다쿠앙(澤庵, たくあん), 대하(大蝦), 돈가스(豚カツ, とんカツ), 돈부리(, どんぶり) 사라(皿, さら), 모찌(餠, もち), 벤또(辯當, べんとう), 복지리(鰒じる, ふぐじる), 사라다(サラダ), 센베이(煎餠, せんべい), 소바(蕎麥, そば), , 수타국수(手打-), 시오야키(鹽燒き, しおやき), 아나고(穴子, あなご), 앙꼬(子, あんこ), 야키니쿠(燒き肉, やきにく), 야키만두(燒き饅頭, やきまんじゅう), 오코시(, おこし), 와사비(山葵, わさび), 짬뽕(ちゃんぽん), 사시미(刺身, さしみ)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일본어는 고로케는 원어인 크로켓, 덴뿌라는 튀김, 오뎅은 어묵, 나베우동은 냄비국수, 스시는 초밥, 다시는 맛국물, 다쿠앙은 단무지, 대하는 왕새우, 돈가스는 돼지고기 너비, 돈부리는 덮밥, 사라는 접시, 모찌는 찹쌀떡, 벤또는 도시락, 복지리는 복국, 사라다는 샐러드, 센베이는 전병과자, 소바는 메일국수, 소보로빵은 곰보빵, 수타국수는 손국수, 시오야키는 소금구이, 아나고는 붕장어, 앙꼬는 팥소, 야키니쿠는 불고기, 야키만두는 군만두, 오쿠시는 밥풀과자, 와사비는 고추냉이, 짬봉은 초마면, 사시미는 생선회로 순화하면 된다. 음식을 먹을 때도 한번쯤 생각해보고 주문을 해야 할 듯하다. ■ 대학생이 많이 사용하는 일본어는 구라(거짓말), 애매하다(모호하다) 등 그런데 육아에서도 일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 말을 배우는 시기는 대체로 두세 살 시기이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부모,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조부모, 고모나 이모 등으로부터 한두 마디 들으면서 말을 배운다. 그런데 이 시기에 많이 듣는 말 중에는 일본어 투 용어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가장 많이 듣는 말 중에 하나가 찌찌(乳, ちち)이다. 엄마들이 아이를 키우면서 찌찌 먹자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곤 한다. 찌찌는 젖이라는 일본어이다. 밥을 먹을 때도 맘마 먹자라는 말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맘마(まんま)는 어린이들이 먹는 밥의 일본어이다. 광복 70주년인 2015년 서경덕 교수 연구팀은 나라를 찾은 지 70년이 된 지금 상황에도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일본어 잔재들의 현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점차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기획한 바 있다. 그 결과 수도권 대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일본어는 구라였다. 구라(くら)라는 말의 뜻은 어학사전에는 거짓말을 비속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돼 있지만, 일본어의 잔재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애매하다(모호하다), 기스(흠집), 간지(멋), 닭도리탕(닭볶음탕) 등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일본어 잔재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매체에 대해서는 인터넷,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순으로 집계됐다. 이와 같은 일본어 잔재에 대해 우리말로 바꿔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60% 정도가 바꿔야 한다고 했으며, 일본어 잔재가 사라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에 대해서는 국민의 무관심, 일본어 잔재에 대한 교육 및 홍보부족, 정부의 무관심 등이라고 했다. 성주현 숭실대 HK 연구교수

이천시립화장장 조성 반대 여주시민 범대위 결성

이천시가 여주 능서면과 인접한 지역에 시립화장장 건립을 추진하자 여주지역 20여 개 사회단체가 참여하는 범여주시민대책위를 출범시키는 등 반대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여주시 능서면 주민과 여주 63 하나회 등이 이천 시립화장장 조성에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0일 능서면 복지회관에서 여주시 이 통장협의회를 비롯해 20여 개 시민ㆍ사회단체장들이 한자리 모여 화장장 추진반대 범여주시민대책위를 출범시켰다. 임형선 능서면 대책위원장은 지난 2월부터 반대운동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었음에도 이천시에서는 시 경계 후보지 반대를 무시하고 설치 결정을 내렸다라며 엄태준 시장은 12만 여주 시민을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능서면 반대추진위의 힘만으로는 막아낼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며 여주 시의 자존심을 걸고 설치를 막아내어야 한다며 여주지역 시민사회 단체장들이 힘을 모아준 데 감사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는 박문신 여주시사회복지협의회장의 사회로 경규명 바르게살기운동 여주시협의회장이 임시의장을 맡아 회의를 주재했다. 경 회장은 다양한 사회단체들이 함께 이천 화장장 추진 반대에 힘을 모으기로 약속했다며 이천시가 화장장을 건립하지 못하도록 끝까지 투쟁해서 반드시 막아내자고 밝혔다. 대책위는 공동위원장으로 박시선 여주시의장, 임형선 위원장, 경규명 회장, 서도원 회장, 유명숙 여성단체협의회장 등 5명을 선출했다. 박시선 시 의장은 시장 간의 면담, 시의회 차원에서 철회에 대한 의견 전달, 협상단 구성 및 협의, 이천시에 의견 전달 등이 이었지만, 이천시와 여주시의 기본적인 생각의 차이가 있어 실효성이 없었다며 화장장 설치를 막고자 가능한 수단과 방법들을 의회 차원에서 마련하고 찾아내 행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범대위는 이천시에서 결정하는 과정에 이뤄진 행정과 인근 지역 간의 갈등 해소를 위해 의견 소통과정이 있었는지, 이 문제에 대한 경기도의 입장 등 질의, 각 단체의 사무국장 또는 실무책임자들로 실행분과를 구성해 확정된 임원진에서 실천위원 구성과 함께 앞으로 행동방향을 결정하기로 했다. 한편, 범대위 참여한 단체는 바르게살기운동여주시협의회, 여주시사회복지협의회, 새마을회여주시지부, 자유총연맹 여주시지회, 여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여강길, 여민협동조합,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여주시지회, 여주시친환경농업인연합회, 여주문화원, 한강지키기운동여주지역본부, 늘푸른자연학교, 여주시사회적공동체협의회, 여주시지역자활센터, 대한노인회 여주시지회. 여주시이통장협의회. 읍면동체육회연합회. 여주 63 하나회. 여주쌍육회, 여주시산림조합, 여주시재향군인회 등이다. 여주=류진동기자